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무역전쟁 격화와 글로벌 금융시장 혼란
미국과 중국 간 무역전쟁이 2025년 4월 들어 극단적으로 치닫고 있으며, 이로 인해 글로벌 금융시장이 큰 혼란을 겪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의 대중국 관세가 145%까지 치솟고, 중국이 이에 맞서 대미 관세를 125%로 상향 조정하면서 양국 간 무역은 사실상 중단 수준에 이르렀다. 이 갈등은 달러 약세, 안전자산 선호, 미국 소비심리 악화, 그리고 미국채 시장 불안으로 이어지며 전 세계 경제에 심각한 충격을 주고 있다.
미-중 관세전쟁: 끝없는 치킨게임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산 수입품에 대해 관세를 기존 125%에서 145%로 인상하며 강경한 입장을 고수했다. 이에 중국은 4월 12일부터 미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를 84%에서 125%로 상향 조정하며 맞대응에 나섰다. 중국 재정부는 “현재 관세율 하에서는 미국산 제품이 중국에서 더 이상 판매되기 어려울 것”이라며 추가 관세 인상에 대해 “대응할 가치조차 없다”고 비판했다. 시진핑 주석은 “중국의 발전은 외부 억압에 굴하지 않는다”며 단호한 태도를 밝혔다.
월스트리트저널은 “양국 간 갈등이 퇴로가 보이지 않을 정도로 고조되고 있다”고 보도하며, 미중 무역이 사실상 전면 중단에 가까운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소시에테제네랄은 이번 관세로 중국의 대미 수출이 대부분 사라질 것으로 전망했다.
달러 약세와 안전자산 선호 가속화
미-중 무역전쟁 격화로 달러는 급격한 약세를 보이고 있다. 금요일 밤 달러-원 환율은 1,420원 부근에서 마감하며 3거래일간 60원 이상 하락했다. 블룸버그 달러지수는 작년 10월 초 이후 최저치를 경신했다. 옵션 트레이더들은 5년 만에 처음으로 달러 약세 베팅으로 돌아섰으며, 이는 달러가 안전자산으로서의 지위를 잃고 있다는 신호로 해석된다.
반면, 엔화, 스위스프랑, 유로화 등 주요 통화는 강세를 보였고, 금값은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ING 은행의 프란체스코 페솔레 전략가는 “달러 신뢰 위기로 미국 자산 매도 정서가 확산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미국 소비심리 악화와 경제 성장 둔화 우려
미국 내 소비심리도 급격히 악화되고 있다. 4월 미시간대 소비자심리지수 예비치는 50.8로, 2022년 6월(50)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기대 인플레이션은 1년 기준 6.7%로 1981년 이후 최고치를 경신했으며, 향후 실업률 상승을 예상하는 응답자 비율도 2009년 금융위기 이후 최고 수준에 달했다.
존 윌리엄스 뉴욕 연은 총재는 트럼프의 관세 정책과 이민 억제 조치가 경제 성장 둔화와 인플레이션 확대를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하며, “올해 실질 GDP 성장률이 1% 이하로 둔화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미국채 시장 불안과 연준의 딜레마
미국채 시장도 큰 타격을 받고 있다. 최근 장기물 금리가 급등하며 미국채의 안전자산 매력이 약화되고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제이미 다이먼 JP모간 CEO는 “미국채 시장에서 소동이 일어나 연준이 개입할 가능성이 있다”며, “유동성 부족과 변동성 확대가 자본시장 전반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경고했다.
수잔 콜린스 보스턴 연은 총재는 “필요 시 시장 안정 조치를 취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밝혔으나, 연준은 관세로 인한 인플레이션 압력과 경제 둔화 사이에서 딜레마에 직면해 있다. 금리 선물시장은 연말까지 기준금리를 4차례 인하할 확률을 33.9%로 점치고 있다.
결론: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 심화
미-중 무역전쟁의 격화는 달러 약세, 안전자산 선호, 소비심리 악화, 미국채 시장 불안 등 다방면에서 글로벌 경제에 충격을 주고 있다. 양국 간 관세전쟁이 해결의 실마리를 찾지 못하고 치킨게임으로 치달으면서, 세계 경제는 더 큰 불확실성 속으로 빠져들고 있다. 연준의 정책 대응과 각국의 추가적인 맞대응이 향후 경제 흐름을 결정짓는 주요 변수가 될 것으로 보인다.
'U.S stocks [2025] ISSUE arrangemet'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의 대미 투자 증가 이유? (8) | 2025.04.14 |
---|---|
트럼프 관세 쇼크와 금융시장 전망 트럼프 관세 정책 완화 (7) | 2025.04.14 |
트럼프 행정명령 14257에 따른 반도체 관세 제외와 시장 반응 분석 (4) | 2025.04.14 |
최근 달러인덱스(DXY) 약세와 미국채금리 상승의 디스퍼션이 발생하는 원인 (8) | 2025.04.14 |
루트닉 발언의 맥락과 네 가지 포인트 분석 (4) | 2025.04.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