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식량 위기 현실화 되나?
중국의 인구는 세계 인구의 20%인데 비하여 중국의 농업 경작 면적은 7%에 불과하여 구조적으로 중국에 식량 문제가 발생한다고 해도 놀랄 일은 아니다.
실제로 중국은 세계 최대의 식량 수입 국이다.
중국 정부는 식량의 90% 정도를 자급 자족하고 있다고 선전하고 있지만 일부 전문가들은 의심의 눈초리로 이를 바라보고 있으며 실제의 자급율은 이 보다는 훨씬 낮을 것으로 보고 있다
2023년 부터 갑짜기 중국정부는 가능한 모든 토지를 식량증산을 위한 농경지로 전환해야 한다고 하면서 "退林還耕" 이라고 하는 新정책을 강력하게 밀어 부치고 있다.
과거에 농경지를 환경 보호를 위해서 산림으로 바꾸기 까지 했던 중국 정부가 산림과 잔디밭까지 갈아엎으면서 다시 농경지로 전환하도록 하고 있으며 이에 반대하는 농민들의 반항과 저항을 제압하기 위하여 "農管" 이라고 하는 사실상 "깡패수준(?)" 의 특별 행정 부대를 조직하여 수십만명을 농촌에 파견하고 있다
중국 정부가 현재 하고 있는 작태(?)를 보면 중국의 식량 위기가 더 이상 숨길 수 없을 정도로 심각해 지고 있는 것 아닌가 하는 의심을 갖게 만든다. 과연 중국의 식량 위기는 어느 수준인가?
문제는 중국의 식량 위기는 결코 중국만의 일은 아니고 바로 우리의 위기이기도 하다.
만일 식량의 최대 수입국인 중국이 식량 위기에 빠지게 되면 덩달아서 식량의 해외 의존도가 세계적으로 높은 수준인 한국은 해외에서 구입해야 하는 식량의 물량을 확보하기도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식량 가격의 급등이라고 하는 경제적 곤경에 직면하게 될 것이다
출처 https://www.facebook.com/100003336620209/posts/pfbid029bFyxP3FxUuHuPMpmohqrRAif651uFxRFYQKhKGRgMwNwW3PECPXEzsPb4MA6Y3Ml/?mibextid=Nif5oz
'정치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왜 다섯 살 아이가 응급실을 뺑뺑돌다 목숨을 잃었을까...? (22) | 2023.05.18 |
---|---|
2015년 대장동 사업 공모에는 화천대유자산관리가 참여한 (21) | 2023.05.17 |
《국회의원 가상자산 전수조사와 이해충돌 방지 입법, 동시에 그리고 당장 추진합시다》 (14) | 2023.05.17 |
선동이 진실을 좌지우지할 수 있다는 자들이 판치는 세상에 살고 있다. (12) | 2023.05.17 |
쌓여가는 후쿠시마 방사능 폐기물 (17) | 2023.05.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