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는 모든 재산이 부동산에 집중이라 이 양반은 무조건 금리인하에 목숨걸 수 밖에 없을듯함
말은 제조업 부흥이지만 원 목적은 부동산 부흥일것같음.
도널드 트럼프의 재산이 대부분 채권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주장은 사실과 다르며, 트럼프의 재산은 주로 부동산, 소셜미디어 기업(트루스소셜의 모회사인 트럼프 미디어 앤드 테크놀로지 그룹), 현금, 그리고 기타 투자 자산으로 구성되어 있다.
1. 트럼프 재산의 주요 구성 요소
트럼프의 재산은 부동산과 최근 주목받는 트럼프 미디어 앤드 테크놀로지 그룹의 주식 가치를 중심으로 형성되어 있다. 해외 매체의 보도에 따르면, 그의 자산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부동산: 트럼프의 재산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자산은 부동산이다. 워싱턴포스트(2024년 9월 19일)는 트럼프의 순자산을 약 39억 달러(약 5조 2천억 원)로 추정하며, 이 중 상당 부분이 맨해튼의 트럼프 타워, 마러라고 리조트, 골프장 등 부동산 자산에서 비롯된다고 보도했다. 포브스(2019년 10월 19일)도 그의 재산의 약 40%가 맨해튼 중심부의 8개 빌딩에서 나온다고 분석한 바 있다.
트럼프 미디어 앤드 테크놀로지 그룹: 트럼프가 운영하는 소셜미디어 플랫폼 트루스소셜의 모회사로, 2024년 나스닥 상장 이후 주가 급등으로 트럼프의 자산이 크게 증가했다. 국민일보(2025년 4월 11일, 포브스 인용)는 트럼프의 재산이 2024년 23억 달러에서 2025년 51억 달러로 121% 증가했으며, 이 중 트럼프 미디어의 지분 가치가 약 45억 달러에 달한다고 보도했다. 블룸버그(2024년 4월 11일) 역시 트럼프 미디어 주가 폭락으로 그의 자산이 일시적으로 33억 달러(약 4조 4600억 원) 감소했다고 전하며, 이 회사의 주식이 그의 재산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함을 시사했다.
현금 및 유동 자산: 트럼프가 보유한 현금은 제한적이다. 한겨레(2024년 3월 19일, 뉴욕타임스 인용)는 트럼프가 2024년 당시 약 3억 5천만 달러의 현금을 보유하고 있다고 추정했으나, 이는 벌금과 소송 비용을 충당하기에 부족한 수준이었다. 이는 그의 자산이 대부분 부동산과 같은 비유동 자산에 묶여 있음을 보여준다.
기타 자산: 트럼프는 책 인세, 암호화폐 투자, 그리고 브랜드 라이선싱 등에서도 수익을 얻는다. 워싱턴포스트(2024년 9월 19일)는 그의 책 인세가 440만 달러에 달한다고 보도했으며, 국민일보(2025년 4월 11일)는 암호화폐 발행과 비트코인 콘퍼런스에서의 발언이 그의 자산 증가에 기여했다고 전했다.
2. 채권 보유에 대한 오해
트럼프의 재산이 대부분 채권이라는 주장은 해외 기사에서 명시적으로 확인되지 않는다. 오히려 그의 자산은 부동산과 주식(특히 트럼프 미디어)에 크게 의존하고 있으며, 채권은 자산의 주요 구성 요소로 언급되지 않는다. 다만, 트럼프가 채권 시장과 간접적으로 연관된 사례로는 다음과 같은 경우가 있다:
벌금 보증 채권: 트럼프는 자산 부풀리기 소송(4억 5400만 달러 벌금)과 명예훼손 소송(8330만 달러) 등에서 거액의 벌금을 부과받았다. 한겨레(2024년 3월 19일, 뉴욕타임스 인용)에 따르면, 그는 이 벌금을 납부하기 위해 보증 채권 발행사를 찾았으나, 부동산을 담보로 받지 않는 보증 회사의 정책과 그의 제한된 현금 자산 때문에 어려움을 겪었다. 결국 항소법원이 벌금을 1억 7500만 달러로 감액하며 공탁금을 납부할 수 있었다. 이는 트럼프가 채권을 발행하려 했던 사례이지만, 그의 자산 자체가 채권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의미는 아니다.
국채 시장과의 간접적 연관: 트럼프의 정책(관세, 재정 확대)이 미국 국채 금리에 영향을 미친다는 보도가 있다. 예를 들어, 중앙일보(2025년 4월 10일, 월스트리트저널 인용)는 트럼프가 관세 유예를 발표한 배경으로 국채 시장의 불안을 언급하며, 그가 국채 금리 상승에 민감하게 반응한다고 보도했다. 그러나 이는 트럼프가 국채를 직접 보유하거나 그의 재산이 국채로 구성되어 있다는 증거가 아니라, 그의 정책이 채권 시장에 영향을 미친다는 맥락이다.
3. 트럼프 재산에서 채권의 비중
해외 기사나 포브스, 블룸버그 등의 분석에서 트럼프의 자산 포트폴리오에 채권(특히 미국 국채나 회사채)이 주요 자산으로 언급된 사례는 없다. 그의 재산은 다음과 같은 이유로 채권보다는 부동산과 주식에 집중되어 있다:
부동산 중심의 자산 구조: 포브스(2019년 10월 19일)는 트럼프의 재산 감소 원인으로 뉴욕 부동산 시장 침체를 꼽으며, 그의 자산이 부동산에 크게 의존한다고 분석했다.
현금 부족: 한겨레(2024년 7월 14일)는 트럼프의 현금 자산이 소송 비용을 충당하기에 부족하며, 부동산 외에 유동 자산이 제한적이라고 보도했다. 이는 그가 채권과 같은 금융 자산을 대량 보유하지 않았음을 시사한다.
'U.S stocks [2025] ISSUE arrangemet'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지지율이 2025년 4월 (6) | 2025.04.19 |
---|---|
USO ETF 동향: United States Oil Fund ETF(USO)는 (8) | 2025.04.19 |
트럼프 공무원개혁 대통령의 발언 (8) | 2025.04.19 |
일본과 중국의 미국 국채 매수 감소 추이 (7) | 2025.04.19 |
미국 국채 시장 이상현상: 원인, 결과, 그리고 향후 전망 (8) | 2025.04.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