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국주식 종목분석

카시카리 총재 등이 올해 말까지 금리를 동결할 수도 있다고 언급

반응형


으으... 연준의장들 하나 둘 나와서 또 헛소리하는군요

금리인하 안할거면서 계속 희망고문하는것도 웃기네요

아 증시 참 상승력좋았는데 종가에 이렇게 쭉 빠질줄은.... ㅠㅠㅜㅜㅜㅜ







04/05 미 증시, 매파적인 연준위원 발언과 중동 리스크 확대 우려로 부진
출처 : 서상영님

미 증시는 부진한 고용지표 등을 반영하며 국채 금리가 하락하자 상승 출발. 특히 테슬라(+1.68%)등 일부 종목의 강세가 진행되며 이를 주도. 한편, 장 후반 카시카리 총재 등이 올해 말까지 금리를 동결할 수도 있다고 언급하는 등 메스터 총재 등과 함께 매파적인 발언을 내놓자 시장은 상승분을 반납. 더 나아가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의 이란에 대한 강경한 발언으로 지정학적 리스크가 확대되자 안전자산 선호심리가 높아진 점도 지수 둔화 요인. 실제 네타냐후 발언 후 달러, 채권, 금은 물론 유가의 강세가 진행돼 상승하던 대부분의 종목군이 하락 전환(다우 -1.35%, 나스닥 -1.40%, S&P500 -1.23%, 러셀2000 -1.08%,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3.01%)

*변화 요인: 지표와 연준위원 발언, 그리고 중동 리스크 확대

미국 신규실업수당 청구건수가 21.2만건에서 22.1만 건으로 증가해 2개월내 최고치를 기록, 고용 둔화가 진행되고 있음을 보여줌. 여기에 대량 해고자 지수가 지난달 8만 4,638건에서 9만 309건으로 증가. 이는 지난 2023년 1월 이후 가장 많은 수준. 이는 전반적인 고용시장의 약화가 진행되고 있음을 보여줬고, 이후 국채 금리의 하락과 달러 약세가 진행되며 지수 상승을 견인

한편, 연준 위원들의 발언이 많았는데 먼저 오스탄 굴스비 시카고 연은 총재는 인플레이션의 가장 큰 장애물은 주거비 인상이라고 주장. 이와 함께 고용시장의 둔화에 주목하고 있다고 언급. 토마스 바킨 리치몬드 연은 총재는 올해 초 지표가 긍정적이지 않았고, 시간을 두고 금리 인하를 할 것이라고 언급. 더불어 높은 금리가 경제를 둔화시킬 것이라고 주장. 매파 성향으로 변화했던 카시카리 미니애폴리스 연은 총재는 2번의 금리인하를 예상하고 있지만, 경기가 좋으면 금리 인하가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고 주장. 로레타 메스터 클리블랜드 총재는 경기 데이터가 견고하기에 올해 말에나 금리 인하를 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주장하는 등 매파적인 발언을 진행. 이 여파로 금리 하락폭이 축소되고 주식시장 또한 상승폭 축소

이런 가운데 중동 리스크가 확대. 이스라엘 네타냐후 총리는 이란이 수년동안 직접적으로나 대리 세력을 통해 이스라엘에 적대적으로 행동해 왔고, 이에 이스라엘 역시 이란이나 대리 세력을 상대로 방어적 또는 공격적 행동을 하고 있다고 언급. 이는 시리아 주재 이란 영사관 공습에 대한 언급으로, 이란은 이에 대해 국제 의무와 협약을 위반했다며 강력한 보복을 공언. 최근 사우디아라비아는 물론 이라크, 오만, 요르단 등 이슬람 국가들이 이스라엘의 공습에 강한 비판을 했고, 미국도 우려를 표명. 이런 가운데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가 강경한 언급에 나서자 중동 전쟁 우려가 부각되며 안전자산 선호심리가 확대. 달러와 엔, 채권과 금이 강세를 보였고 유가도 상승. 이 여파로 주식시장은 본격적인 하락을 확대

*특징 종목: 방위업종 강세 Vs. 반도체 부진

테슬라(+1.68%)는 인도 생산 공장에 30억 달러 규모를 투자했다는 소식에 강세. 최근 하락에 따른 일부 반발 매수 심리도 영향. 포드(-3.22%)는 판매량 증가를 이유로 GM(-3.30%)과 더불어 상승 출발. 그러나 장 중 수요 감소를 이유로 캐나다 전기차 공장의 생산을 연기한다고 발표하자 하락 전환 후 낙폭 확대. 포드의 전기차 수요 둔화 언급으로 리비안(-3.89%), 루시드(-3.64%)등은 물론, 퀀텀스케이프(-3.28%), 알버말(-6.01%)등도 하락.

엔비디아(-3.44%), 브로드컴(-3.35%), AMD(-8.26%), 마이크론(-3.06%), 퀄컴(-2.39%)등 반도체 업종이 중동 이슈 확대 속 위험자산 선호심리 위축되며 하락. 그동안 상승폭이 컸던 만큼 매물 소화과정이 진행된 것으로 추정.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3.01% 하락. 중동 리스크 확대되자 록히드마틴(+1.37%), 레이시온(+1.80%), L3 헤리슨(+2.60%)등 방위 산업업종, 엑슨모빌(+0.35%), 셰브론(+0.16%)등 에너지 업종, 뉴몬트 마이닝(+1.32%)등 금광 업종이 강세.

애플(-0.49%)은 가정용 로봇 개발을 추진 중이라는 소식에 상승하기도 했으나, 장 후반 매물 소화하며 하락 마감. 알파벳(-2.83%)은 AI 검색 서비스를 유료화 하는 안을 검토한다고 발표하자 부진. 더불어 허브스팟(+4.97%)인수를 위해 알파벳이 자문회사와 협의중이라는 소식에 허브스팟이 상승. 메타 플랫폼(+0.82%)은 제프리스가 디지털 광고 시장에서 많은 이점을 가지고 있다며 매수의견을 유지하고 목표주가를 상향 조정하자 강세를 보이다 장 후반 상승 반납. 아마존(-1.32%)도 제프리스가 목표주가를 상향 조정하며 강세를 보이다 장 후반 매물 출회되며 하락 전환

의류업체인 리바이 스트라우스(+12.38%)는 비용절감과 온라인 판매 급증으로 견고한 실적을 발표하고 올해 전망을 상향 조정하자 급등. 식품 제조업체 콘아그라 브랜즈(+5.44%)는 견고한 실적과 비용절감 등을 강화하자 급등. 블락(-6.18%)은 모건스탠리가 투자의견과 목표주가를 하향 조정한 여파로 하락.  제약업체 애브비(-5.32%)는 올해 전망을 하향 조정한 점을 반영하자 하락. 노보노디스크(-2.39%)는 오젬픽 공급 부족에 직면해 있다는 소식에 하락. 일라이릴리(-1.02%), J&J(-1.14%), 머크(-1.72%), 암젠(-2.31%)등 여타 제약주도 투자 심리 위축되며 동반 하락.

*한국 증시 관련 수치

MSCI 한국 지수 ETF는 0.59%, MSCI 신흥 지수 ETF도 0.36% 하락. 더불어 러셀2000지수가 1.08%, 다우 운송지수도 1.02% 하락 했으며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3.02% 급락. 야간 선물은 0.53% 하락. 전일 1,347.10원으로 마감한 달러/원 환율에 영향을 주는 NDF 달러/원 환율 1개월물 1,349원을 기록

*FICC: 안전자산 선호심리 확대

국제유가는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가 이란이 수년동안 직접적으로나 대리세력을 통해 이스라엘에 적대적으로 행동해왔고, 이스라엘도 이에 맞서 대응하고 있다고 언급하자 상승. 최근 시리아 주재 이란 영사관에 대한 이스라엘의 공습 후 이란의 강경 대응을 언급하는 등 중동 리스크 확대되자 상승. 미국 천연가스는 에너지 정보청의 천연가스 인출량 관련 보고서를 통해 예상보다 적게 인출되었다는 소식에 크게 하락.

달러화는 미국 고용관련 지표가 부진하자 여타 환율에 대해 약세를 보임. 그러나 장 후반 카시카리 총재가 2번의 금리인하를 선호하지만 경기를 감안 올해 금리 동결도 가능하다고 주장하자 약세폭 축소. 더불어 중동 리스크 확대 우려로 안전자산 선호심리가 높아진 점도 약세폭 축소 요인. 엔화는 중동 리스크 확대로 달러 대비 강세.

국채 금리는 고용지표 둔화로 하락했지만, 카시카리 총재가 올해 금리 동결 언급, 메스터 총재 등 여타 연준 위원들의 매파적인 발언으로 하락폭이 축소. 그렇지만,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의 대 이란 강경 발언이 진행되자 중동 리스크 확대에 따른 안전자산 선호심리가 높아지며 금리의 하락이 진행.

금은 중동 리스크 확대로 안전자산 선호심리가 높아지자 상승 후 차익 실현 매물 출회되며 하락. 구리 및 비철금속은 달러 약세와 중국 경기에 대한 긍정적인 전망 등이 이어지며 상승. 더불어 ECB의 금리인하 기대 심리 또한 우호적인 영향. 밀을 비롯한 농작물은 달러 약세 등을 기반으로 상승하기도 했으나, 제한적인 등락을 진행

04/05 U.S. stocks slump on hawkish Fed committee comments and fears of risk expansion in Middle East

The U.S. stock market started higher as interest rates on government bonds fell, reflecting sluggish employment indicators. In particular, some stocks such as Tesla (+1.68 percent) are strengthening, leading the gains. Meanwhile, the market returned the gains as Kashkari and others made hawkish remarks along with Mester, mentioning that interest rates may be frozen by the end of this year. Furthermore, Israeli Prime Minister Netanyahu's tough remarks on Iran increased his preference for safe assets, which also slowed the index. In fact, most of the stocks that were rising due to the strengthening of the dollar, bonds, gold, and oil prices after Netanyahu's remarks turned downward (Dau -1.35%, Nasdaq -1.40%, S&P 500 -1.23%, Russell 2000 -1.08% and Philadelphia Semiconductor Index -3.01%)

* Variables: Indicators and Fed members' comments, as well as increased risk in the Middle East

The number of new U.S. unemployment claims rose from 21.2 million to 22.1 million, a two-month high, indicating a slowdown in employment. On top of that, the mass layoff index increased to 90,309 from 84,638 last month. This is the highest level since January 2023. This showed that the overall job market was weakening, and since then, the decline in government bond rates and the dollar have progressed, driving the index's rise

Meanwhile, there have been many comments from Fed members. First, Chicago Fed Governor Ostan Goolsbee said the biggest obstacle to inflation is rising housing costs. He also noted that he is paying attention to the slowdown in the job market. Richmond Fed Governor Thomas Barkin said earlier this year that the indicators were not positive and that it would take time to cut rates. He also claimed that higher interest rates would slow the economy. Minneapolis Fed Governor Kashikari, who has turned hawkish, expects two rate cuts, but argues that a good economy may not require one. Cleveland Governor Loretta Mester made hawkish remarks, arguing that she expects a rate cut later this year because of robust economic data. As a result, the fall in interest rates has been reduced and the stock market has also scaled back gains

Amid this development, risks in the Middle East escalate. Israeli Prime Minister Netanyahu noted that Iran has been acting hostile to Israel directly and through proxy forces for years, and that Israel is also acting defensively or aggressively against Iran or proxy forces. This refers to airstrikes at the Iranian consulate in Syria, and Iran has vowed to take strong retaliation, saying it violated international obligations and agreements. Recently, not only Saudi Arabia but also Islamic countries such as Iraq, Oman, and Jordan have strongly criticized Israel's airstrikes, and the U.S. has also expressed concern. Meanwhile, Israeli Prime Minister Netanyahu's strong remarks raised concerns about war in the Middle East and increased preference for safe assets. The dollar, yen, bonds and gold have strengthened, and oil prices have risen. As a result, the stock market has expanded its decline in earnest

* Features: Strong defense sector Vs. Semiconductor slumps

Tesla (+1.68%) is bullish on the news that it has invested $3 billion in Indian production plants. Some backlash buying sentiment following the recent drop is also affected. Ford (-3.22%) started higher along with GM (-3.30%), citing an increase in sales. However, after the market announced that it would postpone production at its Canadian electric vehicle plant due to a drop in demand, the decline widened. Rivian (-3.89%) and Lucid (-3.64%) as well as QuantumScape (-3.28%) and Albert (-6.01%) fell due to Ford's mention of slowing demand for electric vehicles.

Semiconductor businesses such as Nvidia (-3.44%), Broadcom (-3.35%), AMD (-8.26%, Micron (-3.06%), and Qualcomm (-2.39%) fell due to weak preference for risky assets amid growing Middle East issues. As the rise has been large so far, it is estimated that the process of digesting the sale is underway. Philadelphia Semiconductor Index fell 3.01%. As risks in the Middle East widened, defense businesses such as Lockheed Martin (+1.37%), Raytheon (+1.80%), L3 Harrison (+2.60%), energy businesses such as ExxonMobil (+0.35%), Chevron (+0.16%), and gold mining businesses such as Newmont Mining (+1.32%) are strong.

Apple (-0.49%) rose on the news that it was pursuing home robot development, but it closed lower as it was sold out late in the market. Alphabet (-2.83%) was sluggish when it announced that it would consider making AI search service pay. In addition, hubspot rose on the news that Alphabet is in talks with an advisory company to acquire hubspot (+4.97%). Meta Platforms (+0.82%) gained ground late in the market after maintaining its buying opinion and raising its target price, saying Jefferies has many advantages in the digital advertising market. Amazon (-1.32%) was also strong, with Jefferies raising its target price, but turned downward as it was put up for sale late in the market

Levi Strauss (+12.38 percent), a clothing company, surged after reporting solid earnings due to cost cuts and surging online sales and raising its outlook for the year. Food maker Conagra Brands (+5.44 percent) jumped as it strengthened its solid performance and cost cuts. Block (-6.18 percent) fell as Morgan Stanley cut its investment opinion and target price. Pharmaceutical company AbbVie (-5.32 percent) fell after it cut its outlook for the year. Novo Nordisk (-2.39 percent) fell on news that it is facing a shortage of supplies for the Olympics. Other pharmaceutical stocks such as Eli Lilly (-1.02%), J&J (-1.14 percent), Merck (-1.72 percent), and Amgen (-2.31 percent) also fell as investor sentiment shrank.

* South Korean stock market-related figures

The MSCI Korea Index ETF fell 0.59 percent and the MSCI Emerging Index ETF also fell 0.36 percent. In addition, the Russell 2000 index of smaller companies fell 1.08 percent, the Dow Transportation Index fell 1.02 percent, and the Philadelphia Semiconductor index plunged 3.02 percent. Night futures fell 0.53 percent. The NDF dollar/won exchange rate, which affects the dollar/won exchange rate, closed at 1,347.10 won the previous day, hit 1,349 won for the first month

* FICC: Expanding preference for safe assets

International oil prices rose after Israeli Prime Minister Netanyahu said Iran has been acting hostile to Israel directly and through proxy forces for years, and Israel is responding to it. Rising as risks in the Middle East escalated, including a reference to Iran's hard-line response after a recent airstrike on an Iranian consulate in Syria. U.S. natural gas fell sharply on news that it was withdrawn less than expected through a report on natural gas withdrawals by the Energy Information Administration.

The U.S. dollar weakened against other currencies amid sluggish U.S. employment indicators. However, it narrowed after Kashkari claimed in late trading that although he prefers two rate cuts, he could freeze the rate this year considering the economy. In addition, heightened preference for safe assets due to concerns over possible risk expansion in the Middle East also contributed to the weakening of the yen's strength against the U.S. dollar due to increased risk in the Middle East.

Government bond rates fell due to a slowdown in employment indicators, but the decline was reduced due to Kashkari's mention of a rate freeze this year and hawkish comments from other Fed members, including Mester. However, Israeli Prime Minister Netanyahu's hard-line remarks against Iran have led to a decline in interest rates as the preference for safe assets increases due to increased risks in the Middle East.

Gold fell after rising as the preference for safe assets increased due to increased risks in the Middle East. Copper and non-ferrous metals rose as the dollar weakened and the positive outlook for the Chinese economy continued. In addition, the ECB's expectations for a rate cut were also favorable. Wheat and other crops rose due to the weak dollar, but limited fluctuations occurred

320x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