
삼성바이오로직스 4Q22 실적발표
별도 기준
매출액 7,477억원 (vs. 컨센 6,331억원)
영업이익 3,085억원 (vs. 컨센 2,575억원)
연결 기준
매출액 9,655억원 (vs. 컨센 8,039억원)
영업이익 3,128억원 (vs. 컨센 2,635억원)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제목 : 삼바, 업계 최초 연매출 '3조 클럽' 달성…사상 최대 실적
출처 *연합인포*
삼바, 업계 최초 연매출 '3조 클럽' 달성…사상 최대 실적 (서울=연합인포맥스) 박경은 기자 =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제약·바이오 업계 최초로 연간 매출 '3조 클럽'에 진입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지난해 연결기준 3조13억 원의 매출을 냈다고 27일 공시했다. 이는 전년 대비 91% 증가한 수치다. 영업이익은 9천836억 원이며, 전년 대비 83% 급증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연간 실적은 시장 예상치를 웃돈다. 연합인포맥스가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연간 실적을 전망한 5개 증권사를 대상으로 컨센서스를 실시한 결과, 지난해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2조7천497억 원과 9천242억 원으로 예상됐다. 삼성바이오에피스의 연결 자회사 편입으로 매출 및 영업이익이 늘어난 영향도 있으나, 삼성바이오로직스 별도 기준으로도 가파른 실적 성장세를 보였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별도 기준으로도 2조4천373억 원의 매출과 9천681억 원의 영업이익을 거뒀다. 매출액은 전년 대비 55%, 영업이익은 80% 각각 증가했다. 특히 매출액은 지난 2020년 처음으로 1조원을 달성한 이후 2년 만에 2조원을 넘어섰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수주 확대 및 공장 가동률 상승, 긍정적 환율 효과에 힘입어 최대 매출을 달성했다"고 설명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위탁생산(CMO) 부문은 지난해 10월, 착공 23개월 만에 단일공장 기준 세계 최대 생산능력을 갖춘 4공장 부분 가동을시작했다. 4공장은 현재까지 글로벌제약사 8개 사와 11종 제품에 대해 계약 체결을 완료했고, 추가로 26개 이상 잠재 고객사와 34종 이상의 위탁생산 계약을 논의 중이다. 삼성바이오로직스의 누적 수주 건수는 CMO 74건, CDO 101건이며, 누적 수주액은 95억 달러(한화 약 11조7천억 원) 규모다. 지난해 4월 삼성바이오로직스의 100% 자회사로 전환된 삼성바이오에피스는 현재 10종의 바이오시밀러 파이프라인 중 6종을 상용화했다.
지난해에는'휴미라' 바이오시밀러(SB5) 고농도 제형의 미국 허가를 획득했고, '프롤리아' 바이오시밀러(SB16)와 '스텔라라' 바이오시밀러(SB17)의 임상 3상을 완료하는 등 후속 파이프라인 개발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한편, 삼성바이오로직스는 향후 10년간 바이오 사업에 7조 5천억을 투자해 생산능력· 포트폴리오·지리적 거점 등 3대 핵심축을 중심으로 사업을 확장할 계획이다. gepark@yna.co.kr
ㅡㅡㅡㅡ
반면 반도체는...?
[Web발신]
[NH/도현우] 반도체산업
안녕하세요? NH 도현우입니다.
Intel과 Lam Research가 4Q22 실적을 발표했습니다. Intel은 매출액 140억달러(-28.2% y-y), 영업이익 6억달러(-88.2% y-y)을 기록했고, 매출액이 컨센서스를 -3.4% 하회했습니다. PC부문 실적이 66억달러(-35.9% y-y), 서버가 43억달러(-32.8% y-y)를 기록했습니다. 비대면으로 인한 PC 수요 감소 및 미국 하이퍼스케일러의 데이터센터 투자 축소가 실적 부진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1Q23 가이던스는 수요 부진 확대를 시사하며 매출액 105-115억달러 제시했고, 컨센서스는 140억달러입니다.
Lam Research는 4Q22 매출액 53억달러(+4% q-q), 영업이익 17억달러(flat q-q)을 기록했습니다. 매출액이 컨센서스를 4% 상회했습니다. 공급망 이슈로 인한 이연 매출 반영 및 파운드리/로직향 수주 증가가 실적 개선에 기여했습니다. 동사가 개발 중인 건식 레지스트 기술은 2023년 상용화가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Lam Research는 컨센서스 대비 12% 하회하는 1Q23 매출액 가이던스를 38억달러로 제시했습니다. 이는 메모리 수요 악화로 인한 고객사의 투자 축소및 가동률 축소에 기인합니다. Lam Research는 메모리 투자 비중이 최근 25년 간 가장 낮을 것으로 예측했습니다.
극심한 메모리 수요 부진과 투자 축소는 역설적으로 2023년 하반기 공급 감소로 이어져 수급 개선으로 연결될 것으로 보입니다. 당사 추정 2023년 DRAM 공급량 증가는 +7%에 불과하고, 재고를 제외한 생산량 기준으로는 -9%입니다.
2023년 글로벌 반도체 장비 투자는 메모리보다는 파운드리와 로직 중심으로 이루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미국 정부가 반도체 생산에 대한 아시아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파운드리 업체에 대한 미국 내 생산을 독려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미국의 대중국 규제로 인해 2022년 수출 감소 우려에 시달렸던 파운드리향 장비 업계가 2023~2024년에는 미국 내 팹 건설 수요 증가 모멘텀으로 수혜를 입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 링크: https://me2.kr/uBGAs
자세한 내용은 리포트 본문 참조바랍니다.
위 내용은 당사 컴플라이언스 결재를 받아 발송되었으며, 당사의 동의 없이 복제, 배포, 전송, 변형, 대여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