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U.S stocks [2025] ISSUE arrangemet

미 증시는 채권시장 안정과 주말 스마트폰·반도체 관세 면제 조치

반응형

미 증시 및 글로벌 금융시장 요약 (2025년 4월 15일)
미 증시 동향

상승 마감, 변동성 확대: 미 증시는 채권시장 안정과 주말 스마트폰·반도체 관세 면제 조치에 힘입어 상승. 다우(+0.78%), S&P500(+0.79%), 나스닥(+0.64%), 러셀2000(+1.11%), 필라델피아 반도체(+0.31%). 장 마감 직전 관세·경기 불안으로 매물 출회, 변동성 확대.

주요 요인:
관세 면제 효과: 트럼프 행정부의 스마트폰·반도체 관세 일시 면제로 애플(+2.21%) 등 강세. 그러나 면제가 단기적이라는 우려로 상승폭 제한.
채권시장 안정: 국채 금리 하락으로 주식시장 반등. 월러 연준 이사의 경기 침체 경고에도 금리 안정화가 긍정적 영향.

경기 불안 지속: 소비자심리지수 내 1년 기대 인플레이션 6.7%로 급등, 실업률 상승 전망 및 가계 재정 악화로 투자 심리 위축.
트럼프 발언: 제약·자동차 산업 관세 가능성 언급했으나, 피해 산업 지원 약속으로 시장 불안 완화.
특징 종목
중국 기업 강세: 알리바바(+5.85%), 핀둬둬(+4.71%), 니오(+2.41%) 등 AI·전기차·부양 기대에 상승.
애플·반도체 혼조: 애플은 관세 면제와 아이폰 출하량 증가로 상승. 엔비디아(-0.20%), 브로드컴(-1.97%)은 관세 재부과 우려로 하락 전환. 인텔(+2.89%), 마이크론(+2.11%)은 강세.

테슬라 및 자동차: 테슬라(+0.02%)는 시장 점유율 하락 우려로 변동성. GM(+3.46%), 포드(+4.07%)는 관세 면제 검토 소식에 상승.
제약 및 기술주: 일라이릴리(+3.00%) 등 비만 치료제 강세. 알파벳(+1.30%)은 견조, 아마존(-1.48%), 메타(-2.22%)는 약세.
한국 및 글로벌 시장
한국 증시: MSCI 한국 ETF(+0.07%), KOSPI 야간 선물(+0.31%) 소폭 상승. 원/달러 환율 1,422.50원으로 안정.

FICC 시장:
국채 금리: 월러 연준 이사 경기 침체 경고, 기대 인플레이션 안정으로 하락.
원유: OPEC 수요 전망 하향으로 하락 후 주식시장 강세로 반등.
천연가스: 생산 증가 및 난방 수요 감소로 급락.
달러화: 경기 불안과 연준 온건 발언으로 약세. 파운드·유로 강세, 루블(+3%) 휴전 기대감.
금속 및 농산물: 금 하락, 구리 상승, 농작물(밀·대두·옥수수)은 날씨 호전으로 약세.

종합 평가
미 증시는 관세 면제와 채권시장 안정으로 상승했으나, 경기 침체 우려와 관세 재부과 불확실성으로 변동성 확대. 중국 기업 및 자동차·제약주는 강세, 반도체·테크주는 혼조. 글로벌 시장은 금리 하락과 달러 약세로 위험자산 선호 심리 회복, 한국 시장은 안정세 유지. 관세 정책과 경기 지표에 대한 지속적 주시 필요.

320x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