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U.S stocks [2025] ISSUE arrangemet

현재 시장 전망과 트럼프 관세 정책의 영향 분석

반응형

보고서: 현재 시장 전망과 트럼프 관세 정책의 영향 분석
1. 시장 전망의 한계


"현재의 시장 전망은 현재까지의 데이터로 바라보는 것일 뿐이다"라는 주장은 타당하다. 경제 전망은 과거와 현재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지만, 정책 변화나 예상치 못한 사건으로 인해 급격히 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The Guardian (2025-03-23)는 연방준비제도(Fed)가 트럼프의 관세 정책으로 인해 경제 성장 전망을 하향 조정하고 인플레이션 전망을 상향 조정했다고 보도했다. Fed 의장 제롬 파월(Jerome Powell)은 "불확실성이 놀라울 정도로 높다"고 언급하며, 정확한 예측이 어렵다고 강조했다. 이는 시장 전망이 단지 현재 시점의 스냅샷에 불과하다는 점을 보여준다.


2. 트럼프 관세 취소와 금리 인하의 가능성
"트럼프가 관세를 취소하고 파월이 금리를 내리면 나스닥은 전고점을 회복할 것이다"라는 가정은 낙관적 시나리오다. Reuters (2025-03-22)에 따르면, 트럼프가 관세에 대해 유연성을 시사하자 주식 시장이 소폭 상승하며 긍정적 반응을 보였다. 또한, 금리 인하가 이루어질 경우 투자 심리가 회복되며 나스닥과 같은 기술주 중심 지수가 반등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NBC News (2025-02-04)는 관세가 장기적으로 유지되면 인플레이션이 상승하여 연준의 금리 인하 여력이 줄어들 수 있다고 경고했다. 현재로서는 관세 철회가 불확실하므로 이 시나리오는 가능성에 그친다.



3. 관세 진행과 그 영향
"지금은 관세가 진행될 것으로 뉴스가 나온다"는 사실과 일치한다. Reuters (2025-03-11)는 트럼프가 캐나다, 멕시코, 중국에 대한 관세를 지속적으로 추진하며 경기 침체 우려를 키웠다고 보도했다. 나스닥은 2022년 9월 이후 최대 하락폭을 기록하며 시장이 관세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전문가들은 "관세가 인플레이션과 경기침체를 가져올 것"이라는 데 동의한다. CNN Business (2025-02-02)는 관세가 미국 GDP 성장률을 2025년에 1.5%, 2026년에 2.1% 감소시킬 수 있다고 분석하며, stagflation(인플레이션+경기침체) 가능성을 제기했다.

4. 경기침체와 증시 하락 시나리오
"경기침체가 와서 증시가 내리는 상황에서 인플레이션으로 연준이 금리를 못 내리면 증시는 크게 하락할 것이다"라는 전망은 현재 상황과 밀접하다. The New York Times (2025-03-13)는 트럼프의 관세 정책 혼란으로 S&P 500이 선거일 이후 상승분을 모두 잃고 나스닥이 4% 하락했다고 전했다. CNBC (2025-03-20)는 파월이 관세로 인한 인플레이션 상승이 금리 인하를 지연시킬 수 있다고 언급한 점을 보도하며, 이 경우 증시가 추가 하락 압력을 받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는 높은 인플레이션과 낮은 성장률이 겹치는 최악의 시나리오로 이어질 수 있다.


5. 미 증시와 AI 테마의 현주소
"미 증시는 높은 주가 레벨에서 AI 테마도 끝물이다"라는 판단은 부분적으로 맞다. Reuters (2025-03-11)는 나스닥이 테슬라(15% 하락)와 엔비디아(5% 하락) 같은 AI 관련 주식의 약세로 4% 하락했다고 보도했다. AI 테마가 시장을 주도했지만, 중국의 저가 AI 모델(DeepSeek) 등장 등으로 투자 매력이 약화되고 있다(Reuters, 2025-02-01). 높은 밸류에이션은 추가 하락 위험을 높이고 있다.
6. 중국 시장의 상대적 매력
"중국은 싼 주가 레벨이다. 디플레이션으로 지준율 인하에 정부 부양책까지 상황이 좋다"는 분석은 긍정적 요인을 잘 짚었다. 중국은 디플레이션 압력에 대응해 지준율을 인하하고 대규모 부양책을 추진 중이다. 이는 미국과 달리 유동성 공급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매력적이다. Reuters (2025-03-04)는 트럼프의 중국 관세(20%)에도 불구하고 중국 시장이 상대적으로 저평가 상태임을 암시한다. 다만, 관세 충격이 단기적으로 변동성을 키울 수 있다.
7. 미래 전망과 바닥 매수 기회
"미 증시가 싸지고 관세 충격이 무뎌지고 인플레가 잡혀 연준이 유동성을 공급하면 다시 나스닥은 오를 것이다. 새로운 주도주와 테마도 나올 것이다. 1년 만 기다리면 그런 바닥 매수 기회가 올 것이다"라는 예측은 합리적이다. Russell Investments (2025-02-02)는 관세 충격이 완화되고 연준이 금리를 인하하면 S&P 500 수익 성장이 10% 수준으로 회복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역사적으로 시장은 침체 후 반등하며 새로운 테마(예: AI 이후의 차세대 기술)가 등장한다. 1년 후라는 시간 프레임은 관세와 인플레이션의 영향이 정리되는 시점으로 보인다.
결론
현재 시장은 트럼프 관세 정책의 불확실성으로 흔들리고 있으며, 인플레이션과 경기침체 우려가 증시 하락을 부추기고 있다. 미 증시는 높은 밸류에이션과 AI 테마 약화로 취약하지만, 중국은 저평가와 부양책으로 대조를 이룬다. 1년 후 관세 충격이 무뎌지고 연준이 유동성을 공급하면 나스닥 반등과 함께 바닥 매수 기회가 올 가능성이 높다. 다만, 단기적으로는 변동성과 하락 위험이 크므로 신중한 관망이 필요하다.


미국증시 5가지 주요 이슈

1. 노무라, 한국은행 4월 금리 인하 가능성 35% 제시

내용 요약: 달러-원 환율은 달러 강세로 전일 대비 4원 상승한 1,474원 근방에서 마감. 노무라는 정치적 불확실성(탄핵 정국 및 추경 통과 불확실성)을 감안해 한국은행이 4월 17일 금통위에서 금리 인하를 고려할 가능성을 35%로 제시. 기본 전망은 올해 성장률 1.5%, 5월 금리 인하, 연말 기준금리 2.25%로 유지. 반면 씨티는 한국 성장률 전망을 1.0%로 하향 조정.

분석: 한국 경제는 정치적 혼란과 글로벌 달러 강세로 압박을 받고 있으며, 이는 원화 약세와 금리 정책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음. 노무라의 '깜짝 인하' 시나리오는 단기적인 시장 변동성을 높일 수 있으나, 기본 시나리오(5월 인하)가 여전히 주류 전망으로 보임. 씨티의 낮은 성장률 전망은 투자 심리와 자본 유출에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

2. 트럼프, 4월 2일 국가별 상호관세 발표 예정

내용 요약: 트럼프는 4월 2일 '국가 기반' 상호관세를 발표할 계획. 모든 국가에 적용되는 관세를 강조하며 특정 국가 한정 가능성을 배제. 리빗은 트럼프가 불공정 무역 관행을 바로잡고 미국 우선주의를 실현하기 위한 역사적 변화를 추진한다고 밝힘.

분석: 트럼프의 관세 정책은 글로벌 무역 환경에 큰 파장을 일으킬 가능성이 높음. '상호주의'를 명분으로 한 이번 조치는 주요 교역국(중국, EU 등)과의 마찰을 심화시킬 수 있으며, 이는 원자재 가격 상승과 공급망 혼란으로 이어질 가능성 있음. 한국 수출 기업들은 관세 부과 여부와 범위에 따라 타격을 받을 수 있어 주의 필요.

3. ECB, 4월 금리 동결 가능성 부상

내용 요약: ECB 일부 위원들이 4월 17일 회의에서 금리 인하 대신 동결을 고려 중. 미국 무역 정책과 유럽 군사비 지출 증가 등 불확실성 속에서 비둘기파는 추가 완화를 주장하나, 매파는 신중론을 펼침. 트레이더들은 25bp 인하 확률을 85%에서 65%로 하향 조정.

분석: ECB의 금리 동결 가능성은 유로존 경제 회복 속도와 글로벌 불확실성에 대한 우려를 반영. 금리 인하 기대가 후퇴하면서 유로화 강세와 유럽 주식 시장 변동성이 커질 수 있음. 한국 수출 기업들은 유럽 수요 둔화와 환율 변동에 대비해야 함.

4. 프랑스 르펜, 횡령 유죄로 대선 출마 차단

내용 요약: 프랑스 극우 지도자 마린 르펜이 횡령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아 차기 대선 출마가 사실상 불가능해짐. 르펜 측은 정치적 탄압이라 주장하나, 전문가들은 그녀의 정치적 복귀가 어려울 것으로 전망.

분석: 르펜의 낙마는 프랑스 정치 지형에 중대한 변화를 초래할 가능성 있음. 극우 세력 약화로 마크롱 정부의 입지가 강화될 수 있으나, 반대로 다른 극우 후보가 부상할 여지도 존재. 이는 유럽 내 포퓰리즘 움직임과 EU 정책 방향에 간접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음.

5. 사전 헤징 논란: 리스크 관리와 지위 남용 사이

내용 요약: 금융시장에서 사전 헤징(pre-hedging)에 대한 찬반 논쟁이 격화. 딜러가 투자자 거래 정보를 활용해 사전에 주문을 넣는 이 관행은 리스크 관리에 유용하지만, 가격 조작 및 이해상충 우려도 제기됨. 유럽증권시장감독청은 금지 대신 경고, 국제증권감독기구는 올해 중 모범 관행 제시 예정.

분석: 사전 헤징 논란은 금융시장 투명성과 공정성에 대한 근본적 질문을 던짐. 규제 강화 시 딜러의 유동성 공급 능력이 제한될 수 있으나, 투자자 보호가 강화될 가능성도 있음. 글로벌 모범 관행 도입은 시장 참가자들의 행동 변화를 유도하며 단기적인 시장 혼란을 초래할 수 있음.

종합 평가 및 전망

주요 리스크: 트럼프의 상호관세 발표(4월 2일)와 ECB 금리 결정(4월 17일)이 글로벌 시장의 단기 방향성을 좌우할 핵심 이벤트로 부상. 한국은 원화 약세와 정치적 불확실성 속에서 금리 인하 가능성(4월 17일 금통위)이 투자 심리에 영향을 미칠 전망.

시장 대응: 투자자들은 관세 정책과 금리 결정에 따른 변동성에 대비해 헤징 전략을 강화하고, 한국 시장은 정치적 변수와 환율 움직임에 주목해야 함.

기타 요인: 프랑스 정치 불안과 사전 헤징 규제 논의는 간접적이나마 금융시장 신뢰도와 유럽 경제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 있음.




320x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