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OPEC+ 깜짝 감산
OPEC+가 산유량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겠다는 이전의 약속을 깨고 돌연 하루 100만 배럴 넘게 감산하겠다고 현지시간 일요일 발표. 최근 가격 변동에도 불구하고 이미 올해 남은 기간 타이트한 공급이 예상되는 시장 상황에서 이는 상당한 타격이 될 수 있음. 공급 부족에 유가가 뛸 경우 전 세계적으로 인플레이션 압력을 더할 수 있어 중앙은행들이 더 오래 더 높이 금리를 가져가야 할 수도 있으며 경기 침체 리스크를 증폭시킬 위험. 사우디아라비아가 하루 50만 배럴 감산을 약속하자 쿠웨이트와 아랍에미리트, 알제리 등이 뒤를 따랐고, 러시아는 3월부터 6월까지 실시하려 했던 감산을 올해 말까지 연장. 다음 달부터 시작되는 감산의 초기 영향은 하루 약 110만 배럴에 달할 전망. 이번 감산 결정으로 바이든 행정부와 사우디 간의 긴장이 다시 한번 고조될 수 있음
2. 미국 PCE 인플레이션 둔화
미국 인플레이션이 다행히 둔화 조짐을 보임에 따라 연준의 추가 금리 인상 압박이 줄어든 모습. 식료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2월 근원 개인소비지출(PCE) 물가지수 상승률은 전월비 0.3%로 시장 예상치 0.4%와 이전 수정치 0.5%를 하회. 헤드라인 PCE 상승률 역시 전월비 0.3%으로 0.6%에서 후퇴. 전년비로는 근원 PCE 인플레이션은 4.6%, 헤드라인은 5.0%으로 모두 시장 예상을 소폭 밑돌음. 실질 개인소비는 1월 수정치 1.5% 증가에서 2월 0.1% 감소로 돌아섬. 수잔 콜린스 보스턴 연은총재는 지표가 한달 바람직한 방향으로 움직였다고 해서 이를 추세적으로 보기엔 무리가 있다며, “우리는 아직도 해야할 일이 더 있고 인플레이션이 지속적으로 하향 경로에 있는지 확신하려면 더 봐야 한다”고 현지시간 금요일 블룸버그 TV 인터뷰에서 말함. 또한 최근 은행 실패로 어느 정도 신용여건이 긴축될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
3. 미국채 추가 랠리?
미국채 시장이 요동친 가운데 올해 1분기 투자 수익률이 3% 를 기록했다. 2008년래 첫 미국 은행 실패로 연준 금리 예상 경로가 갑자기 리프라이싱되면서 2020년 1분기 팬데믹 초기 이후 가장 좋은 성적을 거둔 셈. 단기적으로 추가 이익을 기대할 수 있는 재료도 있음. 일본 투자자들이 회계년도가 바뀌며 미국채 매입을 늘릴 가능성이 있는데다 미국 정부채권 펀드로의 자금 유입이 넘쳐나는 상황. 게다가 이번주엔 미국채 장기물 입찰도 없음. 물론 미국 고용지표가 시장 예상보다 크게 좋을 경우 연준의 5월 금리 인상 기대에 불을 지필 위험도 무시할 수 없음. T. Rowe Price의 Steve Bartolini는 미국채 랠리가 일시적으로 피로해 보이더라도 올해 통화정책 완화 기대가 미국채 금리에 계속해서 하방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내다봄
한편 미국 상업은행들의 예금이 3월 22일 마감 주간 1257억 달러 감소해 9주 연속 위축을 기록. 대출의 경우 2021년 6월래 최대폭인 204억 달러 감소. 블룸버그 이코노믹스는 많은 기업의 재무팀이 금리가 더 좋은 MMF를 선호하면서 대규모 은행 예금 인출이 이어지고 있다며, 은행 시스템의 취약성이 더이상 전이되진 않고 있지만 신용 여건이 계속해서 타이트해 질 것으로 전망
4.美금융혼란 ‘아직 안심 이르다’
래리 서머스 전 미국 재무장관은 연준의 가파른 금리 인상으로 촉발된 금융 혼란이 고비를 모두 넘겼다고 확신하기엔 아직 이르다고 주장. 그는 현지시간 금요일 블룸버그 TV에 출연해 “지진이 여러 차례 이어지면 꽤 시간이 지나야 그 마지막을 봤다고 확신할 수 있다”며, “그래서 연준의 일이 그만큼 어렵다”고 진단. 3월과 같은 뱅크런이 재발될 확률은 절반도 안되지만 신용을 위축시킬 또 다른 종류의 사건이 발생할 수 있다고 우려. 무엇보다 금융 다이내믹스가 “비선형적” 방식으로 전개되어 신용 위축이 자산 가격 하락을 부추기고 부실채권이 발생해 이로 인해 신용이 더욱 줄어드는 악순환으로 발전할지가 관건이라고 지적. “아직 경보 해제 신호를 주기엔 시기상조”라며, 여름은 되어야 좀더 확실해질 전망이라고 내다봄.
한편 ‘닥터둠’으로 잘 알려진 누리엘 루비니는 “우리는 물가 안정, 경제 성장, 금융 안정을 동시에 달성할 수 없다”며, 세계 경제에 대해 “매우 비관적”이라고 밝힘. 인플레이션이 너무 높아 금리를 올려야만 하는 상황에서 결국 “경제와 금융의 붕괴”가 초래될 위험이 있다고 경고. 모간스탠리 수석 미국 이코노미스트 Ellen Zentner는 “항상 어떤 위험이 도사리고 있는지 걱정해야만 한다”며, 특히 그림자 은행 시스템의 경우 그 규모를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에 리스크 요인이라고 지적. 또한 미국 상업용 부동산 부실이 지역은행을 더욱 압박할 수도 있다고 우려
5. UBS 최대 30% 감원
UBS그룹이 크레디트스위스(CS) 인수를 마무리 지은 뒤 직원의 20~30%를 내보낼 계획인 것으로 알려짐. 스위스 국내에선 최대 1만1000명이 구조조정 대상이며, 글로벌 부문의 경우 2만5000명이 해고된다고 스위스 신문 SonntagsZeitung이 UBS 고위 관계자를 인용해 보도. UBS와 CS의 직원수 합계는 2022년말 기준 거의 12만5000명에 달하며, 이 중 약 30%가 스위스에서 일하고 있음. UBS 대변인은 해당 보도에 대해 논평을 거절. CS는 정부 중재로 긴급 구제가 결정되기 이전에 이미 9000명의 인력 구조조정을 진행 중이었음. 한편 스위스 검찰은 현지시간 일요일 UBS의 CS 인수와 관련해 불법 행위를 찾아내기 위한 형사 조사에 착수했다고 밝힘. 앞서 스위스 재무장관은 CS가 수년에 걸친 스캔들 때문에 신뢰를 잃어 대규모 예금 인출 사태로 이어지는 바람에 당시 UBS 인수가 아니었다면 바로 그 다음날 붕괴되었을 것이라고 말한 바 있음
증시전망 시황. 삼성전자 실적을 앞두고
주말 증시 변수는 중립 이상
미 증시 물가 지표에 반응하며 상승
PCE 물가 예상치 소폭 하회
미시건대 소비자심리지수. 기대 물가도 양호
분기말 윈도 드레싱 효과도 있었을 듯
S&P500 상위 80위까지 모두 상승함
재료와 분기말 수급이 맞물린 효과로 보임
그러나 은행 이슈 없었다는 점 긍정적
물가도 방향성 자체는 긍정적으로 봐야
이번주 가장 중요한 것은 삼성전자
잠정 실적 발표, 외국인 수급 동향
3월에 외국인 삼성전자 1.3조원 매수
반면 SK하이닉스는 6000억원대 순매도
반도체 바닥론에 확신을 못 갖는 이유
주말에 나온 마이크론 변수가 어떤 형태로 작용할지
일단 국내 반도체 기업들에게는 나쁘지 않은 재료
지난주 후반 주춤했던 반도체주가 회복되는지 체크
이차전지 관련 종목들 움직임도 중요
그 자체 보다 업종 수급에 큰 영향을 주는 사안
IRA 법안 자체는 예상했던 수준
현재 공정 유지하며 보조금 대상
다만 어느 정도 예상한 수준이라는 해석도
1분기 대상승 이 후 연속성 나올지
2주 전부터는 동시 상승이 아닌 그 안에서 순환매
에코프로 3인방 보다 엘앤에프가 강세를 보임
그 안에서 수급 이동만 나오는지 체크
2분기 첫 주도주군 집중 관찰해야
3월 후반 반도체주가 강세 보이며 움직임
주후반에는 실적 부진론에 다시 눌림
후반 원전과 철강주들 강세
주초에 치고 가는 업종 집중 관찰해야
2분기는 하반기 업황을 반영하기 시작
한 사이클 움직일 가능성 높아 주목해야
지난주 코스피는 60월선 위에서 마감
작년 5월에 이탈한 후 처음 위로 올라선 것
이 위치가 지지선으로 바뀌는 것이 최선
외국인 매수, 대형주 주도하는 흐름 나오는지
은행 이슈 사실상 종료되며 수급 돌아오는지 집중
.............시황맨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대신증권에서 투자전략을 담당하는 이경민입니다.
오늘 코멘트 요약입니다.
1. 글로벌 증시, KOSPI의 반등세 지속. 호재만을 반영하며 최상의 조합에 대한 기대의 결과. 금리인하 기대가 여전히 강한 상황에서 미국, 유럽 은행권 불안 진정과 미국 소비심리지수 예상 외의 반등, 중국 PMI 호조 등이 가세. 심리, 수급변수도 3월말 증시 반등에 힘을 실어주었다고 생각
2. 금융불안 소멸과 경기회복이 가시화되는 국면에서 연내 50bp 이상 금리인하 가능성은 극히 낮다고 생각. 긍정적 기대만을 반영해 온 시장이 Bad is Bad, Good is Bad 국면으로 전환될 가능성을 경계한다는 뷰를 유지. 당분간 달러, 채권금리 반등, 증시 변동성 확대를 예상
3. 4월초 글로벌 금융시장은 변곡점에 위치. 최근 채권금리, 달러화 하향안정세, 증시의 강한 반등세는 다소 과도한 흐름으로 판단. 투자심리, 수급변수에 의해 글로벌 금융시장이 현재 위치에 있다면 당분간 경계심리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 멀지 않은 시점에 3월 중순 이후 증시 강세에 대한 반작용 국면으로 진입할 가능성 높음
4. KOSPI도 2,470선을 상회, 연중 고점권에 근접. KOSPI 12개월 선행 PER은 13.24배로 레벨업. 추가적인 상승을 위해서는 두가지 조건 필요. 1) 더 강한 금리인하 기대가 유입되면서 채권금리, 달러가 레벨다운되면서 밸류에이션이 레벨업되거나 2) 빠른 경기/실적 턴어라운드(EPS 상향조정)가 가시화되어야 하는 상황
5. 당분간 채권금리, 달러 단기 반등 가능성 높음. KOSPI 12개월 선행 PER이 14배, 15배로 레벨업되기는 힘들다는 의미. 실적도 추가적인 하향조정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 23년 1분기 프리어닝 시즌만으로도 이익전망 하향조정세가 다시 가팔라지고 있음
6. 당분간 보수적인 의견을 피력하는 가운데 조정시 매수전략을 유지하는 이유는 펀더멘털 측면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기대하고, 그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기 때문. 그 중심에는 중국과 반도체가 자리. 중국 경기 방향성은 개선 쪽으로 전개. 관건은 한국 수출.
7. 1일 3월 한국 전체 수출금액은 551억달러로 1월 463억달러를 저점으로 2개월 연속 증가세를 기록 중. 반도체 수출 금액은 86억달러로 1월, 2월 60억달러 수준에서 26억달러 급증. 중국 수출금액도 1월 91.7억달러를 기록한 이후 2개월 연속 증가하며 104.2억달러를 기록
8. 중국 경기회복과 맞물린 한국 수출 회복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음. 아직 눈에 보이는 변화는 제한적이지만, 점차 가시적인 변화로 이어질 전망. 글로벌 매크로 환경에 대한 기대가 정상화되고, 밸류에이션 부담이 다소 완화된 이후 펀더멘털 모멘텀, KOSPI 상승추세를 살 수 있을 것
9. KOSPI 2,400선 이상에서 추격매수, 비중확대를 자제하고, 주식비중이 높은 투자자들은 비중조절이 필요. 더 낮은 지수(KOSPI 2,300선 초반, 또는 그 이하), 가격대에서 매수기회가 올 것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Tesla는 기록적인 배송량을 기록했지만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예상치를 하회했습니다.
요약:
◾️ 경쟁 심화와 경기 우려로 인해 Tesla가 1분기 출하량 예상치를 하회했습니다.
◾️ 가격 인하는 수요를 늘리는 데 도움이 되었지만 투자자들은 마진 약화에 대해 우려했습니다.
◾️ Tesla는 추가 가격 인하와 미국 전기차 보조금 축소 가능성에 대한 압박에 직면해 있습니다.
배경
◾️ Tesla는 가격 인하를 통해 판매를 촉진하고 신규 공장의 생산량을 늘리려고 했습니다.
◾️ 경쟁업체들이 시장 점유율을 유지하기 위해 가격 인하를 단행하면서 중국에서 가격 전쟁에 직면했습니다.
관련 수치 및 날짜:
◾️ 1분기에 422,875대의 차량을 인도하여 애널리스트 예상치인 430,008대를 밑돌았습니다.
◾️ 1분기 인도량은 1년 전보다 36% 증가했지만 예상 성장률인 52%에는 미치지 못했습니다.
◾️ Tesla는 2023년 1월에 전 세계 전기차 가격을 최대 20% 인하했습니다.
◾️ 2023년 4월 18일부터 일부 모델에 대한 미국 전기차 보조금이 감소할 수 있습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Tesla 1Q23 판매대수 : 컨센 상회]
(Feat. 컨센서스 421K)
☑️판매대수 부진 우려 및 불확실성 해소
•Tesla 1Q 판매대수 추이
Q1 2012: 0
Q1 2013: 4,900
Q1 2014: 6,457
Q1 2015: 10,045
Q1 2016: 14,820
Q1 2017: 25,000
Q1 2018: 29,980
Q1 2019: 63,000
Q1 2020: 88,400
Q1 2021: 184,800
Q1 2022: 310,048
Q1 2023: 422,875
카테고리 없음
미국 증시전망 및 테슬라 애널리스트 예측치 하회
반응형
320x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