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제영님 시장리뷰 ㅣ 2025. 2. 7 5분 미국 마감
#아마존 #베센트 #딥시크
NASDAQ 19,791(+0.51%)
미국채 10년 금리 4.438%(+0.36%)
달러인덱스 107.666p(+0.05%) NDF 1,446원(-1원)
미국 증시는 다우지수가 소폭 하락했으나 나스닥과 S&P500 지수는 상승 마감 했습니다. 엔비디아가 3거래일 연속 반등에 성공하며 기술주 상승을 이끌었습니다. 장마감 후 눈에 띄는 종목은 실적 발표를 한 아마존과 팔란티어테크 입니다. 아마존은 4% 하락 중이고 팔란티어는 10% 이상 상승하고 있습니다. 아마존은 작년 4분기 실적이 예상치를 웃돌았으나 1분기 매출 전망이 시장 예상치를 하회하면서 하락하고 있습니다.
물론 여기에 AI 투자에 대한 불안감도 포함되어 있을 겁니다. 하이퍼스케일러 실적 발표 때마다 AI 투자에 대한 회수가 가능한 지에 대한 의문이 항상 있어 왔습니다. 팔란티어는 불과 이틀전 실적 발표후 23% 급등 했는데 하루 쉬더니 10% 넘게 상승했습니다. AI플랫폼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는 중입니다. 하드웨어에서 소프트웨어로 빠르게 주도주들이 부상하고 있습니다.
베센트 재무장관의 발언도 있었습니다. 이날 언론 보도에서 강달러 기조를 바란다고 이야기 했습니다. 원문을 찾지 못해 기사 내용만 발췌하면 이렇습니다. "우리가 원하지 않는 것은 다른 국가가 자국 통화를 약화시키고 무역을 조작하는 것"이라며 "우리는 달러가 강해지길 바라고 트럼프 행정부에서도 그대로 기조가 유지될 것"이라고 말했다. 오역이 아니라면, 달러가 강해야 하는데 타국의 통화 약세는 원하지 않는다는게 무슨 뜻인지 모르겠습니다. 아무튼 원화 강세는 당분간 쉽지 않은 일이 될 수 도 있습니다.
어제 한국 정부에서도 딥시크의 사용을 차단했습니다. 제가 몸 담고 있는 회사도 공식적으로 사용을 제한 했습니다. 딥시크의 코드를 분석한 결과 개인정보를 중국의 차이나모바일로 전송하는 코드가 숨어 있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화웨이 제재 처럼 딥시크도 마찬가지로 강력한 제재를 받을 것으로 보입니다. 아이러니 하게도 화웨이는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했습니다. 하지만 시간이 좀 걸리겠죠.
'U.S stocks [2025] ISSUE arrangemet' 카테고리의 다른 글
Is the crumbs of Dubon Korea_Jongwon Baek worth picking up? (6) | 2025.02.07 |
---|---|
디지털서비스세 대응 위해 무역법 301조 활용 가능성 (4) | 2025.02.07 |
Trump is going overboard (5) | 2025.02.07 |
베센트, 트럼프 집권 하에서도 강달러 정책 유지 (5) | 2025.02.07 |
미국증시, 고용보고서 발표 앞두고 종목 장세 속 혼조 마감 (4) | 2025.0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