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하나증권 미래산업팀(스몰캡)
★ 2023년 산업 테마 가이드 (8개 테마, 32개 주제) ★
원문링크: https://bit.ly/3xjqJ0r
1. 산업 테마 #1 미래 모빌리티
-전기차 시장의 빠른 성장에 따라 전동화의 핵심인 2차전지와 4대 소재(양극재, 음극재, 분리막, 전해액)의 중요도가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는 상황
-또한 모빌리티의 핵심인 자율주행은 자동차 제조업체, 테크기업들에게 큰 경쟁력으로 작용
-자율주행 발달에 따라 필연적으로 차량 내 경험과 관련된 시장의 확대가 예상되며, 모빌리티를 통합하는 플랫폼 산업 또한 성장할 것으로 기대
-핵심 소주제로 1) 차량의 전동화, 2) 자율주행, 3) 차량 내 경험, 4) MaaS를 제시
2. 산업 테마 #2 로봇
-전 세계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노동 인구 감소는 평균 임금 상승을 가져와 기업들에게 노동 효율화의 필요성을 부각
-로봇은 과거 대비 작아진 부피와 더욱 세분화된 작업 수행 능력을 통해 제조업외에도 F&B, 의료 등 다양한 산업으로 활용처가 확대
-기술력 고도화에 따른 평균 생산 단가 하락과 글로벌 기업들의 참여로 본격적인 로봇 시장 확대 전망
-핵심 소주제로 1) 산업용 로봇, 2) 서비스용 로봇, 3) 부품, 4) 소프트웨어를 제시
-주요 관련 기업으로 1) 두산, 2) 레인보우로보틱스, 3) 뉴로메카, 4) 에스피지 등이 존재
3. 산업 테마 #3 차세대 미래산업
-최근 시장에서는 1) XR, 2) AI, 3) STO 등을 미래 주요 먹거리로 주목
-XR은 대형 테크기업의 신규 진출과 주요 업체들의 기기 출시를 통해 올해부터 본격적인 시장 확대가 예상되며, 1) 게임/컨텐츠와 2) 하드웨어 및 부품으로 나눠 수혜 판단 필요
-챗 GPT가 세상에 공개되면서 가져온 AI 열풍은 관련 기업 투자 및 시장규모 확대에 기여, 이외에도 블록체인 기술 발전에 따른 STO도 주목해야할 테마로 제시
-핵심 소주제로 1) 게임/컨텐츠, 2) 하드웨어 및 부품, 3) 챗 GPT의 등장, 4) STO를 제시
-주요 관련 기업으로 1) LG이노텍, 2) 스코넥, 3) 코난테크놀로지, 4) SK증권 등이 존재
4. 산업 테마 #4 인프라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의 전쟁이 지속됨에 따라 우크라이나 정부는 국가를 재건하기위한 대형 프로젝트를 논의
-전쟁으로 인한 에너지 안보 문제가 대두되면서 세계 각국에서는 관련 투자가 집행되고 있는 상황
-추가로 미국의 인프라법과 IRA, 사우디의 네옴 프로젝트 등 대형 인프라 사업 수주 기대감 고조
-핵심 소주제로 1) 우크라 재건, 2) 전력 송전, 전압, 3) 강관, 4) 네옴시티를 제시
5. 산업 테마 #5 방위산업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 여파로 세계화에서 반세계화로 빠르게 분위기가 전환되면서 군사안보에 대한 경각심이 확대
-전통적인 무기 외에도 최근 정부의 드론작전사령부 창설 예정 등 다양한 분야의 방위 산업이 주목받는 상황
-전쟁을 통해 에너지 무기화 우려가 고조되며 세계 각국은 전통적인 의미의 군사안보를 넘어 에너지 및 원자재 자립화, 주요 국가 산업의 내재화 등의 넓은 의미의 안보 또한 중요하게 판단
-핵심 소주제로 1) 전통 군사안보, 2) 신 군사안보(드론), 3) 사이버 안보, 4) 식량 안보를 제시
6. 산업 테마 #6 친환경
-에너지 안보 문제에 따른 글로벌 에너지 자립 문제와 IRA 법안 통과 등으로 친환경 트렌드는 여전히 유효
-IRA에서 에너지 안보 및 기후 변화 대응 부문에 전체 조달 자금의 절반인 3,690억 달러를 할당되어 있으며, 투자가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집행되는 만큼 친환경 에너지 수요가 견조할 것으로 전망
-핵심 소주제로 1) 풍력, 2) 태양광, 3) 수소, 4) 원자력을 제시
7. 산업 테마 #7 한류
-BTS의 선풍적인 인기와 유튜브, 글로벌 OTT 등을 통해 노출되는 한국 문화 콘텐츠로 인해 한국 문화에 대한 관심이 전반적으로 높은 상황
-국내의 다양한 IP들이 동양을 넘어 서구권에서도 인기를 끌기 시작하면서 그에 따른 국가 문화 영향력 확대가 기대
-핵심 소주제로 1) 엔터테인먼트, 2) 웹툰/웹소설, 3) K-드라마, 4) K-뷰티를 제시
8. 산업 테마 #8 소비재
-코로나와 전쟁으로 야기된 불확실한 매크로 환경을 지나오면서 변화된 전반적인 소비 패턴을 파악하고 향후 방향성을 예상할 필요 존재
-소비재 업체들에게 올해는 기존에 진행된 판가 인상과 향후 원자재 가격 안정에 따른 투입 원가 하락이 공존하는 시기로 이익 스프레드 확대가 기대되는 업체를 주목해야 한다고 판단
하나증권 미래산업팀(스몰캡) 텔레그램 주소: https://t.me/hanasmallcap
하나증권 미래산업팀(스몰캡) 드림
* 위 내용은 컴플라이언스의 승인을 득하였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