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ㅁ충격적인 미국심리

반응형

오늘(2022년 10월 10일) Financial Times 1면 Top 기사

-----

FT에서 미국 재무장관 Janet Yellen을 인터뷰했다.

기사를 한 줄 한 줄 찬찬히 읽어보면 바로 느낄꺼다. 역사에 남을 인터뷰 기사다. 자신들의 의도를 전혀 숨기지 않고 있다. 이렇게 대놓고 얘기해도 되나 싶을 정도로 '막말'을 하고 있다. 몇 달 뒤에 다시 읽으면, 소위 '소오름', '성지 순례'라고 댓글이 달릴 인터뷰 기사다.

결론적으로 미국은 지금 상황(달러 및 유가 강세)을 매우 'Happy'하게 보고 있다. 자신들에게 유리하게 상황이 흘러가고 있다고 파악하고 있다. 아울러 현재 상황(달러 및 유가 강세)을 지속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기사 내용을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1. OPEC+의 감산은 세계 경제, 특히 이머징 마켓 국가 경제를 위협

2. OPEC+ 감산에 대해 백악관은 대응책을 고심중

3. 러시아 석유 가격 상한제는 이머징 마켓 경제에 도움

4. 바이든 행정부는 이머징 마켓 국가들에게 닥칠 문제를 걱정중

5. EU 국가들은 약속한 돈을 우크라이나에 빨리 보내라.

6. 워싱턴은 EU 국가들이 약속을 지키는지 계속 보겠다.

7. 달러 강세는 미국 경제 성장 및 펀데멘탈 고려할 때 당연하다

8. 세계 금융 시장의 불확실성에 대한 우려는 과도하다.

9. 세계 금융 시장 변동성 확대되고 있지만, 잘 돌아가고 있다.

-----

Janet Yellen은 기분이 너무 좋은데, 대놓고 너무 좋다고 말은 할 수 없는 상황에서 인터뷰에 응한 것 같다. 일단 OPEC+의 감산에 따른 유가 강세가 이머징 마켓 경제에 위협이 된다고 말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 러시아 석유 가격 상한제는 강행하겠다고 한다. 러시아 가격 상한제를 도입하면, 러시아가 석유 생산량을 줄이거나, 중국, 인도와 같은 우방국들에게만 석유를 보낼텐데 이것이 어떻게 이머징 마켓 경제에 도움이 되나? 미국 석유 기업에게나 도움이 되겠지.

아울러 OPEC+가 감산을 발표했을 때는 리야드를 폭격하거나, 사우디 MBS의 계좌라도 동결할 것처럼 흥분하더니 지금까지 뭐하고 있나? 막말로 OPEC+의 감산이 예상치 못하게 일어난 것도 아니고, 며칠 몇 날동안 '자락' 깔다가 발표한건데 아직도 대응책을 고심하고 있다는게 말이 되나? 백악관이나 국무부 직원들이 몇 명인데 말이다.

미국은 고유가 문제를 해결할 의지가 없다. 전혀 없다. 오히려 고유가를 방조하고 있다. 전략비축유 방출하고 있지 않냐고? 이거 아무 효과도 없는 건 바이든 대통령의 약쟁이 아들도 안다.  

두번째 미국은 우크라이나에서 슬슬 발을 빼려는 것 같다. 러시아는 이미 '그로기' 상태까지 왔다. EU 경제 역시 사실상 붕괴 직전이다. 세계 최강 제조업 국가 독일의 BASF조차 공장 가동 중단을 검토하고 있으면 '볼짱' 다 봤다는 얘기다. 미국은 이제 우크라이나 사태에서 얻을 수 있는 건 다 얻었고, EU 회원국들끼리 '지지고 볶고' 알아서 하라는 생각인 거 같다.

세번째 지금 이머징 국가들에게는 고유가보다 달러 초강세가 더 심각한 문제다. 달러 강세가 너무 심각해서 석유 수입할 돈도 없는 것이다. 막말로 이머징 국가들 대부분 날씨 따뜻한 나라다. 차량 보급율도 높지 않다. 이런 국가들에게는 당연히 '연료'보다 '식량'을 조달하는 것이 더 큰 문제다. 외채 갚을 돈이 없어서 식량 수입도 못하는 것이 이머징 국가들인데, 강 달러는 미국 경제 상황이 좋아서 벌어지는 당연한 현상이란다.

같은 맥락에서 세계 금융 상황 역시 별 문제 없어 보인다고 한다. 아무 문제가 없다고? 크레딧 스위스 파산 루머가 돌고, 영국 국채 30년물 국채 금리가 5%를 뚫었는데 별 문제 없어 보인다고?

미국 재무장관 Janet Yellen은 지금 너무 행복해보인다.

'미국 빼고, 다 망할 거 같아서 행복해요'

며칠전 OPEC+ 감산으로 미국이 큰 덕을 볼 것이란 Posting을 올렸는데, 미국 재무 장관이 FT 1면을 통해 며칠 만에 대놓고 그렇다고 답을 해준 것 같다. 미국은 강달러와 고유가를 통해 이머징 마켓과 유럽에서 '피'가 철철 흐르길 바라고 있다. 아니다. 상황이 그렇게 흘러가게 만들어가고 있다. 정확히 이들의 의도대로 시장은 흘러가고 있다.

이제 떡 줄 놈은 생각도 없는데 '미국 연준의 Pivot' 따위 말도 꺼내지 마라.

'Pivot'의 P를 꺼내는 놈, 그 놈이 배신자다!

아무 것도 기대하지 마라.

애시당초 말도 안되는 얘기였다.

아울러 착각하지 말자. 바이든 대통령은 '미국의 주인'이 아니다. 그냥 잠깐 있다가는 '손님'일 뿐이다. 그 많던 '손님' 중에 인기도 제일 없어서 힘도 제일 없는 '손님'이다. '미국의 주인'들은 중간 선거 결과 따위 신경 쓰지 않는다. 막말로 유가 폭등하면 공화당 쪽은 더 좋지 뭐.

다만 FT 1면에 미국 재무 장관을 통해 이런 내용의 인터뷰가 실리는 걸 보면, 몇 년만에 승기를 잡았다고 생각하는 '미국의 주인'쪽에서 방심하고 있는 것 같다는 생각도 든다. 중-러 연합, 더 나아가 EU가 어떻게 대응하는지 지켜봐야겠다.

P.S 글을 쓰고 있는 지금 우크라이나 수도 Kyiv에 몇 달 만에 미사일 폭격이 시작되었다는 뉴스가 속보로 뜨고 있다.









ㅁ경기침체 우려지속 - https://wkdnsskfk.tistory.com/m/entry/%E3%85%81%EA%B2%BD%EA%B8%B0%EC%B9%A8%EC%B2%B4-%EC%9A%B0%EB%A0%A4%EC%A7%80%EC%86%8D

ㅁ경기침체 우려지속

Global Index 입니다. 쿼지 콰텡 영국 재무장관이 소득이 15만파운드(약 2억4000만원)인 고소득자에게 적용하는 최고세율을 45%에서 40%로 낮추기로 했던 계획을 철회한다고 3일(현지시간) 발표했다고

wkdnsskfk.tistory.com

320x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