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이 좋으니 인플레 우려로 금리 인하 물건너 가고, 자동으로 달러 가치 오르고 악순환의 연속이네요
당근 달러 오르니 유가와 금이 떨어지고, 금리 인하 기대감 감소로 나스닥이 더 빠지고
아 시장이 하루하루 마다 넘 다이나믹하게 움직인다. 이러다ㅜ계좌 녹는다 ㅜ.ㅜ
~ 미국 뉴욕증시는 예상보다 뜨거운 노동지표로 연준의 금리인하 가능성이 더욱 줄면서 일제히 1% 이상 하락했다.
지난달 30일(현지시간) 뉴욕증시에서 다우는 1.49%, S&P500은 1.57%, 나스닥은 2.04% 각각 급락했다.
이날 노동통계국이 발표한 새로운 데이터에 따르면, 보상과 복리후생을 측정하는 고용 비용 지수는 12월부터 3월까지 1.2% 상승했다. 이는 1년래 최고 수준이다. 이는 또 시장의 예상치 1%를 상회하는 것이다.
고용 비용이 증가한 것은 월급이 인상됐다는 뜻으로 인플레이션 자극 요인이다.
이같은 지표가 발표되자 국채수익률(시장금리)은 2년 물 수익률이 5%를 돌파하는 등 급등했다.
이뿐 아니라 소비자신뢰지수도 1년 반 만에 최저로 떨어졌다. 콘퍼런스보드에 따르면 4월 소비자신뢰지수는 97을 기록했다. 이는 시장의 예상치인 104보다 낮고, 3월의 103.1보다 낮은 수치다.
이는 미국 소비자들이 미국 경제를 비관적으로 보고 있다는 얘기로, 미국 경기의 70%를 차지하는 소비가 위축될 수 있다는 신호다.
1일(현지시간) 연준의 금리 결정을 앞두고 거시 지표가 또다시 안 좋게 나옴에 따라 금리 인하 가능성이 더욱 줄어듦에 따라 미증시는 일제히 하락한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월간 기준으로도 3대 지수는 모두 하락했다. 이로써 지난 5개월간 지속된 월간 상승세가 마감됐다. 4월 증시가 올 들어 최악을 기록한 것.
https://n.news.naver.com/article/421/0007514038?sid=104
고용 비용 급등, 미증시 일제 급락…올 들어 최악의 달(상보)
미국 뉴욕증시는 예상보다 뜨거운 노동지표로 연준의 금리인하 가능성이 더욱 줄면서 일제히 1% 이상 하락했다. 지난달 30일(현지시간) 뉴욕증시에서 다우는 1.49%, S&P500은 1.57%, 나스닥은 2.04% 각
n.news.naver.com
지난 1분기 미국의 고용 비용은 예상보다도 가파르게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노동비용 상승이 물가 압력으로 번질 것이란 우려가 재차 커지며 9월 첫 금리 인하를 기대하던 시장에서는 이제 11월에나 금리 인하가 이뤄질 것으로 전망을 수정하고 나섰다.
30일(현지시간) 미 노동부에 따르면 지난 1분기 고용비용지수(ECI)는 계절 조정 기준 전 분기 대비 1.2% 올랐다. 지난해 4분기 0.9%보다 높은 것으로 다우존스가 집계한 전문가 예상치(1.0% 상승)도 웃돌았다.
◆ 9월 금리 인하 기대 '뚝'...11월 첫 금리 인하 기대↑
1분기 ECI는 전년 대비로는 4.2% 올랐다. 1년 전 같은 기간 4.8% 올랐던 것에서 둔화한 것이지만 연준의 물가 안정 목표 2%는 여전히 두 배 넘게 웃돌았다.
고용 비용의 70%를 차지하는 1분기 임금은 전 분기보다 1.1% 상승했다. 이는 전 분기와 동일한 상승률이다. 임금 외 다른 보상은 전 분기 대비로 1.1% 오르며 4분기 상승률인 0.7%를 대폭 웃돌았다.
예상보다 강력한 ECI 발표 후 시장의 금리 인하 기대감은 더 떨어졌다.
미국 시카고상품거래소그룹(CME) 페드워치를 보면, 오는 9월 정책금리가 내릴 거라는 전망이 39.8%, 동결 전망은 51.1%로 동결 전망이 인하 전망을 넘어섰다.
ECI 발표 전 9월 금리 동결보다 인하 가능성을 더 높이 점쳤던 시장은 이제 11월에나 첫 금리 인하(42.3%)가 이뤄질 것으로 전망을 수정했다. 또 한 달 전만 해도 올해 금리 인하가 없을 가능성은 제로(0)로 봤던 시장에서는 이제 금리 인하가 없을 가능성도 23%로 높여 잡았다.
있다.
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 후퇴 속 가격과 반대로 움직이는 미 국채 10년물 금리는 4.661%로 4.9bp(1bp=0.01%포인트), 2년물 금리는 3.7bp 오르는 등 국채 금리는 일제히 오름세다.
연준은 이날부터 양일간 5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개최하며, 시장에서는 이번 회의에서 연준이 금리를 동결할 것으로 보고 있다. 금리 결정보다는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의 발언에 모든 관심이 쏠린 가운데, 예상보다 강력한 임금 수치에 파월 의장에 매파적 발언을 내놓을 것이란 우려도 커졌다.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40430001354
'9월 금리인하 물 건너가나?' 1분기 美 고용비용지수 1.2%↑로 '예상 상회'
[휴스턴=뉴스핌] 고인원 특파원= 지난 1분기 미국의 고용 비용은 예상보다도 가파르게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노동비용 상승이 물가 압력으로 번질 것이란 우려가 재차 커지며 9월 첫 금리
newspim.com
이번 달 경기 및 재정에 대한 미국 소비자들의 자신감이 크게 둔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들은 고용시장과 소득에 대해 이전보다 더 우려하고 있다.
콘퍼런스보드(CB)는 30일(현지시간) 4월 미국 소비자신뢰지수가 97.0으로 지난 2022년 7월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3월 수치도 104.7에서 103.1로 큰 폭 하향 조정됐다.
앞서 월가 전문가들은 4월 미국의 소비자신뢰지수가 104.0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번 설문조사에 따르면 소비자들은 현재 고용 여건에 대해 덜 긍정적으로 바라봤으며 기업 경영 여건과 일자리, 소득에 대해 더욱 우려하고 있다.
CB의 데이나 피터슨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4월 작성된 응답에 따르면 소비자들은 정치와 전 세계 갈등보다 식품과 휘발유를 중심으로 높아진 물가 수준을 훨씬 더 우려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40501000005
뉴욕증시가 3일 만에 일제히 하락 마감했다. 예상보다 높은 임금 지표가 나오면서 인플레이션 우려가 고조됐다. 올해 금리인하가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강화되면서 주가지수는 반락했다.
30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블루칩을 모아놓은 다우존스 30산업평균지수는 전거래일 대비 1.49% 하락한 3만7815.92를 기록했다.
대형주 벤치마크인 S&5P500지수도 1.57% 떨어진 5035.69를, 기술주 위주의 나스닥지수도 2.04% 내린 1만5657.82에 거래를 마쳤다.
민간 근로자 임금의 척도인 고용비용지수(ECI)가 시장 예상치를 웃돌며 상승하면서 투심이 얼어붙었다.
미 노동통계국에 따르면 지난 1분기 고용비용지수(ECI)는 전분기 대비 1.2% 오르며, 다우존스가 조사한 경제학자 전망치(1%)를 웃돌았다. 지난해 9월(0.9%) 이후 가장 큰 폭의 상승률이다. 전년동기 대비로는 4.2% 상승했다. ECI는 연준이 선호하는 인건비 지표다.
민간 근로자의 임금 및 급여는 3분기 연속 1.1% 증가했다. 1년 전보다는 4.4% 상승했다. 여기에는 연초 미국의 절반 가량의 주에서 최저임금이 인상된 여파가 영향을 미쳤다.
이는 최근 인플레이션이 고착화한 가운데 인건비마저도 오름세를 띠면서 연방준비제도의 인플레와 싸움이 힘겨워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연준은 30일~5월1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열고 재차 기준금리 인하에 신중할 것이라는 시그널을 보낼 것으로 예상된다.
씨티그룹의 글로벌 이코노미스트인 로버트 소킨은 “1.2%라는 수치는 인플레이션과 임금 상승 데이터가 목표와 일치하지 않는 잘못된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다는 증거”라며 “연준에게는 어려운 지표다”고 진단했다.
인플레이션 고착화 가능성이 커지면서 미국 소비자들이 경제에 대해 낙관론을 점차 접고 있다. 콘퍼런스보드는 4월 소비자신뢰지수가 97.0으로, 직전월 수정치인 103.1보다 하락했다고 발표했다. 3개월 연속 하락하면서, 2022년 7월 이후 21개월 만에 최저 수준이다.
고물가 고착화 우려에 국채금리는 다시 치솟았다. 오후 4시 기준 10년물 국채금리는 전 거래일 대비 7.6bp(1bp=0.01%포인트) 오른 4.688%를, 연준 정책에 민감하게 연동하는 2년물 국채금리도 6.8bp 상승한 5.041%를 나타내고 있다.
킹달러 현상이 다시 강해지고 있다. 주요 6개국 통화대비 달러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전거래일 대비 0.62% 오른 106.24를 기록 중이다. 4개월 연속 상승세로, 2002년 9월 이후 최장기간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일본 외환당국 개입으로 안정세를 보였던 달러·엔 환율도 0.89% 오른 157.73엔을 기록 중이다.
인터렉티브 브로커의 호세 토레스 선임이코노미스트는 “주식, 채권, 달러 모두 내일 FOMC에서 파월 의장의 금리인상 가능성 발언을 앞지르고 있다”며 “오늘 아침 데이터는 점점 더 매파적인 위원회를 정당화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매그니피센트7인 애플(-1.83%) 아마존닷컴(-3.29%), 알파벳(-2.03%), 마이크로소프트(-3.21%), 메타 플랫폼(-0.57%), 테슬라(-5.5%), 엔비디아(-1.54%) 주식들도 일제히 하락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8/0005728552
'미국주식 종목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FOMC 이후 채권 금리는 하락했습니다. (63) | 2024.05.02 |
---|---|
After the FOMC yesterday, I think the personal (53) | 2024.05.02 |
Jensen Huang predicted that the development of Generative AI will lead to the fo (44) | 2024.05.01 |
Elon Musk's Tesla and China seems to have made a big decision. (42) | 2024.05.01 |
FOMC 파월연준의장 곧 시작 (41) | 2024.05.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