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방준비제도, 대형 은행 연례 스트레스 테스트 개혁 착수
ㄴ뱅크런같은 문제가 또 나타날 수 있는지 전수조사하는듯? 관세때문에 다시 태초마을로 돌아온 느낌이군. 그래도 연준이 미리미리 조사하고 대응하려고하니까 다행이다 라고 판단해야하나?
요약: 연방준비제도(Federal Reserve)는 대형 은행의 연례 스트레스 테스트를 대대적으로 개편하는 계획을 2025년 4월 17일(목) 발표했다. 주요 제안 내용은 은행의 자본 요건 설정 시 스트레스 테스트 결과를 2년간 평균 내어 적용하는 방안이다.
주요 내용:
스트레스 테스트 개혁 목적:
연방준비제도는 은행의 자본 건전성을 평가하는 연례 스트레스 테스트의 신뢰성과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개혁을 추진한다.
기존에는 단일 연도 결과를 기반으로 자본 요건을 설정했으나, 이를 2년 평균으로 변경해 변동성을 줄이고 예측 가능성을 강화하려는 의도다.
제안된 변경 사항:
2년 평균 결과 적용: 은행의 자본 요건은 최근 2년간의 스트레스 테스트 결과를 평균하여 결정된다. 이는 단기적인 경제 충격이나 이상치로 인한 왜곡을 완화할 것으로 기대된다.
영향: 이 변경은 은행들이 자본을 보다 안정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하며, 자본 요건의 급격한 변화를 방지할 가능성이 있다.
배경:
스트레스 테스트는 2008년 금융위기 이후 도입된 제도로, 은행이 경제적 충격(예: 경기 침체, 시장 붕괴)을 견딜 수 있는지를 평가한다.
최근 몇 년간 일부 은행과 업계 관계자들은 테스트 결과의 변동성이 크다는 점을 지적하며 개혁 필요성을 제기해 왔다.
다음 단계:
연방준비제도는 이번 제안을 공개하고, 은행 및 이해관계자들로부터 의견을 수렴할 계획이다.
최종 규정은 의견 수렴과 추가 검토를 거쳐 확정될 예정이다.
분석:
긍정적 측면: 2년 평균 방식은 은행의 자본 계획 수립에 예측 가능성을 더하고, 단기 경제 변동에 따른 부담을 줄일 수 있다. 이는 은행의 경영 안정성과 대출 여력 유지에 기여할 가능성이 크다.
우려점: 평균화 방식이 은행의 실제 리스크를 과소평가할 가능성이 있으며, 경제 위기 시 신속한 대응이 어려울 수 있다는 비판이 제기될 수 있다.
한국에의 시사점: 한국의 금융당국도 유사한 스트레스 테스트를 시행 중이므로, 이번 개혁이 글로벌 금융 규제 트렌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히, 자본 요건의 안정성과 변동성 관리 측면에서 참고할 만한 사례가 될 것이다.
'U.S stocks [2025] ISSUE arrangeme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본과 중국의 미국 국채 매수 감소 추이 (7) | 2025.04.19 |
---|---|
미국 국채 시장 이상현상: 원인, 결과, 그리고 향후 전망 (8) | 2025.04.19 |
러시아 루블화 강세의 원인과 결과 (5) | 2025.04.18 |
미국과의 무역 갈등에서 외교적 우위를 점하려는 의도를 (7) | 2025.04.18 |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직접 협상을 피하려는 이유? (7) | 2025.04.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