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국주식 종목분석

고용지표 이제 조금씩 변화가?

반응형

고용 꺽인 데이터 나왔다고 시장은 환호!

금리와 달라 떨어지고 주식과 비트코인은 오르고

다들 금리인하를 빨리해주길 원하는 눈치 ㄷㄷ

근데 cpi가 급등할것같은 느낌적인 느낌이...ㄷㄷㄷㄷ


~ 미국 노동부는 4월 비농업 고용이 17만5000만명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3일(현지시간) 밝혔다. 이는 전월 신규고용(31만5000명)은 물론 시장 전망치(23만8000명)를 하회하는 수치다.

4월 실업률은 3.9%로 전월(3.8%) 대비 소폭 상승했으며, 전문가들의 예상치(3.8%)도 웃돌았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77/0005414220
3일 미 노동부는 지난 4월 비농업 부문 신규 일자리 수가 전월보다 17만5000개 늘었다고 밝표했다. 시장 전망치(23만8000개)는 물론 3월 증가폭(30만3000개)을 크게 밑돌았다. 실업률도 예상치(3.8%)보다 높은 3.9%를 기록했다. 고용시장 여건 악화는 금리 인하 기대를 높이는 요소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노동시장이 놀라운 안정세를 보이고 있다”며 “인플레이션에 맞서는 (미 중앙은행)연준의 일이 어느 정도 수월해졌다”고 했다. 시장 금리로 미 기준금리를 추정하는 시카고상품거래소 페드워치툴에서 올 9월 금리 인하 확률은 48.7%로 전날보다 3.2%포인트 올랐다.

다만 이 같은 고용시장 여건 악화 추세가 지속될 지가 관건이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지난 1일 FOMC(연방공개시장위원회) 회의 후 기자회견에서 금리 인하의 요건으로 ‘고용 시장 둔화’를 강조하면서 전제조건을 달았다. 그는 “노동시장이 예상 외로 둔화하면 금리 인하가 가능하다”면서도 “소수점 한자리 수준의 변화가 아닌 상당히 유의미한 둔화여야 한다”고 했다.

특히 최근 발표된 다른 고용지표들이 시장 전망치를 웃도는 강세를 보인터라 이번 4월 고용보고서 만으로 노동시장 추세 전환을 단언하기는 어렵다. 지난 1일 민간 업체 ADP가 발표한 4월 민간 부문 신규 일자리 규모는 전달보다 19만2000개 증가해, 시장 전망치(18만3000개)를 웃돌았고, 지난달 30일 노동부가 발표한 지난 1분기(1~3월) 고용비용지수(ECI) 역시 전 분기보다 1.2% 올라시장 전망치(1%)를 상회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23/0003832216?sid=101
미국의 4월 신규 일자리 증가 폭이 예상치를 크게 밑돈 것으로 나타났다.

실업률은 상승했고, 주간 임금 상승률이 하락하는 등 그동안 뜨거웠던 고용시장이 식어가고 있음을 시사했다.

3일(현지시간) 미 노동부에 따르면 4월 미국의 비농업 일자리는 전월 대비 17만5천건 늘었다.

이는 다우존스가 집계한 전문가 전망치 24만명을 큰 폭으로 밑도는 수치다.

또한 직전 12개월간 평균 증가분(24만2천건)에도 크게 못 미쳤다.

4월 실업률은 3.9%로, 3월의 3.8%에서 증가하며 전문가 전망치(3.8%)를 웃돌았다.

시간당 평균임금 상승률은 전월 대비 0.2%로 시장 전망(0.3%)에 못 미쳤다. 1년 전과 비교한 평균임금 상승률은 3.9%로 2021년 6월 이후 2년 10개월 만에 가장 낮았다.

평균 수준을 크게 밑도는 고용 증가세와 임금 상승률은 둔화는 미 노동시장이 식어가고 있음을 시사한다.

고용 초과수요에 기반한 뜨거운 고용시장은 그동안 미국의 물가상승 압력을 높이는 주된 요인으로 지목돼왔다.

제롬 파월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도 기준금리 인하에 앞서 인플레이션 둔화세 지속에 대한 확신이 필요하고, 그러기 위해선 노동시장 과열 완화가 선행돼야 한다는 입장을 되풀이해 강조해왔다.

노동시장의 전반적인 약화를 시사하는 4월 고용보고서를 두고 월가는 미국 경제의 연착륙 시나리오를 지지하는 '골디락스'(너무 뜨겁지도 차갑지도 않은 상태) 보고서라며 환호했다.

전자거래 플랫폼 트레이드웹에 따르면 이날 고용지표 발표 후 미 10년 만기 국채 수익률은 오전 9시 현재 4.50%로, 전날 뉴욕증시 마감 무렵 대비 8bp(1bp=0.01%포인트) 하락했다.

통화정책에 민감한 미 2년 만기 국채 수익률은 같은 시간 4.78%로 전날 뉴욕증시 마감 무렵 대비 11bp나 급락했다.

뉴욕증시 개장을 앞두고 3대 주가지수 선물 모두 전장 대비 1% 안팎으로 상승하며 강세를 나타냈다.

리처드 번스타인 어드바이저스의 댄 스즈키 차석 최고투자책임자(CIO)는 "매우 시장에 우호적인 고용보고서"라며 "고용 증가세가 완만하게 둔화하지만 급랭하지는 않고 있음을 시사하고 이는 임금 상승 압력을 낮출 것"이라고 말했다.

인터랙티브 브로커스의 수석 전략가 스티브 소스닉은 "적어도 단기적으로는 시장 친화적인 수치가 나왔다"라며 "미 경제의 냉각은 채권 및 주식 투자자들이 원하고 있던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장기적으로 이것이 경제에 뭔가 나쁜 일의 시작임을 알리는 신호인지를 놓고는 논란이 일 수 있지만, 아무도 오늘 아침의 분위기를 망치고 싶어 하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4669034?sid=101

320x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