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U.S stocks [2025] ISSUE arrangemet

주말까지 이어진 각국의 대응 중국: 34%의 보복 관세 발표

반응형

특이하네요 일본은 관세에서 뭐 얻어간게 없는데... 가만히 있네? 엔캐리트레이드도 충분히 손실폭이 커지니까 터질 수 있는 자리가 아닌가...? (이미 터진건가?)

뭐 여튼... 소프트랜딩은 실패네요
미국증시가 급락하면 그건 경기침체로 반영되는거라... 상대적으로 모든 기업들이 단기간내 대응하기가 문제많아보입니다.

파월이 단기적으로는 선제적금리인하는 못할테고 트럼프가 망쳐주면 대대적으로 낮출 수는 있겠네요

cpi발표때쯤 관세때문에 물가가 확 올랐으면 급락이고
cpi가 비슷하거나 급락했으면 빠른 금리인하 기대감으로 급등하겠죠?

그냥 여러모로 변동성 무지막지하겠네요 😭

* 주말까지 이어진 각국의 대응
중국: 34%의 보복 관세 발표
유럽: 미국에 대한 보복 관세 부과 계획중(재무장관회의 주목)
영국, 일본: 관세 부과 계획 없음
베트남, 이스라엘, 아르헨티나: 미국에 대한 관세 철회 시사

* 아시아 각국
중국: 관세 이슈를 반영 추가 부양책 기대
홍콩: 재수출이 관세 영향이 큰 지역
한국: 관세 우려 불구 정치 안정, 낮은 밸류 기대
일본: 엔캐리 우려로 낮아진 밸류 기대
대만: 대미 수출 의존도 높고, 관련 기업 비중 높음

* 요일별 주목할 이슈
월요일: 주말 미-국가 관세 이슈 협상 내용
화요일: 관세 부과 앞두고 나오는 협상 내용
수요일: 미국 FOMC의사록을 통한 경기 내용
목요일: 미국, 중국 물가 동향에 따른 변화
금요일: 미국 소비심리지수 결과

* 주간 주요 일정

04/07(월)
독일: 산업생산, 수출입통계
유로존: 센틱스 투자자신뢰지수
미국: 고용동향지수
행사-TED 컨퍼런스: OpenAI 알트만, 전 구글 에릭슈미트 연설
행사-스페이스 심포지업: 팔란티어, 나사, 아마존, 스페이스X 등 대표 참석

04/08(화)
미국: 소기업낙관지수
채권: 미 3년물 국채입찰
보고서: EIA 단기에너지 전망보고서
발언: 데일리 총재
실적 장전: 월그린부츠(WBA)

04/09(수)
은행: 뉴질랜드 통화정책회의, 인도 통화정책회의
보고서: FOMC 의사록 공개
채권: 미 10년물 국채입찰
행사-구글 클라우드 넥스트(~11일)
발언: 바킨 총재
무역: 미국 보편적관세 10% 부과
실적 장전: 델타항공(DAL)
실적 장후: 콘스텔레이션 브랜드(STZ)

04/10(목)
중국: 소비자물가지수, 생산자물가지수
미국: 소비자물가지수
보고서: WASDE(세게 곡물 수급 보고서)
발언: 쿡 이사(경제전망), 굴스비 총재(경제 및 통화정책), 로건, 하커 총재
무역: 미국 상호 관세 발효, 중국 대 미 관세 발효
실적 장전: 카맥스(KMX)

04/11(금)
중국: 신규대출, M2증가율
독일: 소비자물가지수
미국: 생산자물가지수, 소비자심리지수
회담: 유로존 재무장관회의
발언: 윌리엄스 총재
실적 장전: JP모건(JPM), 웰스파고(WFC), 모건스탠리(MS), 블랙록(BLK)

320x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