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의 대(對)중국•러시아 석유·원유 수출 현황과 세계 시장 비중, 그리고 이 공급이 끊길 경우 중국과 러시아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습니다.
---
1. 이란의 석유 수출량 및 수출처
이란 전체 원유+석유 수출량은 하루 약 1.7백만 배럴(bpd) 수준입니다 .
이 중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90–95% 이상으로, 사실상 중국이 대부분을 흡수하고 있으며 , 러시아로의 수출은 거의 없거나 극히 제한적입니다.
요약
이란→중국: 약 1.5~1.8백만 bpd
(기록적 수치: 2025년 3월 기준 1.8백만 bpd, 2024 연평균 약 1.5백만 bpd)
이란→러시아: 통상적으로 거의 이뤄지지 않음 (주요 수출은 중국 집중)
---
2. 세계 시장에서의 비중
전 세계 원유 소비량 약 105백만 bpd 중 이란의 수출량 1.7백만 bpd는 약 1.6% 수준에 해당합니다 .
---
3. 이란 공급 차단 시 영향 분석
💡 중국에 미치는 영향
중국의 수입 중 이란산 비중은 총수입의 약 8–15% (중국 전체 수입 10~11백만 bpd 중 이란산 1.5-1.8백만 bpd) .
만일 공급이 끊길 경우:
**독립 정유소(teapots)**들은 할인된 이란산 원유로 경쟁력을 유지해왔기에, 정상 시장가격(Brent 수준)으로 돌아가면 수익성 타격이 클 수 있음 .
대체 조달은 가능하나, 단기적으로 사우디·러시아·이라크산 등으로 일부 전환해야 하며, 운송비 상승, 보험료 증가, 가격 상승 등의 부대효과가 예상됩니다 .
정치/경제적 의미로도 자립 에너지 확보 전략에 모순이 생길 수 있습니다.
💡 러시아에 미치는 영향
이란산 유입 비중이 매우 낮기 때문에, 이란 공급 중단은 **러시아에는 실질적 영향이 거의 없습니다.**
---
4. 글로벌 파급 효과
이란산 공급이 차단된다 해도 세계 원유에서는 약 1.5% 감소, OPEC+와 비OPEC 국가들의 **여유 생산량(비축 여력 등)**을 통해 어느 정도 메워질 수 있음 .
다만:
지정학적 리스크, 특히 호르무즈 해협의 위협이 커지면, 물류 불안, 운임·보험료 급등, 국제유가 급등 (최대 +10~30달러 범위까지) 가능성 있음 .
---
✅ 정리 테이블
항목 수치 및 비중
이란 → 중국 원유 수출 1.5 ~ 1.8백만 bpd (90‑95%)
이란 전체 수출량 약 1.7백만 bpd
세계 원유 수출 비중 약 1.6%
이란 → 러시아 수출 거의 없음
공급 중단 시 중국 영향 수익성 하락, 가격 상승, 조달처 전환 필요
공급 중단 시 러시아 영향 거의 없음
글로벌 파급 유가 상승 (단기), 대체공급 증대 가능성
---
📝 결론
이란이 러시아에 공급하는 유류는 사실상 없으며, 따라서 러시아에 직접적인 영향은 거의 없습니다.
중국은 이란산에 크게 의존하고 있어, 공급이 중단될 경우 단기적으로 독립 정유소의 수익성 하락, 가격 상승, 대체 공급처 확보 노력이 급증할 것으로 보입니다.
단기적으로는 OPEC+ 및 여유 공급량이 글로벌 공급을 안정시키겠지만, 지정학적 리스크(호르무즈 해협 긴장 등)가 병행될 경우 국제유가 급등과 물류 비용 상승 등의 전 세계 경제 영향도 피할 수 없습니다.
---
'U.S stocks [2025] ISSUE arrangemet'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의 현재 유동성 상황은 여전히 충분하지만 (9) | 2025.06.21 |
---|---|
2022년 미국 증시(특히 S&P 500 기준)는 다음과 같은 (6) | 2025.06.21 |
일본은행(BOJ)의 초강력 긴축 정책이 본격화되며 (8) | 2025.06.20 |
정보유출 Apple, Facebook, Google And Other Passwords Leaked (7) | 2025.06.20 |
미국 증시, 미-이란 우려 (11) | 2025.06.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