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U.S stocks [2025] ISSUE arrangemet

소비심리를 위축시키는 발언

반응형

오건영님 글 ㅣ 오늘 장.. 그래도 막판에 들어올려서 참 다행이죠. 연일 뉴욕 증시가 고전을 하고 있는데요… 다른 국가 증시.. 특히 한국 증시나 유럽 증시 등에 비하면 부진의 정도가 강한 듯 합니다.

딥시크의 충격인가요? 개인적으로는 성장 둔화에 대한 두려움이 기저에 가장 크게 존재한다고 생각합니다. 다른 국가들은 금리 인하와 환율 전쟁을 통해서 저금리와 약한 통화 페어를 잡지만… 미국은 고금리와 강한 달러 페어를 잡고 있죠. 어느 국가이건 내수와 수출로 성장합니다. 고금리를 잡은 국가는 내수에서 고전하겠죠. 강한 통화를 잡은 국가는 수출에서 고전합니다. 미국은 고금리와 강달러 페어를 잡고 있다고 말씀드렸쟎아요. 그 페어를 잡은 기간이 길어질수록 힘들겠죠.

여기에 트럼프 관세는 소비 심리를 위축시키는 역할을 하죠. 어느 국가이건… 관세를 맞기 전에는 어떻게든 조금이라도 관세를 낮추려고 적극적인 협상을 하지만 막판에 관세가 확정이 되면 태도가 돌변하면서 보복 관세와 통화 약세(환율 전쟁)로 대응하곤 하죠. 캐나다와 멕시코가 지금 분노에 차있는 것을 보면 느낌이 오실 겁니다. 초기 10% 추가 관세만 맞았을 때에는 큰 의미도 없는.. WTO에 제소 등으로 소극적인 대응만 하던 중국도 다시 10%를 추가하자 이번에는 행동에 나서는 모습이죠. 미국산 수입 농산물에 대한 관세를 때리는데요… 트럼프의 지지 기반인 농민층에서 부담을 크게 느낄 수 있습니다. 관세 전쟁… 그로 인한 물가 상승… 미국인들 입장에서는 지난 해까지 과소비를 했고… 금리도 높고… 달러가 강합니다. 거기에 관세로 인해 물가도 높은 수준을 유지합니다… 이게 지금 미국의 소비심리에 악영향을 주는 요인이 되겠죠.

그리고 반대편에서는 그 동안 억눌려있던 독일과 중국 등이 경기 부양을 말하고 나섭니다. 유로존은 재정 협약으로 인해 재정 지출을 3%이상으로 늘릴 수 없었는데요… 이번에 러-우 전쟁 협상 과정에서 재무장에 대한 고민을 하면서 군비를 중심으로 재정 지출 확대의 명분을 얻었죠. 중국 역시 성장에 대한 확신을 가지고 경기 부양의 기치를 들어올릴 듯 합니다. 그 성장이 일시적일 수 있지만.. 일시적으로는 성장의 강도가 미국보다는 Non-US국가로 넘어갈 수 있죠. 이런 현상들은 금융 시장에서 상당히 독특한 현상으로 나타나곤 합니다.

보통 주가가 오를 때 달러는 어떻게 움직일까요? 달러가 약세일 때.. 안전 자산인 달러가 약할 때… 위험 자산인 주가가 오른다… 제가 마켓 보던 초기에는 이렇게 배웠더랍니다. 달러 캐리 트레이드라는 말이 유행했구요.. 달러 약세로 인해 전세계로 달러가 흘러가면서 주가가 오른다는 의미죠. 달러 공급이 늘어나니 달러는 약해지고 주가는 상승하곤 했습니다. 그렇지만 2010년대 중반 이후부터는 분위기가 바뀌었죠. 달러가 강해지더라구요.. 그런데 미국 주가가 달려가는 겁니다. 전세계에서 미국만 성장이 압도적으로 나옵니다. 전세계 자금이 미국으로 몰리는 겁니다. 미국 자산을 사기 위해 달러가 강해지고… 그 달러로 주식을 사니 미국 주식이 오르더군요… 네.. 미국 주식은요… 달러 강세 & 약세 모두에서 긍정적으로 반응했던 겁니다.

미국 주식이 하락하면? 다 힘든데… 미국만 좋은데.. 그 좋은 미국이 흔들릴 정도면 안전 자산 선호가 강해져야 하겠죠. 그래서 달러가 안전 자산의 성격을 읽으면서 강해지는 겁니다. 네.. 주가가 하락할 때 어김없이 강달러가 형성됩니다. 그럼 미국 주식은 상승할 때 달러 강세를 같이 가져가고.. 하락할 때 달러 강세가 나타나고… 너무 좋은 것 아닐까요… 그런데요.. 진짜 드물게 이런 경우가 있습니다. 미국 주식이 빠지는데 달러가 약한 경우가 있죠.

지난 해 8월 5일 미국 주식이 3% 하락하고.. 코스피가 7%하락한 적이 있죠. 엔캐리 청산 국면이었습니다. 참고로 그날 달러원 환율은 튀어오른 게 아니라 멍 때리고 있었죠. 1350원으로요… 그리고 2018년 12월에는 미국 주식이 흔들리는데.. 코스피는 먼저 내려와서 자리잡고 멍 때리고 있고… 달러원 환율도 안정되어 있었던 기억이 있습니다. 참 독특한 시기구나.. 라는 생각이 드실 겁니다. 최근 뉴욕 증시.. 큰 폭 하락에도 불구하고… 달러원 환율은 1450원대로 하락했죠. 달러 인덱스는 어느 새 105.5로 내려와있습니다. 미국 주가 하락과 함께 달러 약세가 진행되는 것이죠. 금융 시장에 공식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가끔씩 이런 이상한 케이스들도 나타날 수 있죠. 미국의 성장이 둔화되고… 다른 곳에서 대안이 나타날 때 이런 현상이 보이곤 합니다. 다음 에세이에서 이어가겠습니다. 감사합니다.

320x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