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U.S stocks [2025] ISSUE arrangemet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은 2025년 4월 16일 시카고 이코노믹클럽 연설에서

반응형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은 2025년 4월 16일 시카고 이코노믹클럽 연설에서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과 미국 경제의 불확실성, 연준의 통화정책 방향, 연방 부채 문제, 연준의 독립성 등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아래는 그의 발언을 요약한 내용입니다.
핵심 요약
관세전쟁 우려: 트럼프의 대규모 관세 정책은 예상보다 강력하며, 장기화될 경우 높은 인플레이션과 경제 성장 둔화를 초래할 가능성이 크다. 이로 인해 연준의 물가 및 고용 목표 달성이 어려워질 수 있다.
금리 인하 지연: 관세로 인한 인플레이션 압력이 높아지면 2025년 내 금리 인하 가능성이 낮아진다.
신중한 대응: 연준은 불확실성이 크기 때문에 섣불리 시장 전망을 제시하지 않고, 관세 정책의 영향을 면밀히 관찰하며 정책을 조정할 준비가 되어 있다.
연방 부채 문제: 미국 부채는 지속 불가능한 경로에 있지만, 즉각적인 위기는 아니며, 초당적 접근으로 재정 적자를 줄여야 한다.
연준의 독립성: 연준은 정치적 압력에 영향을 받지 않고, 물가 안정과 최대 고용 목표에만 집중할 것이다.
세부 요약
트럼프 관세의 영향
관세 정책은 연준 예상보다 강도가 높아 인플레이션 상승과 경제 성장 둔화를 유발할 가능성이 크다.
관세가 인플레이션에 미치는 속도와 정도를 지켜봐야 하며, 이는 실업률 증가와 경기 둔화로 이어질 수 있다.
연준의 물가 안정과 고용 목표 달성이 더 어려워질 전망이다.
불확실성과 시장
관세는 근본적이고 구조적인 정책 변화로, 정치적·경제적 불확실성을 크게 높이고 있다.
높은 불확실성은 가계와 기업의 의사결정을 위축시키며, 미국 경제에 구조적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연준은 불확실성 때문에 시장의 바닥을 예측하거나 전망을 제시하지 않을 것이다.
연준의 대응
현재 물가 안정과 고용 목표는 충돌하지 않으며, 연준은 상황을 관찰하며 정책 조정을 준비할 수 있는 유리한 위치에 있다.
이민자 감소는 고용 시장에 장기적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보이며, 고용 시장은 강하지만 인플레이션을 유발하지 않는 균형 상태다.
DOGE(정부 고용 축소) 정책의 영향은 아직 평가하기 이르다.
두 목표가 충돌할 경우 어려운 결정을 내려야 할 수 있다.
유동성 공급과 기축통화
시장은 현재 안정적으로 작동하며, 연준은 대차대조표 축소를 천천히 진행해 유동성 위기에 대비할 여력을 확보했다.
글로벌 달러 부족 사태 시 유동성을 공급할 준비가 되어 있으며, 이는 미국 소비자에게도 이익이 된다.
미국 부채 문제
연방 부채는 지속 불가능한 경로에 있지만, 즉각적인 위기는 아니다.
재정 적자 감소를 위해 연방 예산의 주요 항목을 초당적으로 다뤄야 한다.
연준의 독립성
연준은 법적으로 대통령의 해임 권한에서 독립적이며, 외부 정치적 압력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정책 결정은 오직 물가 안정과 최대 고용 목표에 기반한다.
결론
파월 의장은 트럼프의 관세 정책이 인플레이션과 경제 성장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깊이 우려하며, 연준이 이를 신중히 관찰하며 금리 인하를 포함한 정책 조정을 보류할 것임을 분명히 했다. 그는 연방 부채의 지속 불가능성을 지적하면서도 초당적 해결을 강조했으며, 연준의 독립성을 재확인하며 정치적 압력에 흔들리지 않겠다는 강한 의지를 밝혔다.

320x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