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국증시 중요 뉴스정리

미국 증시는 고용지표 혼재

반응형

[08/07, Kiwoom Weekly, 키움 전략 한지영]

"밖에서는 CPI, 안에서는 FOMO"

-------

<Weekly Three Point>

a. 금요일 미국 증시는 고용지표 혼재, 애플 vs 아마존 엇갈린 실적 등으로 하락(다우 -0.4%, S&P500 -0.5%, 나스닥 -0.4%).

b. 지금 시장은 새로운 모멘텀 확보에 주력하는 중. 이번주 CPI가 이를 충족시킬지 여부가 관건

c. 이번주 코스피는 미국 CPI, 중국 실물지표, 에코프로 MSCI 편입 여부 및 FOMO 현상 재개 여부 등에 영향받을 전망

-------

0.

한국 증시는 1) 미국의 7월 CPI, 미시간대 기대인플레이션 등 인플레 지표, 2) 중국의 수출입, 생산자 물가 등 주요 경제지표, 3) 에코프로의 MSCI 지수 편입 여부, 4) 하이브, 와이지엔터 등 기업 실적에 영향 받으면서 변동성 장세를 이어갈 전망(주간 코스피 예상 레인지 2,550~2,650pt).

1.

4일(금) 미국 증시는 애플(-4.8%) vs 아마존(+8.3%)의 엇갈린 주가 흐름, 7월 고용지표 결과 등으로 장중 상고하저의 흐름을 연출하며 하락 마감(S&P500 -0.5%, 나스닥 -0.4%).

이날 발표된 7월 신규고용은 18.7만건으로 컨센(20.0만건)을 하회했으며, 6월 수치도 기존 20.8만건에서 18.5만건으로 하향 조정되는 등 신규 일차리 창출이 둔화되고 있음을 확인.

반면 실업률은 3.5%로 전월(3.6%) 및 컨센(3.6%)을 모두 하회했으며, 시간당 평균임금도 4.4%(YoY)로 전월(4.4%)과 동일하면서 컨센(4.2%)를 상회하는 혼재된 결과를 기록.

이 같은 혼재된 7월 비농업부문 고용지표 결과는 시장 참여자들 사이에서 “골디락스 vs 경기둔화”, “추가 인상 vs 동결” 등 향후 경기와 연준의 정책 경로 변화를 놓고 혼선을 만들어 내고 있는 것으로 보임.

이는 연중 주가 랠리 이후 새로운 증시 모멘텀을 찾고자 하는 시장의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면서, 8월 이후 차익실현 명분을 지속적으로 제공하고 있는 중.

2.

금주에도 시장은 신규 호재성 재료를 확보하는 작업에 나설 것으로 보이며, 이 중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이벤트는 10일 예정된 미국의 7월 소비자물가(CPI)가 될 전망.

일단 컨센서스는 헤드라인이 3.3%(YoY, 전월 3.0%), 코어가 4.8%(YoY, 전월 4.8%)로 형성되면서 인플레이션 재 상승에 대비해야 하는 실정.

더 나아가, 클리블랜드 연은의 인플레이션 나우캐스팅 모델 상 8월 CPI도 3.9%로 제시되고 있다는 점이나, 국제유가 상승에 따른 기대인플레이션 반등의 잠재적인 리스크가 상존한다는 점도 유의할 필요.

이를 고려 시 7월 CPI 발표 이후 인플레이션 불확실성이 높아지면서 연준의 추가 긴축 불안이 출현할 수 있음.

하지만 지난 6월 헤드라인 CPI 고점 기록 이후 역기저효과가 소멸된 측면이 있으며, 추후 미국 포함 주요국들의 수요 측면 인플레 압력이 낮아질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 주안점을 둘 필요.

7~8월 중 인플레이션 상승은 추세의 반전이 아닌 1개 분기 정도 단기적인 상승 현상으로 보는 것이 적절.

3.

주중에는 중국의 인플레이션, 소매판매 등 실물경제지표나 OPEC 및 EIA 원유시장 보고서 등 여타 매크로 이벤트들도 대기하고 있으나, 국내 주식시장에서는 에코프로 편입 여부가 결정되는 MSCI 분기 리뷰 결과(11일 아침)가 중요할 것.

지난주 초전도체 테마주 쪽으로 수급이 일부 이탈하면서 에코프로 포함 2차전지주들의 주가 변동성이 높아지긴 했음.

하지만 초전도체 관련주들이 차기 주도 테마주가 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후퇴하고 있는 가운데, MSCI 지수의 에코프로 편입 여부에 따라 2차전지주의 주도 테마 복귀 및 그에 따른 FOMO 현상 재개 등 이들 업종의 주가 방향성이 결정될 것으로 전망.

또한 2차전지 FOMO 이전 시장의 관심이 높았던 엔터주들의 실적발표도 잇따라 예정된 만큼, 금주 국내 증시는 CPI 등 매크로 뿐만 아니라, 국내 주요 테마주들간의 힘겨루기 싸움에 영향을 받는 한주가 될 것으로 판단.

https://www.kiwoom.com/h/invest/research/VMarketSWDetailView?sqno=641





Mornig Report(2023.08.07.월)

☀️모닝 브리핑

전일 미증시는 장 초반 상승하는 듯 하였으나, 오후부터 하락으로 전환 3대 시장 하락 마감하였습니다. 전일 주요 체크 사항은 아래와 같습니다.

① 미국 비농업고용 예상치 하회, 평균 시간당 임금 +0.4% 상승. 장 초반 긍정적인 요소로 반응

② 유가 전고점 돌파 구간까지 상승, 관련하여 에너지주들 쪽 양호한 흐름.


✔️금일 모닝 리포트에 추가된 내용을 공유드립니다.

① 양 시장 기술적 분석 체크사항

② 전일 주도테마 및 트레이딩 코멘트

③ 지수 방향성에 따른 예상 강세, 차익 테마

④ 지난 주 관심 종목 리뷰 및 신규 관심 종목 편입


🚀 예상 주요 섹터

웨어러블부터 인간형까지…올해는 삼성의 로봇원년

5일 IT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최근 임직원을 대상으로 헬스케어용 웨어러블 로봇 ‘봇핏’의 파일럿 체험을 실시했다. 이는 제품 개발이 거의 막바지 단계로, 로봇 출시가 임박한 것으로 풀이된다.

의료용 로봇뿐 아니라 중장기 사업으로는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휴머노이드는 몸통과 팔다리를 갖춰 기본 형태가 사람과 유사한 로봇이다. AI를 탑재해 스스로 학습하고 작동하는만큼 상용화에 성공할 경우 다양한 산업에서 활용되며 기존 로봇 시장에 큰 변화를 가져올 전망이다. 이외에도 삼성전자는 시장 선점을 위해 국내외에서 로봇 관련 특허와 상표권을 꾸준히 출원하고 있다.

https://it.chosun.com/site/data/html_dir/2023/08/06/2023080600171.html


관련주 : 레인보우로보틱스, 에스피지, 에스비비테크, 뉴로메카, 인탑스, 알에스오토텍, 아진엑스텍, 러셀, 에브리봇, TPC, 로보로보, 싸이맥스, 유진로봇, 티로보틱스, 포메탈, 로보스타, 스맥, 유일로보틱스, 삼익THK, 휴림로봇, 퍼스텍, 싸이맥스, 로보티즈

· "휴머노이드 시대 무르익어 … 메시보다 축구 잘하는 로봇 나온다"



🔶8월 7일 시장 주도주

▶️신규상장
거래소, '파두' 코스닥 상장 승인...7일 거래 개시
(http://cuts.kr/KIPTa)
-신규상장: 파두

▶️로봇
웨어러블부터 인간형까지…올해는 삼성의 로봇원년
(http://cuts.kr/PSlIk)
-로봇: 레인보우로보틱스, 두산, 티로보틱스, 에스피지, 뉴로메카, 에스비비테크

▶️AI
삼성전자·현대차 모두 투자한 '텐스토렌트'…무슨 매력?
(http://cuts.kr/biCXV)
-AI: 폴라리스오피스, 솔트룩스, 셀바스AI, 코난테크놀로지, 마음AI, 오브젠

▶️초전도
'LK-99' 공동저자, 검증위 브리핑에 반박…"초전도체 특성 이미 확인"
(http://cuts.kr/fPdBC)
-초전도: 신성델타테크, 덕성, 서남, 파워로직스, 모비스

▶️정치
이준석 "한동훈, 정치 도전할 것…총선 지도자 역할해야"
(http://cuts.kr/YEEVM)
-한동훈: 오파스넷, 오리콤, 노을, 부방

▶️코로나
온열 질환, 코로나19 속출하고 있는 잼버리…의료계 '도움의 손길'
(http://cuts.kr/fxtMh)
-코로나: 휴마시스, 에스디바이오센서, 씨젠, 나노브릭, 신풍제약

▶️제약바이오
소외됐던 제약바이오, 실적 호조에 주가 들썩
(http://cuts.kr/KlPrR)
-제약바이오: 파로스아이바이오, 삼성바이오로직스, 셀트리온헬스케어, 펩트론, 지니너스, 유한양행, 오스코텍

▶️반도체
"7년 뒤 7만명 부족"…삼성·SK, 불황에도 반도체 인재에 돈 쓰는 까닭
(http://cuts.kr/NuoxQ)
-반도체: 한미반도체, SK하이닉스, 주성엔지니어링, 이오테크닉스, HPSP

▶️2차전지
몇 분 만에 1조원이 왔다 갔다...어질어질한 2차전지 투자
(http://cuts.kr/FQzlH)
-2차전지: 에코프로에이치엔, 에코프로, 금양, 에코프로비엠, POSCO홀딩스, 포스코인터내셔널

▶️호신용품
“내몸 지켜야”…묻지마 칼부림에 호신용품 주문 급증
(http://cuts.kr/WsPlg)
-호신용품: 웰크론, 태평양물산
-CCTV: 코맥스, 코콤,

320x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