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주도 다양한 지표발표가 예정되어있네요
개인적으로 수요일까지는 반등전망인데
금요일에 선물옵션만기일이 있어서
살짝? 힘빠지는 모습이 보일것같기도...?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서상영님 시장리뷰 ㅣ 08/12 주간 이슈 점검: 소비자물가지수, 소매판매, 산업생산
*총론
최근 시장은 경기경착륙 가능성에 대한 논의가 주를 이루고 있음. 여기에 일본 BOJ의 금리인상과 매파적인 발언으로 인한 엔 캐리 트레이드 청산 이슈등으로 변동성이 확대되는 경향. 그러나 지난 주 후반 이후 경기 경착륙 이슈가 완화되며 안정을 찾아가는 경향을 보임. 물론, 엔 캐리 트레이드 청산 물량도 상당수 진행됐다는 평가도 영향. 실제 CFTC JPY 비상업적 선물 포지션이 7월 초 극단적인 숏 포지션에서 현재는 평균. 그렇지만, 이번 주에는 소비자물가지수와 특히 소매판매, 산업생산 발표가 있어 이 결과에 시장의 방향성이 결정 될 것으로 예상.
시장은 소비자물가지수가 7월에는 에너지 중심으로 전월 대비 0.2% 상승을 예상하고 있음. 그렇지만, 주거비의 하향 안정 기대가 높아지는 결과를 내놓을 것으로 예측되고 있어 예상치와 크게 다르지 않을 경우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듯. 다만, 소매판매, 산업생산이 문제인데 최근 고용데이터를 통해 알 수 있는 부분은 결국 허리케인 영향을 반영할 수 있다는 점. 이 경우 소비와 생산 모두 시장에서 예상하듯 전월 대비 증가가 아니라 감소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음. 결과에 따라 주 후반 경기 침체 이슈가 재차 불거질 수 있어 주 초안정 후 주 후반 변동성 확대로 진행될 것으로 예상. 특히 금요일이 미국의 옵션만기일임을 감안 수급에 의한 변동성 확대도 불가피
한국은 엔 캐리 트레이드 청산 시기 신흥국에서 대만 등에 이어 세번째로 외국인 자금이 빠져 나갔고, 12개월 Fwd PER은 팬데믹 시기 이후 최저수준, 12개월 Fwd PBR은 2022년 이후 최저 수준. KOSPI VIX 지수도 팬데믹 이후 최고치. 그렇기 때문에 기술적으로는 매력적인 반등 시점. 그러나 주 후반 미국 실물 지표의 결과에 따라 변동성 확대는 불가피하다고 시장은 평가
* 소비자물가지수
소비자물가지수는 지난 6월 전월 대비 -0.1%, 근원 물가도 0.1% 상승에 그쳤음. 그러나 7월 수치는 에너지 중심으로 상승해 시장은 헤드라인은 0.2%, 근원은 0.3%로 상승 전망. 클리블랜드 연은의 인플레이션 Nowcasting은 헤드라인은 0.24%, 근원은 0.27%로 예측하고 있어 시장 전망과 비슷한 수준. 다만, 주거비는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자동차 가격은 지속 하락이 예측되고 있어 물가 둔화는 지속되고 있을 것으로 추정. 특히 주거비는 여타 투자회사들 대부분 하반기에 본격적인 둔화를 예상하고 있어 물가가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기대. 그렇기 때문에 지난 7월 FOMC에서 연준은 물가와 더불어 고용까지 2중 책무 모두 주목하고 있다고 발표. 향후 시장은 경기에 더 주목할 것으로 예상
* 미국 소매판매, 산업생산
미국 소매판매는 전월 대비 0.0%에서 0.3%로 산업생산은 전월 대비 0.6%에서 0.1% 증가로 시장은 예상. 그렇지만, 이번달 소매판매등은 예상을 하회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음. 최근 고용데이터 등을 통해 알 수 허리케인 영향이 지표에 영향을 줬던 만큼 전월 대비 감소 가능성이 일부에서는 제기되고 있음. 월 초 경제지표 발표 후 시장은 경기 경착륙에 대한 이슈에 민감하게 반응을 보이고 있어 관련 지표가 예상보다 부진할 경우 변동성 확대 요인으로 작용할 듯
* 중국 소매판매, 산업생산
중국의 경기 회복 기대가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발표되는 7월 소매판매는 전년 대비 2.0%에서 2.6%로 개선 전망. 산업생산은 5.3%에서 5.2%로 소폭 둔화 예상되나 소비에 더 집중하는 경향이 높아 시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 다만, 최근 몇개월간 중국을 비롯해 한국 대만 등 동아시아 주요국의 수출이 둔화되고 있다는 점은 주목. 특히 대 미, 대 유럽 수출의 둔화가 진행되고 있어 글로벌 경기 위축 우려를 자극하고 있기에 산업생산 세부 품목의 변화도 주목해야 할 듯.
08/12(월)
중국: M2, 신규대출
미국: 소비자 기대 인플레이션
보고서: MSCI 분기 리뷰, OPEC 원유시장 보고서
휴장: 일본
실적: 배릭골드
08/13(화)
독일: ZEW 경기기대지수
미국: 소기업 낙관지수, 생산자물가지수
보고서: IEA 원유시장 보고서
발언: 보스틱 애틀란타 연은 총재
실적: 홈디포, 텐센트
08/14(수)
영국: 소비자물가지수
유로존: 2Q GDP
미국: 소비자물가지수
은행: 뉴질랜드 통화정책회의
실적: 시스코시스템즈, UBS, 카디날헬스
08/15(목)
중국: 소매판매, 산업생산, 고정자산투자, 주택가격지수
미국: 소매판매, 산업생산
발언: 무살렘 세인트루이스 연은, 하커 필라델피아 연은 총재
휴장: 한국, 인도, 이탈리아
실적: 월마트, 알리바바, AMAT, 디어, 진둥닷컴
08/16(금)
미국 옵션만기일
미국: 건축허가, 착공건수, 소비자 심리지수
굴스비 시카고 연은 총재
'American Stock Story[2024]'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복잡하긴 해도 우리는 세가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습니다. (34) | 2024.08.11 |
---|---|
<이번주 지표 일정> (33) | 2024.08.11 |
미국 경기침체가 온다고 예상하는 분들이 있는데... (36) | 2024.08.10 |
2024년 8월 엔비디아 분기 실적발표 다들 걱정되시나요? (40) | 2024.08.10 |
골드만삭스를 비롯한 주요 투자회사들이 캐리 트래이딩 물량 중 80% 내외 청산 됐다고 평가 (39) | 2024.08.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