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2024년 2분기 컨퍼런스콜
ㄴ음... 반도체랑 베터리사업이 다 망하고있는 느낌인데..
생각보다 그룹전체적으로 혁신이 필요한 시점이 아닌가 싶습니다. 특히나 우리나라천재들 다 해외로 빠져나가고 있다는데...ㅠㅠ 이거이...너무...심각한 상황아니오?
I. 메모리 사업부
1. 2분기 실적
- 제너레이티브 AI 서버향 수요 강세로 업황 회복세 지속
- HBM, 서버향 DDR5, 서버향 SSD 수요 견조
- ASP 상승: D램 10% 후반, 낸드 20% 초반
- 전분기 대비 대폭 성장
- 빗그로스: D램 한 자릿수 중반 상승, 낸드 한 자릿수 중반 감소
2. 제품별 현황
- HBM: 매출 50% 중반 상승
- 서버향 DDR5: 매출 80% 중반 상승
- 서버향 SSD: 매출 40% 중반 증가
- PC: 셀아웃 부진으로 수요 약세
- 모바일: 중화 OEM 고객사들의 해외 수출 확대로 견조한 수요
3. 기술 혁신
- 업계 최초 1b 나노 32기가비트 DDR5 기반 128기가바이트 제품 양산 판매 개시
4. 하반기 전망
- AI 서버 비중 지속 증가 예상
- HBM, DDR5, 서버 SSD 수요 강세 지속 전망
- PC 및 모바일: 수요 성장 제한적 가능성
- 빗그로스 전망: D램, 낸드 모두 한 자릿수 초반 증가 예상
5. HBM 전략
- 2024년: 전년 대비 약 4배 공급량 확보
- 2025년: 2024년 대비 2배 이상 공급량 확대 계획
- HBM3E: 3분기 10% 중반, 4분기 60% 수준까지 매출 비중 확대 예상
- HBM4: 2025년 하반기 출시 목표
- 커스텀 HBM: 고객별 최적화 제품 개발 중
6. 서버 SSD 전략
- Z5 낸드 기반 서버 SSD 업계 최초 양산 공급
- 하반기 매출 전망: 전년 동기 대비 4배 이상 성장 예상
- 16TB 이상 16채널 TLC SSD: 하반기 매출 전년 동기 대비 10배 이상 성장 전망
- QLC 제품: 16TB, 32TB 양산 중, 64TB 하반기 양산 예정, 128TB 4분기 라인업 추가 계획
II. 시스템 LSI 사업부
1. 2분기 실적
- 주요 부품 공급 증가로 실적 개선
- 상반기 사상 최고 매출 기록
2. 주요 제품 현황
- Exynos 2400: 수요 강세 지속
- 이미지 센서: 고해상도 센서 시장 확대
- DDI: 전년 대비 40% 이상 매출 증가, OLED 태블릿용 패널 DDI 양산 시작
3. 하반기 전망
- 스마트폰 부품 조달 수요 약화 가능성
- 웨어러블용 나노 SOC 긍정적 피드백
- 2억 화소 센서: 메인 와이드 카메라에서 텔레카메라로 확대
- 서버용 PMIC 제품 양산 예정
III. 파운드리 사업부
1. 2분기 실적
- 전분기 대비 두 자릿수 성장 달성
- 5나노 이하 선단 공정 수주 확대
- AI, HPC 고객 수 전년 대비 2배 증가
2. 기술 개발
- GAA 나노 공정 PDK 개발 및 배포
- 2025년 2나노 양산 준비 진행 중
3. 하반기 전망
- AI, HPC향 수요 지속 고성장 예상
- 선단 노드 중심 성장 전망
- 2024년 매출 시장 성장률 상회 전망
4. 중장기 목표
- 2023년 대비 2028년까지 AI, HPC 고객 수 4배, 매출 9배 이상 확대
- 2나노 공정 성숙도 향상 및 경쟁력 개선 지속
- RF/eMRAM 공정 개발 및 설계 인프라 구축 예정
IV. 디스플레이 사업부
1. 2분기 실적
- 플렉시블 OLED, QD-OLED 전 제품 판매 확대로 실적 개선
- 중소형 디스플레이: 매출 비중 90% 이상 유지, 판매량 두 자릿수 이상 증가
2. 제품별 현황
- 스마트폰 OLED: 저소비 전력 기술 개발 집중
- IT OLED: 하이엔드 중심 채용 증가
- QD-OLED 모니터: 게이밍 시장 중심 판매 확대, 레퍼런스 모니터 도입
3. 생산 라인
- 5.5세대 리지드 라인, 6세대 플렉서블 라인 가동 중
- 8.6세대 라인 선제적 투자 준비 중
4. 하반기 전략
- 초고해상도 라인업 강화
- 게이밍 시장 및 B2B 영역 확대
V. VD(Visual Display) 사업부
1. 2분기 실적
- 유로컵 등 대형 스포츠 이벤트 영향으로 시장 수요 전년비 소폭 성장
- QLED, OLED, 75인치 이상 대형 TV 견조한 성장세
- 프리미엄 시장 점유율 제고
2. 하반기 전망 및 전략
- TV 대형화 트렌드 지속에 따른 수요 회복 기대
- 프리미엄 및 대형 TV 중심 판매 확대 전략
- AI 기반 차별화된 고객 경험 제공
- TV Plus 등 미디어 광고 중심 서비스 플랫폼 강화
VI. MX(Mobile eXperience) 사업부
1. 2분기 실적
- 스마트폰 출하량: 5,400만 대
- 태블릿 출하량: 700만 대
- 스마트폰 ASP: 279달러
- S24 시리즈: 전년 대비 두 자릿수 성장 달성
2. AI 전략
- 갤럭시 AI 에코시스템 확산 계획
- 하이브리드 AI (온디바이스 AI + 클라우드 AI) 활용
- Knox 기반 강력한 보안 제공
- 글로벌 AI 리딩 파트너와 협력 강화
3. 하반기 전략
- 프리미엄 제품 중심 매출 성장 추진
- 폴더블 폰: 내구성, 배터리, 카메라 등 핵심 성능 강화
- 태블릿: Tab S 시리즈 중심 프리미엄 판매 확대
- 웨어러블: Galaxy Watch Ultra 중심 슈퍼 프리미엄 세그먼트 공략
- Galaxy Ring: 수면 모니터링, 헬스 경험 제공 강화
4. 수익성 확보 전략
- 개발, 제조, 물류 등 프로세스 전반 효율화
- 프리미엄 제품 중심 매출 성장 (업셀링 전략)
- 부품 공용화 및 표준화 등 제품 사양 최적화
#삼성전자 #2Q24 #컨퍼런스콜
'American Stock Story[2024]'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월은 아직 경기침체 징후가 없다 이렇게 보는군요. (27) | 2024.08.01 |
---|---|
POWELL 연준 의장의 성명 요약 (35) | 2024.08.01 |
미국 6월 JOLTs 구인, 이직 건수가 818.4만건으로 예상치(802만건)를 상회했지만, 전월치(823만건) 대비 둔화하며 금리인하 기대감 (29) | 2024.07.31 |
FOMC에서 분명 좋은정책을 가져올겁니다. (31) | 2024.07.31 |
이렇듯 미 대선을 둘러싼 많은 불확실성은 결국 관련 종목군의 변화가 확대될 수 있어 (33) | 2024.07.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