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드만 삭스의 루브너, 주식이 체계적 펀드의 매도 신호에 도달했다고 말하다
2024-07-24 15:27:00.169 GMT
By Natalia Kniazhevich
(Bloomberg) -- 최근 미국 주식의 하락은 추세 추종 펀드에 경고를 보내고 있습니다: 시장의 방향에 상관없이 미국 주식을 매도하라는 것입니다.
나스닥 100 지수는 6월 이후 최저치로 2.7% 하락했고, S&P 500 지수는 수요일 오전 11시 25분까지 1.7% 하락하면서 최근 6번의 거래 중 5번에서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두 주요 지수는 골드만 삭스 그룹의 거래 데스크 모델에 따르면 상품 거래 고문(CTAs)을 위한 매도 신호를 촉발하는 임계점을 넘었습니다.
골드만 삭스의 글로벌 시장 부문 전무이사이자 전술 전문가인 스콧 루브너는 고객들에게 보낸 메모에서 "우리는 모든 시나리오에서 미국 체계적 매도자들을 모델링하고 있습니다."라고 적었습니다.
주식이 계속 하락할 경우, 이 규칙 기반 거래자들은 글로벌 주식에서 329억 달러를, 미국 시장에서 79억 달러를 매도할 수 있다고 은행의 거래 데스크 분석에 따르면 밝혔습니다. 시장이 반등하더라도 CTAs는 여전히 9억 200만 달러의 미국 주식을 매도할 태세입니다.
음 골드만삭스가 예측을 잘 하긴하는데...
생각보다 다들 수익실현이 빨라질 수 있다는
평인듯 합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유안타증권 반도체 백길현]
■ SK하이닉스 2Q24 실적발표 주요 Q&A(1)
1. Server 시장에 대한 전망 및 Non-HBM 메모리 성장률과 전망은?
- 작년부터 AI 수요 지속되고 있고, 일반 서버 고객 수요 개선 움직임도 감지되고 있음.
- 2017년과 2018년 사이에 클라우드 데이터센터 대규모 투자 됬는데 교체주기 도래했고, AI데이터센터 증설이 일반서버 수요도 촉진하고 있음.
특히 전력 소모높은 AI서버 급격히 증가하면서 데이터센터 운용비용 절감/전력 확보가 중요해짐. 이에 기존 일반 서버를 신규 플랫폼으로 전환하려는 움직임이 있음.
- AI 기술이 학습에서 추론으로 확산되면서 AI서버 수요는 견조할 것. 여기에 일반 서버 교체수요 본격적으로 시작되는것을 고려하면 올해 내년 HBM제외한 서버 성장률은 20% 중반 수준으로 전망.
2. 메모리업체들의 투자 증가와 가동률회복으로 2025년 이후 공급 증가 우려 제기되고 있음. 이에 대한 SK하이닉스의 견해는?
- 과거 경험을 보면 공급업체 투자 증가가 공급과잉 불러 일으킬수있다고 우려할 수는 있음.
하지만 현재 투자와 증산은 일반 디램과 특성이 다른 HBM 중심으로 발생. 투자 증가는 공급 과잉이라는 단순 논리에 무리가 있을 것.
- HBM의 Die size 패널티와 낮은 생산성 고려하면 Bit 증가는 제한적. 이는 HBM 세대 업그레이드 될수록 더 심해질 것.
또한 HBM은 1년이상 고객 물량 기반으로 투자 결정하고 있어서 HBM투자 증가는 제품 주문량 증가를 의미함.
- AI 산업내 경쟁 심화로 HBM 급격히 증가하고 있어 공급사 캐파 확대에도 여전히 공급 부족 지속되는 중.
초기 AI 시장 형성되며 AI서버에 집중해서 발생하고 있지만, 향후 AI 기술이 다양한 응용처에 적요되면 PIM, Wide I/O와 같은 새로운 제품 출시되고 이에 대한 수요 생겨날 것.
- 메모리는 다품종 소량생산으로 제품 다양하게 늘어나고, 고객이 원하는 제품을 장기 공급하는 주문형 산업으로 발전해나갈 것.
- 고객과의 협업을 통해서 수요 가시성 높이고 고객 수요가 확실한 제품 위주로 투자해서 시장이 안정적으로 성장하는데 기여할 것.
[한투증권 김명주]
실리콘투의 목표주가를 기존 51,000원에서 60,000원으로 상향합니다. 실리콘투 실적의 변수 중 하나는 해상운송비 상승입니다. 다행히 해상운임(SCFI)은 WoW 하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최근(이번주는 아니지만) 실리콘투의 주가는 부진했는데 그 이유는 1) 해상운임의 추세적 상승과 함께 2) 미국 소비에 대한 우려(콘아그라 브랜즈/펩시 실절발)와 3) 매크로 변수에 따른 차익실현 등 때문입니다.
미국 대선을 앞두고 있기 때문에 3)은 예측하기 어렵습니다. 아직까지 해상 운임비는 비싸지만 SCFI가 추세적 상승은 멈추고 하락세로 돌아선 점은 긍정적입니다. 다가오는 아마존과 월마트, 코스트코 등의 실적을 봐야되겠지만, 미국 소비에 대한 우려가 커진 점은 사실입니다. 그러나 한국 화장품이 미국에서 가져가는 가격 경쟁력을 고려 했을 때는 미국 소비에 대한 우려를 리스크로 볼것인가 기회로 볼 것인가는 판단하기 나름일 듯 합니다. 달러 강세 또한 지속되고 있기 때문에 한국 화장품의 가격 경쟁력은 작년보다 더 높은 수준으로 유지되고 있습니다.
향후 GenZ들의 경제력이 높아진다는 점은 분명합니다. 다만, 매크로 불확실성 등을 고려 했을 때 그들의 소비에 있어서 가성비는 오랜 기간 중요한 소비 기준이 될 걸로 예상하며 이는 한국 화장품 산업에 긍정적인 요인입니다.
최근 미국 소매(특히 온라인) 시장에서 눈여겨 볼만한 부분은 틱톡샵의 성장입니다. 지난 9월에 공식 오픈한 틱톡샵은 아직까지 미국의 유통 강자인 아마존이나 월마트 등과 견주기에는 규모가 작습니다. 다만 GenZ 사용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은 틱톡에서 중저가 화장품 구매가 활발히 일어난다는 점은 눈여겨 볼만한 부분입니다. 틱톡샵 등 미국 유통 채널의 다변화는 온라인 시장 내 중소 셀러의 증가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는 다양한 한국 화장품을 소량으로도 판매할 수 있는 실리콘투에 긍정적입니다.
이러한 트렌드와 피크아웃 우려대비 양호한 한국 화장품의 수출(미국 뿐 아니라 중동, 유럽 등)을 반영하여 실리콘투의 목표주가를 60,000원으로 상향합니다.
감사합니다.
김명주 드림
'American Stock Story[2024]'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2분기 GDP 성장률이 1분기 1.4%보다 큰 2.8%로 발표 (23) | 2024.07.26 |
---|---|
빅테크를 중심으로 시장 전체가 긴장하는 모습입니다. (33) | 2024.07.25 |
제조업 PMI와 신규주택 판매 건수 둔화 등 경기에 대한 우려가 높아진 점도 투자 심리 위축 (23) | 2024.07.25 |
미국 증시 조정은 이전과 달리 심각하게 보여집니다. (19) | 2024.07.25 |
주식, 채권 등 주요 시장이 급락했습니다 (22) | 2024.07.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