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건영님 시장리뷰 ㅣ 전일 FOMC에 이어서 오늘은 BOJ의 금융정책회의가 있는 날이죠. BOJ 얘기하기 전에 마켓 분위기 잠깐 살펴보고 가겠습니다. 전일 PPI와 도매물가까지 예상을 하회했죠. 에너지 가격의 안정도 영향을 주고 있지만 시장에서는 실질적으로 실물 경제가 느끼는 부담이 커진다고… 즉 경기 둔화를 읽고 있다는 느낌을 받습니다.
이 경우 경기에 민감한 중소형주는 타격을 강하게 받겠죠. 중소형주 위주로 구성되어 있는 러셀 2000의 경우 여전히 고전하는 모습입니다. 반면 나스닥의 경우 장중반까지 금리 인하 기대가 커짐에도 불구하고 경기 둔화 우려가 강하기에 하락세를 보이다가 이후 감아올리기 시작했죠. 이런 상황에서는 여전히 빅테크가 최선의 선택이다. 빅테크는 최고의 위험 자산이자 최고의 안전 자산이다.. 라는 생각을 하는 듯 합니다. 결국 완전 자산이 되는 거죠.. (저는 여전히 완벽한 자산이란 존재하지 않는다고 생각합니다ㅎㅎㅎ) 그 쪽으로의 쏠림이 시장 상황과 맞물려서 더욱 더 강해지는 것 같습니다. 주말 에세이에서 상세히 다루겠지만 이번 FOMC를 통해서도 자산 가격과 인플레이션의 관계, 그리고 그걸 지켜보는 연준의 셈법이 참 복잡하게 얽혀있는 듯 합니다. 그 얘기는 주말 에세이에서 이어가도로 하죠. 이제 일본 얘기로 갑니다.
추가적인 엔 약세에 대한 부담이 커졌다는 말씀을 드려왔었죠. 일본 입장에서는 엔 약세의 지속 진행을 막으려 할 겁니다. 엔 약세를 막으려면 3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첫째는 과감한 외환 시장에의 개입이죠. 그렇지만 이미 옐런 재무장관이 그런 짓 함부로 하지 말라고 두차례 구두로 경고를 준 바가 있습니다. 지금까지의 개입은 어느 정도 익스큐즈가 되었을지 모르지만 향후에는 외환 시장에 강제 개입하는 것에 제한이 많이 따를 수 있습니다.
그럼 결국 답은 일본이 금리를 올리는 방법이 있죠. 그렇지만.. 후우.. 참 일본 입장에서는 싫은 것이 하필이면 기시다 내각의 지지율이 이렇게 낮은 상황에서… 그리고 일본 서민들이 인플레로 고통을 받는 상황에서 금리를 인상한다고 하니.. 참 걱정이 앞서는 겁니다. 그리고 일본의 정부 부채가 많죠… 그런 상황에서 금리가 올라가는 것 역시 너무나 불편하겠죠. 이래저래 일본이 느끼는 부담 역시 너무나 큰 상황이라고 보시면 될 듯 합니다.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엔 약세를 막기 위해서는 금리를 인상해야 하는데… 금리를 인상하자니.. 부담스럽습니다… 죽을 만큼 정말 하기 싫은 일이겠죠.
그런데요.. 마지막 하나의 방법이 있습니다. 미국이 금리를 내려주는 방법이죠. 와.. 이건 정말 묘수입니다. 문제는 이건 일본 당국에서 통제할 수가 없다는 거죠. 미국한테 “거기.. 금리 좀 낮춰줄래요?”라고 말하는 게 넌센스겠죠. 이건 일본이 원해도 액션으로는 보여줄 수 없는 겁니다. 그냥 하늘에 맡기는 거죠. 그런데요.. 이렇게 고민이 많은 상황에서 미국의 CPI가 예상을 하회한 겁니다. 그리고 연일 PPI도 흔들리고 있고.. 인플레이션은 이제 거의 끝난 것처럼 얘기가 나오고 있는 거죠. 그러면서 미국의 시장 금리가 큰 폭으로 하락했고…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 역시 높아지고 있죠. 기적이 일어나는 건가요.. 그냥 앉아만 있으면 미국 금리가 내려와서 일본과의 금리차를 좁히면서 엔화의 약세가 제한되는 것 아닌가요… 만약 그게 맞다면.. 지금 성급하게 금리를 움직여야 할까요..
연초 일본은행은 마이너스 금리 철폐를 천천히 가져가고 싶어했었죠. 그런데요… 1,2,3월 연달아 높게 나온 미국의 CPI, 그리고 그로 인해 치솟은 미국의 시장 금리와 연준의 보수적인 스탠스를 보면서 더 이상 기다릴 수 없다는 생각에 마이너스 금리 철폐를 3월로 앞당길 수 밖에 없었던 겁니다. 후속 금리 인상은 천천히 가고 싶은데… 미국의 금리가 높다면 더 앞당겨서 할 수 밖에 없지 않았을까요. 그런데.. 미국의 금리가 안정될 것 같은 기대가 화악 커지고 있습니다. 그런 상황에서 오늘 일본은행은 금융정책위원회를 맞이했습니다. 어떤 선택을 하게 될까요.
만약 100이라는 강도의 긴축을 고민했다면… 그걸 소폭은 낮춰주겠죠… 아마 오늘 일본 국채를 사들이는 양적완화… 그걸 줄이는 테이퍼링을 준비했다면.. 테이퍼링의 금액을 다소 낮출 수 있겠죠. 혹은 머지 않아 추가 금리 인상이 가능할 것이라는 점을 언급하려 했다면… 그걸 조금 더 늦출 수 있겠죠. 다만 변수는 전일 FOMC에서 보여준 연준의 상당히 매파적인 모습입니다. BOJ가 어떤 선택을 할지… 연준의 속내를 어떻게 읽고 오늘 상황에 대처하는지 보시죠.. 일단 양적완화 규모 축소는 어떻게든 시작하게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에세이 줄입니다. 감사합니다.
Jerome Powell 연준 의장 기자회견 주요 내용
1. 고용시장은 균형을 찾아가고 있지만 계속해서 강력한 모습 보일 것
2. 물가 안정, 최대 고용 달성 두 가지 연준 목표 달성 관련 리스크도 균형을 찾아가는 모습
3. 아직까지 기준금리를 인하할 정도로 물가에 강한 확신이 든 상황이 아님. 추가적인 데이터 확인이 필요
4. SEP는 정책 운영 계획이 아님(not a plan or any kind of decision. 그때 그때 바뀔 수 있다는 뜻). 전망에 대한 강한 확신이 없음
5. 경제가 계속해서 견조한 수준이 유지되는 가운데 인플레이션도 고착화되는 모습이 보이면 현재 기준금리를 적절하다고 생각하는 시점까지 최대한 길게 유지할 것
6. 반대의 상황이 전개되면 기준금리는 당연히 인하될 것
7. 연준은 인플레이션을 점차 보수적으로 전망하기 시작(practicing a slight element of conservatism on our inflation outlook)
8. 연준 구성원들은 전망치에 향후 정책 관련 강한 시그널을 보여주려고 하지 않음
9. 예상치 못한 고용시장 약화는 정책 대응 요인
10. 5월 CPI 발표 이후 연준 구성원들은 전망치를 수정할 수 있었지만 대다수(most) 인사들은 기존 전망치 유지
11. 고용시장은 최근 몇년 같이 상당히 과열(super heated)된 수준이 아님
12. 5월 물가 지표가 연준 모두의 예상보다 긍정적이었던 것은 사실
13. 현재 경기 펀더멘털은 연준이 원하는 수준
14. 물가 압력이 완화된 것은 주거 제외 서비스 물가는 계속해서 강력함
15. 신용카드 연체 및 디폴트는 심각한 수준이 아님
16. 정책 완화 결정에는 여러가지 이유가 있을 수 있음
17. 현재 연준은 기준금리 인하에 대해 조금씩 논의를 시작할 수 있는 상황(have the ability right now to approach rate-cut question carefully)
'American Stock Story[2024]'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득 약화와 물가 상승에 따른 우려가 조금씩 커지면서 (45) | 2024.06.15 |
---|---|
미 증시는 최근 발표된 경제지표를 통해 경기 둔화에 대한 우려가 부각되며 하락 출발. (31) | 2024.06.15 |
연내 금리 1회 인하(기존 3회). 5월 CPI 둔화 = 연준 스탠스 변화 가능성 (26) | 2024.06.14 |
소비자물가에 이어 생산자물가도 예상치 하회 하면서 금리가 큰폭으로 하락했습니다. (28) | 2024.06.14 |
미국 생산자물가지수(PPI)는 최종수요 기준 전월비 0.2% 하락 (27) | 2024.06.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