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이슈 점검 보고서: S&P500 반등 vs. 추가 하락 전망 (2025년 4월 7일~11일)
ㄴ단기반등 가능성은 있다고 보는분들이 꽤 있는듯함.
1. 현재 상황 요약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부과 조치와 중국의 보복 관세 발표로 인해 2025년 4월 3일(목)과 4일(금) 이틀간 S&P500 지수가 10.53% 하락하며 큰 충격을 받았습니다. 이期間 거래량은 20일 평균의 약 2배에 달하며 패닉셀링과 투매가 시장을 지배했습니다. 현재 S&P500의 12개월 전방 PER(주가수익비율)은 18.7배로, 5년 평균(20.0배)을 하회하고 10년 평균(18.4배)에 근접하며 밸류에이션이 절대적으로 고평가 상태는 아니라는 점이 주목됩니다. 그러나 과거 이틀간 10% 이상 하락 사례 7건 중 6건이 경기 침체와 연관된 점을 감안하면, 관세 이슈 자체보다 경기 침체 여부가 이번 주 시장 방향성을 좌우할 핵심 변수로 보입니다.
2. 과거 사례 분석
과거 거래량 급증과 지수 급락 사례를 통해 이번 주 가능성을 점검합니다.
1987년 블랙 먼데이
상황: 다우지수 22.6% 하락, 거래량 폭증.
이후 일주일: 다음날 5.9% 반등 후 변동성 확대 지속, 본격 회복은 10월 26일 이후.
특징: 과열 시장 붕괴, 유동성 부족으로 추가 하락 압력. 배당주/유틸리티 주도 회복.
1997년 미니 크래시
상황: 아시아 금융위기 여파로 다우 7.18% 하락.
이후 일주일: 다음날 4.71% 반등 후 안정화.
특징: 일시적 충격, 기술주/금융주 중심 회복.
2008년 금융위기
상황: S&P500 다수 8~9% 하락(9/29, 10/9, 10/15 등), 거래량 급증.
이후 일주일: 극심한 변동성 장세, 추가 하락 반복 후 2009년 3월 저점.
특징: 구조적 문제(경기 침체, 유동성 위기), 방어주 방어 후 기술주 전환.
2020년 코로나 팬데믹
상황: S&P500 9.51% 및 12.0% 하락(3/12, 3/16), 약세장 진입.
이후 일주일: 변동성 확대 후 3/23 저점, 연준·정부 대응으로 회복.
특징: 정책 대응으로 기술주/헬스케어 주도 반등.
공통점 및 시사점:
단기 반등: 패닉셀링 후 과매도 인식으로 기술적 반등 가능성.
추가 하락/변동성: 구조적 문제(경기 침체 등) 시 하락 지속.
안정: 충격이 일시적이고 지지대 형성 시 회복.
3. 이번 주 시나리오별 전망
시나리오 1: 단기 반등 (확률: 35%)
조건: 관세 충격이 과도한 공포로 간주되고, 주말 협상에서 완화 신호 발생 시.
전개: 월요일 저가 매수 유입으로 3~5% 반등, 거래량 감소하며 안정화 시도.
주목 섹터: 기술주(AI, 반도체), 소비재(월마트 등 방어주).
촉발 요인: 중국 부양책 발표, 유럽 보복 관세 철회.
시나리오 2: 추가 하락 또는 변동성 지속 (확률: 50%)
조건: 경기 침체 우려 심화(소비심리 악화, 물가 상승), 보복 관세 확대.
전개: 월화 변동성 확대(상승/하락 반복), 주 후반 경제지표 부진 시 57% 추가 하락.
주목 섹터: 방어주(유틸리티, 헬스케어) 선방, 성장주(기술주) 약세.
촉발 요인: FOMC 의사록 매파적, 미국/중국 물가 상승.
시나리오 3: 안정 (확률: 15%)
조건: 관세 협상 진전, 주요국 보복 관세 철회, 경제지표 안정.
전개: 주 초 소폭 반등 후 횡보, 거래량 감소하며 지지대(5100~5200) 형성.
주목 섹터: 금융주, 산업재 회복 주도.
촉발 요인: 일본/영국 중립 유지, 미국 소비심리 개선.
4. 주요 변수 및 주간 일정 분석
관세 이슈
중국: 34% 보복 관세로 대응, 추가 부양책 여부가 반등 열쇠.
유럽: 재무장관회의(4/11) 결과로 보복 관세 규모 결정.
영국/일본: 중립 유지 시 시장 안정 요인.
경제 지표
4/9 FOMC 의사록: 금리 인하 속도 및 경기 전망 주시.
4/10 미국/중국 CPI: 물가 상승 시 변동성 확대 우려.
4/11 소비심리지수: 침체 공포 완화 여부 판단.
거래량 추이
급락 후 거래량 감소 시 안정 신호, 지속 증가 시 추가 하락 경고.
5. 결론 및 투자 전략
기본 전망: 변동성 지속(50%)이 가장 유력하나, 단기 반등(35%) 가능성도 배제 불가. 안정(15%)은 협상 진전 없이는 어려움.
전략:
단기 트레이딩: 월요일 반등 시 기술주(반도체) 매수, 변동성 확대 대비 풋옵션 헤지.
중장기: 방어주(헬스케어, 유틸리티) 비중 확대, 경기 지표 확인 후 성장주 재진입.
리스크 관리: S&P500 5100선 붕괴 시 손절, 거래량 모니터링 강화.
핵심 주목 포인트: 주말 관세 협상 결과(4/7), FOMC 의사록(4/9), 소비심리지수(4/11).
이번 주는 관세 이슈의 후속 조치와 경제지표를 통해 경기 침체 여부가 드러날 가능성이 높으며, 변동성 장세 속 단기 기회와 리스크가 공존할 것으로 보입니다.
'U.S stocks [2025] ISSUE arrangemet'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럼프 정책과 미국 증시 반등 가능성 (8) | 2025.04.06 |
---|---|
주말까지 이어진 각국의 대응 중국: 34%의 보복 관세 발표 (6) | 2025.04.06 |
트럼프1기때 무역전쟁이 성공했다고 느끼는것같은데 (5) | 2025.04.06 |
MSTR(MicroStrategy)의 하락 가능성 (6) | 2025.04.06 |
미국의 상호 관세 부과와 글로벌 경제 및 시장 동향 (10) | 2025.04.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