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펌)) 연준의 매파적 발언 지속되는데다 장단기 금리차가 확대되면서 하락 마감되었습니다.
하락의 원인 중 하나는 알파벳(구글)이고 구글발 챗봇 논쟁이 MS도 하락을 유도하는 그림
국내증시는 에코프로 그룹에 대한 공매도 청산이 대대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주가 상승세를 이끌어가는 코스닥이 상대적으로 강력
미 나스닥 하락 여파는 있지만 개인적으로는 부정적으로 보지는 않습니다.
최근 국제신용평가회사인 피치는 중국 경제성장률을 4.1%에서 5%로 올린 바 있고 양회를 앞둔 상황에서 경기 회복과 부양에 대한 기대감이 여전하다는 것
오른 폭에 대해서 기간 조정 내지는 쉬어가는 그림이지 아직은 하락을 걱정할 시점은 아닌 듯 합니다.
다음 주 CPI가 발표될 예정입니다. 그런데 미국에서 2년마다 비중 조정을 하던걸 해매다 하겠다고 입장을 바꾼 상태입니다.
이 경우, 최근 비중이 큰 것들이 다소 상향되는 편인지라 예상보다 CPI가 다소 높게 나올 여지도 있습니다. 시장이 해석을 어떻게 할 것인가의 문제는 있지만….
파월의 발언을 종합해 볼떄 충격적이지는 않을 거 같고…. 오히려 두어달 지나면 지수가 급격히 하락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이유는 그동안 높았던 것들의 비중이 커지면 단기는 높아져도 중기로는 확 낮아질 수 밖에 없는 구조이기 때문입니다.
실제 UBS에서도 인플레 평가에는 오히려 긍정적이라는 리포트를 낸 바 있습니다. 역시 노이즈 발생시 매수 관점입니다.
아침에 매일경제TV 방송을 하고 왔습니다. 매크로 이슈 이야기만 하고 왔는데 상고중저하고의 이야기입니다. 이건 나오면 올리겠습니다. 그간 글로써 방송에서 말씀드린 내용입니다.
오늘 하락시 대형주 가운데 일부 종목, 개별주 가운데 일부 종목을 추가 편입할 생각입니다.

음....
아무래도 미장이 또 어느정도 조정에 들어가겠네요
생각보다 인플레이션이 쉽게 내려오지않는듯
잘하면... 엄청 올라간 수치가 발표될 수 있을듯
합니다 ㄷ ㄷ ㄷ
cpi발표 경계해야하는 타이밍에 다시왔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