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U.S stocks [2025] ISSUE arrangemet

USO ETF 동향: United States Oil Fund ETF(USO)는

반응형

원유 시장은 최근 몇 달간 하락세를 보였으나, 기술적·펀더멘털적 변화로 반등 조짐을 보이고 있습니다.

ㄴ경기침체면 원유 계속 하락할듯한데... 아니면 횡보하거나...? 미중무역전쟁이 수요를 더욱 밀어내리지 않을까?

1. 기술적 분석

USO ETF 동향: United States Oil Fund ETF(USO)는 최근 5거래일 동안 7% 이상 상승하며 강한 반등을 기록했습니다. 그러나 여전히 20일, 50일, 200일 이동평균선 아래에서 거래되고 있어 약세 흐름이 완전히 전환되지는 않았습니다. 200일 이동평균선 근처에서 저항을 돌파할 경우, 상승 모멘텀이 강화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지지와 저항: 주요 지지선은 WTI 기준 약 $65-$70 수준으로, 이 구간이 유지된다면 추가 상승 가능성이 있습니다. 저항선은 $80-$85 구간으로, 돌파 시 중기 상승 추세로 전환될 수 있습니다.

변동성: 원유 시장은 지정학적 요인과 수급 변화로 변동성이 높습니다. 단기적으로 과매도 상태에서 반등 중이나, 장기 추세는 이동평균선 돌파 여부에 달려 있습니다.

2. 펀더멘털 분석

스마트머니 매수세: 에너지 투자자 조시 영과 어게인스트 올 오즈 리서치에 따르면, 스마트머니(기관 투자자 및 전문가)의 원유 매수세가 2020년 이후 최고 수준입니다. 이는 시장이 바닥을 다지고 있다는 신호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공급 측 요인:

OPEC+ 감산: OPEC+는 2026년까지 감산을 연장하며 공급을 조절하고 있습니다. 특히 사우디아라비아의 자발적 감산과 이라크, 카자흐스탄의 추가 감산으로 공급이 타이트해지고 있습니다.

이란 제재: 미국의 이란산 원유 제재 강화로 중국 등 주요 구매국의 수입이 제한되며 글로벌 공급에 압박이 가중되고 있습니다.

비OPEC+ 생산: 미국 등 비OPEC+ 국가의 생산 증가(2023년 미국 원유 생산량 하루 48만 배럴 증가 전망)는 공급 과잉 리스크를 상쇄할 수 있습니다.

수요 측 요인:

가솔린 및 정제유 재고 감소: 원유 재고는 예상보다 증가했으나, 가솔린과 정제유 재고가 감소하며 수요가 견조함을 시사합니다.

경제 불확실성: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과 글로벌 무역전쟁 우려로 수요 증가세가 둔화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골드만삭스는 관세로 인해 미국 GDP 성장률이 둔화되며 원유 수요가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중국 수요 둔화: 중국의 경기 침체로 2025년 원유 수요 증가 전망이 하루 154만 배럴로 하향 조정되었습니다.

지정학적 요인: 중동 지역의 긴장(이스라엘-헤즈볼라 휴전, 이란 제재 등)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종전 가능성은 유가 변동성을 키우는 주요 변수입니다.

3. 2025년 유가 전망

가격 전망:

기준 시나리오: 에너지경제연구원은 2024년 두바이유 평균 $83/배럴을 기록한 데 이어, 2025년에도 비슷한 수준($80-$85)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합니다.

상방 시나리오: 지정학적 리스크(중동 분쟁 격화, 이란 제재 강화)와 OPEC+의 추가 감산이 지속되면 WTI 기준 $90-$100까지 상승 가능성이 있습니다.

하방 시나리오: 트럼프의 미국 원유 증산 정책, 비OPEC+ 생산 증가, 글로벌 경기 침체로 수요가 둔화될 경우 $60-$65까지 하락할 수 있습니다.

OPEC 전망: OPEC은 2025년 글로벌 원유 수요를 하루 1억505만 배럴로 예측하며, 4분기에는 1억641만 배럴로 증가할 것으로 봅니다. 그러나 트럼프 관세 정책의 영향으로 수요 전망이 조정되었습니다.

LiteFinance 전망: 2025년 상반기 유가 상승 후, 하반기에는 수요 둔화와 재고 증가로 완만한 하락을 예상합니다. WTI 가격은 $100~$109(11월)에서 연말 $100 수준으로 조정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4. 투자 관점

USO ETF: USO는 WTI 선물 가격을 추종하며 변동성이 높습니다. 단기 반등 가능성이 있지만, 레버리지 ETF(UCO 등)와 달리 장기 보유 시 롤오버 비용으로 수익률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리스크: 관세 정책, 지정학적 불확실성, OPEC+의 감산 완화 가능성은 유가 하락 리스크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반면, 공급 부족과 수요 회복은 상승 요인입니다.

투자 전략: 단기적으로 지지선($65-$70) 유지 시 매수 기회를 노릴 수 있으며, 저항선($80-$85) 돌파 시 추가 상승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장기 투자자는 변동성 관리와 분산 투자를 고려해야 합니다.

5. 결론

원유 시장은 스마트머니의 매수세, OPEC+ 감산, 이란 제재 등으로 단기 반등 가능성을 보이고 있으나, 글로벌 수요 둔화와 트럼프 정책의 불확실성이 하방 리스크로 작용합니다. 2025년 유가는 $80-$85를 중심으로 변동할 가능성이 높으며, 지정학적 이벤트와 수급 변화에 따라 $60-$100 범위에서 움직일 수 있습니다. 시장은 "죽지 않았다"는 신호를 보내고 있지만, 투자자는 변동성에 대비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합니다.



320x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