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삼성SDI 실적 및 주가전망,- 전기차 수요 둔화 우려 불구, Gen5 중심 매출 성장 - 미주 전력용 ESS 매출 확대

반응형

[삼성SDI 4Q22 실적발표 컨퍼런스콜 - 하나증권 2차전지/디스플레이 김현수, 위경재]

실적발표자료 : http://bit.ly/3JlTgKf

<4Q22 실적>
- 매출 5조9,659억원
  (YoY +56%, QoQ +11%)
- 영업이익 4,908억원
  (YoY +85%, QoQ -13%)
- 영업이익률 8.2%
  (YoY +1.2%p, QoQ -2.3%p)
- 지배순이익 6,013억원
  (YoY +65%, QoQ Flat)

- ESS 충당금 등 일회성 비용 반영
- 연간 기준 최대 실적 경신
- 2023년 경영 전략 : 프리미엄 시장 중심 Gen5 전지 공급 확대 추진. 46phi 및 전고체 전지 파일럿 라인 기반 차세대 배터리 준비 지속. 미국 진출 추진 본격화. ESS 매출 성장 및 수익성 개선 추진. 전자재료 수요 둔화 불구 신제품 적기 진입 통해 시장 영향 최소화 추진

<중대형전지>
- 전기차 수요 둔화 우려 불구, Gen5 중심 매출 성장
- 미주 전력용 ESS 매출 확대
- 일회성 비용 제외 시 수익성 QoQ Flat 수준
- 1Q23 전망 : Gen5 판매 증가 전망. ESS는 비수기 영향으로 매출 감소 예상
- 2023 전망 : 전기차 생산 확대에 따라 EV 배터리 시장 규모 1,590억달러(YoY +39%) 전망. ESS 시장 규모 160억달러(YoY +44%) 전망

<소형전지>
- 4Q22 매출 QoQ Flat
- 전동공구용 수요 둔화, EV용 판매는 증가
- 파우치 전지 주요 고객향 신제품 진입
- 1Q23 전망 : 원형전지 비수기 진입. 다만, 2Q23부터 판매량 반등할 전망
- 2023 전망 : 소형전지 시장 규모 380억달러(YoY +7%) 전망. Non-IT 부문은 전동공구 성장 둔화 불구, EV 성장 기반 M-mobility 수요 견조할 전망. IT 부문은 스마트폰 전지 수요 둔화 불구, flagship 위주 수요 증가 기대

<전자재료>
- 편광필름 매출 QoQ 증가. 고객 재고부담 완화 및 고객 다변화
- 1Q23 전망 : 계절적 비수기 영향으로 매출 감소 예상. 다만, 편광필름과 반도체 공정소재는 신제품 공급 통해 매출 감소 최소화 추진
- 2023 전망 : 소폭 역성장 전망. 다만, 일부 고부가 편광 필름 수요 증가 전망

<배당>
- '22~'24년 배당 정책 : 기본 배당 1,000원 + 당해년도 FCF의 5~10% 추가 배당
- 2022년 FCF 404억원

<Q&A>
1. [자동차전지] 2023년 전망
- 완성차업체 전동화 계획 하 전기차 생산 증가세 지속 전망
- 2023년 전기차 수요 예상치 1,474만대(YoY +40%), by IHS
- Gen5 고객 수요 증가 예상

2. [원형전지] 매출 성장 방안
- 주택경기 약세에 따른 전동공구 수요 증가 둔화 전망
- 주요 고객과의 장기공급계약 기반, 시장 영향 최소화 추진
- EV 원형전지 수요 증가 통해 매출 극대화 추진 계획

3. [자동차전지] 미국 진출 계획
- 유럽, 중국 대비 전기차 침투율 낮았으나, IRA 통과 후 미국 전기차 시장 가파른 성장 예상
- 현재 다수의 고객과 협의 중

4. [자동차전지] 메탈 가격 상승 대응 방안
- 단기적으로는 메탈 가격 영향 있으나, 중장기적으로는 기술 혁신 통한 전지 가격 하락 전망
- 에너지밀도 개선 등 소재 혁신
- 플랫폼 기반 R&D 및 규모의 경제 추진
- CTP 등 모듈, 팩 단위 원가 절감 추진

5. [원형전지] 46phi 준비 상황
- 천안사업장 투자 진행 중. 2023년 상반기 설비 set-up 마무리 후 가동 시작 예정
- 수주 관련, 다수의 고객과 논의 중

6. [원형전지] 전동공구 수요 둔화가 전체 소형전지에 미치는 영향
- Rivian 비롯 주요 고객 수요 가파른 증가
- 2022년 원형전지 판매 YoY 2배 이상 성장. 2023년 또한 매출 성장 예상
- 전동공구 수요 둔화에 따른 수익성 저하 우려 있으나, EV PJT 경우 소기종 대량 생산 통해 규모의 경제 효과 있을 것
- 2H22부터 EV 물량 본격 확대 통한 수익성 개선. 즉, EV 수익성 기여도 높아질 전망

7. [전고체전지] 준비 상황
- 1H23 파일럿 라인 준공 완료 후 2H23 샘플 생산 및 공법 테스트 진행 예정
- 다수의 OEM과 협력 논의 중
- 부품사와의 협력 통해 안정적 SCM 구축 추진

8. [전자재료] 편광필름 사업 전망
- 2023년 LCD TV 패널 판매 YoY -6% 감소 전망
- LCD 수요 둔화에 따른 편광필름 수요 둔화 전망. 다만, 대면적 편광필름 수요는 소폭 증가 전망
- 1H23 LCD 패널 시장 약세 불구, 2H23 고객사 재고 소진에 따른 수요 회복 전망
- 고객다변화 및 고부가제품 중심 믹스 개선 추진

9. [ESS] 전력용 시장 대응 계획
- 2022년 고에너지밀도 강점 살릴 수 있는 UPS, 가정용 중심으로 판매 비중 확대
- 전력용이 ESS 시장 M/S 높은 만큼(60-70%), 신제품 출시 통해 대응할 것
- 하이니켈 NCA 양극재와 신공법 적용, 에너지 밀도 15% 이상 높인 셀을 하반기 중 출시 예정
- 일체형 제품 하반기 중 출시 예정

10. [OLED] 소재 사업 전망
- 스마트폰 시장 수요 둔화 불구, 시장 내 Flexible OLED 수요 소폭 증가 전망
- IT 제품 내 OLED 수요 증가 전망
- P-Dopant, G-Host 중심 성장 추진

320x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