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펌)<Ark 생각>
주가예측과 산업의 성장궤적에 대한 예측이 늘 일치할 수는 없다. 변수가 너무나도 많은 세상이기 때문이다. 매크로 충격은 때론 Risk on/off를 결정하며 마이크로의 성장 기울기를 꺾거나 곧 다가올 것같던 기대를 오랜 시간 뒤로 미뤄버리기도 한다. 나 역시 애널리스트 생활을 하며 그 한계를 많이 느낀다.
하지만 기술의 진보는 주가와는 또 달리 봐야한다.
‘테크노믹스’라는 단어를 만들면서도 강조했던 바다. 새로운 기술이 자본시장의 지축을 흔드는 경우도 많기 때문이다. 마이크로의 변화가 매크로를 변화시키기도 한다. 모바일혁명이 없었다면 2008년의 Recession에서 미국이 이렇게 빨리 헤쳐나올순 없었을 것이다. 특히나 최근의 AI기술은 사람에게 의지해왔던 인지-판단의 영역을 컴퓨터나 모바일 단말기, 기계에 넘겨줄 수 있는 일생일대의 사건이 아닐 수 없다.
원가에서 노무비나 인건비를 제하는 사건이기 때문이다. 운전만 하더라도 자율주행이 완성되면 Driver가 담당하던 인지와 판단을 차에게 넘겨주게 된다. 제어는 이미 X-by-Wire로 전장화된 차량이 도맡아 해왔다. 택시에서 인건비와 유류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거의 대부분이다.
자율주행과 전기차로의 전환은 이동의 비용을 획기적으로 낮춘다. 우리가 각 건물에 출입하며 공짜로 사용하는 자동회전문이나 엘리베이터를 생각해보면, 좀더 쉽게 와닿을 것 같다. 소유하지 않지만 편리하게 이용하듯..
자율주행은 곧 로보택시 서비스로의 확장을 의미한다. 그래서 초기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손정의 회장의 막대한 투자와 많은 레거시 업체, 테슬라의 자율주행을 향한 속도전이 전개된 것이다.
바야흐로 Hyper scale AI의 놀라운 성능과 NLP가 Sequence를 위한 Token 인코딩 방식으로 전개됨을 이해하기 시작했다. 자율주행 역시 동일한 방법으로 전개되는 동선을 이해하고 운전에 활용한다. 이미 AI day와 일런머스크의 트위터를 통해 GPT가 자율주행에 사용됨을 공개한 바 있다.
일반인들은 이제 그 의미를 이해하기 시작했다. 아, GPT가 이정도로 대단한 기술이었구나. 왜 Dojo컴퓨터가 필요하며, nVIDIA의 EOS같은 괴물 컴퓨터가 필요한지…
정점에 있는 기술은 낙수효과를 가지게 된다. 수년전부터 자율주행 기술이 최첨단 기술의 정점에 있으며 이로 인해 농기계, 중장비, 도심형항공모빌리티, 군사무기, 로봇 등에 이 기술이 응용될 것이라 말하고 다니고 있다.
테슬라가 자율주행 이후 로봇을 발표한 것도, 현대차가 UAM과 로봇을 사업포트폴리로에 담은 것도 같은 맥락이다. 뉴로모픽 반도체에 매진하게 될 삼성이나 VS로 이 분야에 집중하는 LG가 차세대 먹거리로 로봇을 지정한 것도 같은 이유다. 기술이 근본적으로 같다.
CPS의 시대, 즉 인공지능과 컴퓨팅파워, 메타버스가 이끄는 Cyber와 자동차, 기계, 항공 등 물리세계의 디바이스인 Physical이 융합된 System이 Smart things 를 만들어 낼 것이다. 이게 2016년에 다보스포럼에서 발표된 4차산업혁명의 요체다. 달리 표현하면 AI가 기계를 로봇으로 승화시키는 Robotization이자 (인류가 최초로 맞이하게 되는 생산에서의)무인화혁명이다.
컴퓨터, 인터넷, 디지털혁명이 화이트컬러의 지형을 바꿔왔다면, 이제 AI와 기계가 결합되며 블루컬러의 지형을 바꿀 차례다.
지난 폭락기에 큰 상처를 입었던 Ark investment가 산업에 관한 멋진 자료를 내놨다.
수익률에서 초조함이 느껴지는 상황임에도 방대한 자료를 작성했다. 미래에 대한 접근방법 중에 이런게 있을 수도 있겠구나… 정도로만 봐도 훌륭한 자료다.
우린 정말 빠르게 변해가는 세상에 살고 있다. 어떤 소음과 어떤 흔들림에도 불구하고 전개될 변화의 방향을 미리 예상하고 기다리는 지혜가 필요한 때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음... 증시가 다시 조정장으로 진입했는데...
중고차값이 다시 빠르게.오르고 있네요
고용지표 높고 물가 상승이 높은것보면...
아무래도 cpi 다음발표는 좋지않을듯 합니다
그래서 FED 연준이 금리를 8%까지 올려야한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증가하는듯하네요
(다이먼 회장도 계속... 더 올려야된다고 난리)
파월이 더 올린다고 할지...아니면
지금도 고금리 상태이니 유지하면 차츰내려온다 장기전으로 가자 생각할지? 이게 중요할듯합니다
정책방향따라서 주가방향이 달라질것 같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