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2/12 주간 이슈 점검: 물가, 실적, 심리
*물가
수요일에는 미국의 소비자 물가지수가 발표되는데 시장은 12월 수치와 같이 1월도 전월 대비 0.2% 상승 했을 것으로 추정. 전년 대비로는 3.2%에서 2.9%로 둔화될 것으로 전망. 다만, 근원 물가가 전월 대비 0.3% 유지된 가운데 전년 대비로는 3.9%에서 3.8%로 소폭 둔화에 그칠 것으로 전망. 한편, 클리블랜드 연은이 Nowcasting을 통해 발표하는 1월 소비자 물가지수는 전월대비 0.13%, 근원 소비자물가지수는 0.32% 상승 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전년 대비로는 각각 2.94%와 3.81%로 발표
*실적:
시장 조사업체 팩트셋에 따르면 S&P500 기업중 67%가 실적을 발표한 가운데 어닝 서프라이즈율은 75%, 매출 서프라이즈율은 65%를 기록 했다고 발표. 이 결과 4분기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2.9% 증가했다고 언급.
마진율은 11.1%에 불과해 대체로 비용 절감 효과가 컸던 것으로 추정. 이 결과 2023년 전체로는 전년 대비 0.9% 증가에 그침. 한편, 주가의 상승이 지속돼 12m Fwd PER은 10년 평균인 17.7배는 물론, 5년 평균인 18.9배를 크게 상회한 20.3배를 기록. 특히 IT 업종이 10년 평균인 20.0배를 크게 상회한 28.6배를 기록해 이를 주도. 이런 가운데 이번주에는 에너지부터 반도체, 사이버보안, 소비재 등 경제를 알수 있는 많은 기업들의 실적이 발표됨.
*심리
개인투자자협회(AAII)에서는 매주 개인 투자자들의 심리를 발표. 최근 이례적으로 6개월내 상승할 것이라는 결과가 52.9%를 기록. 그러다 3월 금리인하 기조가 약화되자 40% 미만으로 둔화되기도 했지만, 실적 발표 이후 이 수치가 49%까지 상승. 역대 평균이 37.5%라는 점에서 50%가까운 수치는 이례적으로 높은 수준이며, 일부 종목에 대해서는 FOMO 현상까지 유입. 반면, 기관투자자들의 포트폴리오는 지난 12월 말 주식이 51.8%였는데 1월말에는 51.6%로 감소했으며 채권 비중도 28.3%에서 27.9%로 감소. 반면, 현금은 19.9%에서 20.5%로 증가해 기관들은 현금화에 주력하고 있음을 보여줌. 그렇기 때문에 14일 마감인 헤지펀드들의 포트폴리오를 알 수 있는 13F 보고서 결과에 주목할 필요가 있음(현재는 주식 51.4%, 채권 28.1%, 현금 20.5%으로 주식에서 채권으로 일부 이동)
*기타
중국이 춘절 휴장, 그리고 14일에는 발렌타인데이라는 점에서 중국과 미국 등의 소비 행태 주목. 더불어 미국의 소매판매와 산업생산 결과도 주목. 이로 인해 경기 연착륙 가능성을 갸늠할 수 있기 때문.
02/12(월)
발언: 토마스 바킨, 닐 카시카리, 미쉘 보우만 총재, BOE 베일리 총재
행사: MS(MSFT)는 Xbox 관련 비즈니스 행사개최, 유로존 재무장관 회의
실적: 아리스타 네트웍ANE), 굿이어 타이어G), 어비스(CAR), 먼데이닷컴(MNDY)
02/13(화)
지표: 미국 소비자물가지수, 유로존, 독일 ZEW 경제 심리지수
보고서: OECD 원유시장 보고서
실적: 코카콜라(KO), 소피파이(SHOP), 켈로그(KLG), 에어비앤비(ABNB), 바이오젠(BIIB), 데이터독(DDOG), AIG (AIG), MGM(MGM), 메리어트(MAR), Lyft (LYFT), 로빈후드(HOOD), Zillow(ZG), 글로벌 파운드리(GFS)
02/14(수)
지표: 유로존 산업생산, GDP성장률, 영국 소비자물가지수
발언: BOE 베일리 총재, 마이클 바 연준 부의장
보고서: 4분기 포지션 마감일 앞두고 13F 보고서 집중 보고. 주요 대형주 비중 주목
행사: 우버(UBER)의 온라인 투자자 행사, 발렌타인데이 소비
선거: 인도네시아 의회, 대통령 선거
실적: 시스코시스템즈(CSCO), 트와일로(TWLO), 옥시덴탈 페트로(OXY), 크레프트하인즈(KHC), 퀀텀스케이프(QS), 패스틀리(FSLY), 앨버말(ALB)
02/15(목)
지표: 미국 소매판매, 산업생산, 뉴욕주 제조업지수, 필라델피아 연은 지수,영국 GDP성장률, 산업생산
행사: 데이터독(DDOG) 투자자의 날
발언: 메리 데일리 샌프란시스코 연은 총재, 라가르드 ECB 총재
실적: AMAT(AMAT), 로쿠(ROKU), 코인베이스(COIN), 드레프트킹(DKNG), 디어(DE), 오픈도어(OPEN), 도어대쉬(DASH), 옐프(YELP), 웬디스(WEN), 크록스(CROX)
02/16(금)
지표: 미국 생산자물가지수, 미시간대 소비자 심리지수
행사: 캐터필라(CAT) 제프리스와 애널리스트 데이 행사
기타: 19일 미국 대통령의 날 휴장일
실적: PPL(PPL), 벌칸 머티리얼(VMC)
출처 https://www.facebook.com/share/FEdQmCsJv4UP6Whx/?mibextid=2JQ9oc
'미국증시 중요 뉴스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경제가 절대 망할 수 없는 이유? (27) | 2024.02.13 |
---|---|
파월 의장은 기자들과 생산성에 대한 얘기를 나누었죠. (38) | 2024.02.12 |
미국은 경제위기를 극복했고, 소프트랜딩을 성공할것으로 보인다. (23) | 2024.02.12 |
샘 올트만이 초인류 거대Ai기업을 만들테니까 나에게 투자하라고 하고있네요 (35) | 2024.02.11 |
글로벌 기업 대장주를 잘 찾는사람이 부자된다. (28) | 2024.0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