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뉴스

(TSLA)테슬라가 만드는 변화, 따라오지 못하는 구식 공장들.

반응형

<우리는 빼구요>

일런머스크가 주총에서 애널리스트와 주주들이 차에만 집중하고 로봇에 대해 관심과 밸류를 주지 않는다고 투덜(?)거린다.

늘 내가 생각하던 바다. 왜 이 많은 것을 하는 회사를 자동차 회사라 생각할까? "한국에 있는 하이투자증권은 그렇지 않다고 누가 좀 전해주세요."

기술적 교집합이 진짜 큰 분야가 자율주행과 로봇이고, 섹터의 범위는 로봇이 차보다 큰 게 맞다.

처음 자동차 애널리스트를 시작할 때 대범주가 기계이고 그 안에 원동기가 포함되어 있었다. 즉, 기계가 자동차보다 큰 범주다.

기계에 인지,판단을 스스로 하도록 만든 것이 로봇이다. 산업분류상 모든 기계에 스마트 요소가 장착되어 Robotization이 된다면 로봇이 차보다 큰 분야가 되는 것은 당연하다.

그래서 늘 자율주행차는 바퀴 달린 로봇이라 말하는 것이다.

인지-판단-제어를 센서와 AI, Actuator에서 해낸다는 측면에서 로봇과 자율주행은 근본이 같다. 일런머스크가 많은 이들이 차만보고 로봇이 얼마나 커질지에 대해 고려를 안한다고 투덜대는 것이 충분히 이해된다.

로봇의 S/W, H/W, Platform, Connectivity를 모두 내재화해서 만든다는 것은 산업용, 서비스용 불문하고 가능하다는 뜻이다.


로봇은 생산과정에 그대로 투입될 수 있다. 포디즘 이후 컨베이어로 대변되는 기계화는 AMR과 Manipulator, Cobot을 통한 로봇으로 모두 대체된다. 아주 심플하게 말하면 공장이 로봇화로 무인화되는 것이 스마트팩토리다.

아주 오랜기간 자동차 애널리스트들은 도요타생산방식을 공부해야 했다. 하지만 이젠 달라졌다. AI와 로봇을 지배하는 스마트팩토리의 최강자가 도요타 생산방식을 압도하게 된다. 이게 오랜기간 화두가 되었던 Industry 4.0, CPS의 개념과도 일치한다.

생산방식에서의 스마트화, 이를 위해선 로봇이 아직 100% 인간처럼 행동할 수 없기에 로봇에게 익숙한 구조로 제품을 설계해야한다. 이 과정이 최근 테슬라발 뉴스로 나오는 Seat on pack Module 이나 Giga casting을 이용한 공정단순화다.


의장공정을 차 내부에 들어가서 해야하는 것이 아닌, 외부에서 처리해 도킹하도록 만든 것이다. 이런 구조는 자동차를 하면서 처음본다. 와이어하네스 처리도 로봇에게 알맞게 구조가 바뀌었다. 볼트너트를 없애고 레이저용접을 늘리는 것도 마찬가지다.  

테슬라만 관심을 갖는다고 비난하시는 분도 많다. 하지만 20여년간 자동차를 공부하면서 배웠던 많은 지식들이 이상한 업체 하나의 등장으로 전부 무용지물이 되어간다. 모든게 상식과 다르다.

AI에 대한 고민, 생산방식에 대한 고민, 전동화에 대한 고민, 로보택시에 대한 고민, 통신연결 방식에 대한 고민, 비즈니스 모델에 대한 고민, 원가에 대한 부분, 공유경제에 대한 생각, 플랫폼에 대한 생각, 에너지에 대한 고민, 비전센서에 대한 고민.... 해야할 고민을 진짜 다 해결해주고 있는 회사다.

하여간 자동차 애널리스트 관두고도 희안한 존재가 등장하는 바람에 지적호기심이 계속 싹튼다.

세상은 이렇게 변해간다.

320x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