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테슬라, 2022년 BMW보다 우수한 브랜드로 평가

반응형

<전기차, 내연기관차 price parity 도달한 것일까?>

테슬라 미국 판매 가격 인하

모델Y LR $52,990 ($7,500 받으면 $45,490)
모델3 RWD $43,990 ($7,500 받으면 $36,490)

둘의 평균은 $40,990 ($7,500 보조금 받는다 기준)





최근 미국 신차 평균 판매가격은 $48,000 (첨부 참조) 아마 내연기관차도 가격이 내려가고 있긴 할텐데, 코로나 이전에 $40,000 정도 였으니, 코로나 이전으로 돌아간다면, 이제 테슬라 전기차와 내연기관차의 구매가격은 거의 같다고 봐도 될 듯.

그러나 주행비용과 부품유지비를 고려하면 테슬라가 평균 대비 $4,000~$10,000 더 싸다고 볼 수 있다.


그 외 전기차의 탁월한 출력과 주행성능, 주행정속감 등의 프리미엄 요인은 고려하지 않았다. (FSD는 옵션구매이니 역시 고려 안 함)
개인적으로 전기차가 동급 내연기관차 대비 약 $12,000~$13,000 정도는 비싸야 합당하다고 생각한다.

보통 전기차 가격 하락은 배터리 가격 하락 없이는 안 된다고 봤었고, 아직 배터리 가격 하락의 가능성은 높으나 징후는 관찰되고 있지 않다.

도대체 테슬라는 어떻게 가격을 인하한 것인가? 왜 이렇게까지 인하한 것인가?

테슬라는 최근에 가격인하가 자체적인 원가 절감에 비례해서 진행된 것이라 발표한 바 있는데,

과연 진짜인지.. 아니면 수익성을 훼손한 결정이었는지..

ㅡㅡㅡㅡㅡㅡ




90만대의 판매를 가정하고, FSD 채택률을 50%로 가정하면 (3/Y) 45만명이 FSD를 구매. / 채택률을 30%로 가정한다면 27만명이 FSD를 구매.



450k * $15,000 / 270k * $15,000 이런 식으로 매출이 일어날 것을 가정한다면, 테슬라의 이익은 25%+ 상당의 총 마진으로 자동차를 판매하는 것과 비슷합니다.

테슬라의 로보택시는 분명히 아직 당장 실행될 수 없어 보이는데, 현재 북미에서 FSDbeta의 주행 퍼포먼스는 개인 오너가 일상에서 사용하기에 충분히 괜찮고 매우 매력적으로 보여집니다.

제가 (장기적으로) FSD에 bullish 한 생각을 갖고 있어서 그런지 몰라도. 오늘 테슬라의 차량 가격을 보니, 이번 년도 미국 FSD take rate 50% 수준이 보수적이진 않나? 생각하게 되네요.






다다음주에 있을 테슬라 실적발표에서 확인될 듯 하다.

그림 출처 : https://www.coxautoinc.com/market-insights/kbb-atp-september-2022/

320x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