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공대함 레이더 ASV Mk II와 Leigh 탐조등 조합이 이제 막 위력을 발휘하기 시작

반응형

펌) <독일놈들도 머리가 있다>

공대함 레이더 ASV Mk II와 Leigh 탐조등 조합이 이제 막 위력을 발휘하기 시작한지 2~3달 된 1942년 8월 경부터 로열 에어포스 해양 초계기들 중 일부가 이상한 경험을 하기 시작.  

레이더 스코프에 유보트를 포착하고 신이 나서 달려가보면 귀신처럼 유보트가 사라졌다는 것.  처음에는 레이더 오작동인가 싶었으나 곧 독일놈들이 레이더 전파를 수신하여 초계기가 다가온다는 것을 경보하는 장치를 만들었다는 것을 깨달음.  9월 경에는 모든 초계기들이 그런 현상을 경험하기 시작.

나중에야 알았지만 이는 FuMB 1 (Funkmessbeobachtungsgerät, 전파 측정 장치)라는 공식 명칭이지만 실제로는 그 장치를 만든 파리 소재 프랑스 회사의 이름을 따 그냥 Metox라고 불리는 간단한 장치 덕분 (그림1).  이는 1.5m 길이의 십자 형태로 구성된 안테나를 손으로 돌려가며 당시 영국 ASV Mk II의 주파수인 200MHz 전파를 탐지하여, 만약 전파가 수신되면 감시원의 헤드폰에 삐 소리가 나게 해주는 매우 간단한 장치.  요즘 전투기들은 다 갖춘 radar warning receiver (RWR)의 원조인 셈.

이건 매우 간단한 장치였지만 운용의 묘는 필요.  ASV의 레이더 전파는 초계기가 유보트를 탐지 못하는 먼 거리에서도 감지가 되었으므로 그 주파수의 전파가 감지되었다고 해서 당장 경보를 울린다면 유보트는 불필요한 가짜 경보에 쉴 틈이 없었을 것. 도플러 효과를 이용한 감지 장치가 없던 메톡스에서는 어떻게 저 전파가 엉뚱한 방향으로 날아가는 초계기에서 날아온 것인지 자신을 탐지하고 자기 쪽으로 날아오는 초계기에서 온 것인지 구분했을까?  

당시 로열 에어포스 초계기들은 먼 거리까지 감시할 때는 레이더 거리 측정 화면인 A-scope의 척도를 58km로 두었다가, 뭔가 해상의 물체를 파악하면 목표물을 더 자세히 보기 위해서 거리 측정 화면의 척도를 14km로 다시 설정했음.  (그림 2에서 가로축의 길이를 58km로 설정하느냐 14km로 두느냐의 차이.)  그렇게 하면 레이더 펄스파의 빈도수가 2배로 늘어남.  즉, 유보트의 메톡스 감시원은 삐 소리가 점점 커지는지 여부에 귀를 기울이다가 삐 소리가 2배로 늘어나면 '영국놈들이 날아옵니다!'라고 경보를 울렸던 것.

이 간단한 장치의 효과는 극적.  대략 통계를 내보니 발견된 유보트의 50%가 초계기가 현장에 도착하기 전에 이미 잠항.  그리고 연합군의 젖줄인 대서양 수송로에서의 수송선 격침량이 ASV 덕분에 막 줄어들고 있었는데 메톡스가 도입된 이후로 수송선 격침량이 눈에 띄게 증가하기 시작.

이를 알게 된 로열 에어포스에서는 머리를 감싸고 고민.  이러면 ASV를 끄고 초계 비행을 해야 하는 거 아닌가?  그런데 그런 결정은 충동적이어서는 안 되고 데이터에 기반을 두어야 함.  그런데 아직 통계 데이터가 없음.  그래서 일단은 그냥 ASV를 켜고 계속 초계 비행.  통계 데이터는 몇달 뒤인 1943년 초에야 나왔는데 그 결과는...

ASV 레이더가 도입되기 이전에는 초계기가 유보트를 발견할 때까지 평균 135시간을 비행해야 했음.  그런데 그 시간이 ASV 도입으로 95시간으로 줄었음.  40%가 넘는 향상.  그런데 10월 이후 메톡스가 완전히 자리를 잡은 이후에는 그 시간이 다시 135시간으로 늘었음.  즉 메톡스는 ASV 레이더를 완전 무력화시켰다고 볼 수 있었음.  그런데 정작 ASV를 끄고 초계를 해보니, (이젠 유보트들도 초계기에 대해 주의했으므로) 그 시간은 245시간으로 껑충 뜀.  거의 45%가 넘는 악화.  

결국 메톡스에도 불구하고 ASV는 여전히 도움이 된다는 것이었고 결국 로열 에어포스는 ASV를 계속 사용하기로 함.

그런데 뭔가 대책은 있어야 할 것 아닌가?  대책은 의외의 곳에서 나옴.

그림1. 메톡스 안테나.  전파 감지는 저 십자가에 감긴 전선에서 하는 것이고, 저 십자가 및 그를 둘러싼 마름모꼴 틀은 그냥 지지대일 뿐으로서, 당시 일부 유보트에는 그냥 낡은 나무 상자에서 뜯어낸 판재로 저 메톡스 안테나를 만들었다고.  저 마름모꼴 테두리 틀은 그냥 구조물 강화용인데, 간혹 저 마름모꼴 테두리는 떨어져 나간 상태에서도 운용했다고 함.  오른쪽 아래의 화살표는 사람의 머리 크기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크기 비교용.

그림2. 당시 레이더의 화면인 A-scope.  거리 측정 기능만 있었는데, ASV Mk II에서는 저 가로축의 길이를 장거리 모드에서는 58km로 두었다가, 목표물 근처로 접근하면 더 자세한 거리 측정을 위해 저 가로축의 길이를 14km로 재설정.

그림3. 메톡스 안테나를 올린 유보트와 그 승조원들의 모습

320x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