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용총재는 원화가 계속 올라간다고 하지않았다. 환율이 시황따라 계속 요동칠 수 있다는 의미.
원화가 계속 오르면 수출에서 문제가 터지고
원화가 계속 내려가고 달러가 오르면 우리나라는 외환위기를 걱정해야한다.
하지만 대부분 미국주식을 투자하고 달러활용한 재산(미국부동산 등)을 가지고있는 사람들이 많아서 금융위기 가능성은 낮다.
1) 역외 숏커버 등에 달러-원↑
간밤 달러-원 환율은 전거래일 대비 22원 가량 급등한 1,420원 부근에서 마감. 미국과 중국이 예상보다 큰 관세 인하를 포함한 잠정 무역 합의를 발표하면서 위험자산이 랠리를 펼쳤고, 달러(BBDXY)도 1% 넘는 강세를 보였음. 일고점과 일저점 차이가 30원을 훌쩍 넘겼음. 한 원화 트레이더는 위안화 강세에 원화가 반응할 것으로 예상했지만 달러 강세를 따라가면서 다소 혼란스러운 면도 있었다고 전했음
2) 미·중, 90일간 관세 대폭 인하 합의
미국과 중국은 일단 90일간 상대국에 대한 수입관세를 대폭 인하하고 보다 광범위한 무역 합의를 위해 협상을 이어가기로 했음. 미국의 145% 대중관세는 5월 14일까지 펜타닐 관련 관세를 포함해 30%로 인하되고, 중국의 125%의 대미관세는 10%로 낮아짐. 다만 이번 합의에 자동차와 철강, 알루미늄은 포함되지 않으며, 트럼프 1기 당시 도입된 대중 관세 역시 해당되지 않음. 베센트 미 재무장관은 중국에 대한 상호관세가 10% 아래로 내려갈 가능성은 ‘그럴 듯하지 않다’고 선을 그었지만, 4월 2일에 트럼프 대통령이 설정한 34% 수준은 ‘상한선’이 될 것이라고 언급
3) 트럼프-시진핑 대화
트럼프는 이번 주말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통화할 가능성이 있다고 언급. 그는 중국 측이 자국 시장을 “완전히 개방”하고 “모든 비통화적 장벽을 중단하고 철폐하기로” 합의했으며, 또한 미국으로 더이상 펜타닐이 유입되지 않도록 약속했다고 전했음. 향후 90일간 협상이 합의 도출에 실패할 경우 대중 관세는 30% 위로 “상당히 높게” 오를 수 있겠지만, 이전의 145%까지 높이진 않겠다고 언급. 블룸버그 이코노믹스는 “미국의 대중국 평균 관세 충격이 크게 줄어들 것”이라면서도, 남아 있는 관세가 여전히 높아 중기적으로 중국으로부터의 수입이 약 70%까지 줄어들 수 있다고 지적
4) 낙관론과 신중론 사이
BNY 멜론은 중국과의 관세 인하 소식이 “예상보다 훨씬 좋았다”며 “최악의 시나리오는 이제 먼 과거의 일이 됐고, 사람들은 이에 따라 자금을 배분할 것이다”고 평가. 반면 싱귤러뱅크는 합의가 이루어지더라도 기업들은 경제 정책 혼란과 불확실성으로 경제적 피해를 입을 것이라며, “우리는 기회를 활용해 저점매수했지만 랠리에서 팔아야 할지 고민 중이다”고 밝혔음. 쿠글러 연준 이사는 이번 중국과의 합의에도 불구하고 미국의 평균 관세율이 수십년 만에 높은 수준이라며, 이는 인플레이션을 부추기고 성장에 부담을 주는 등 경제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진단. 국제유가(WTI)는 장중 4.2% 급등
5) 무역전쟁 완화에 연준 연내 인하 기대 2회로 후퇴
무역전쟁 완화에 올해 연준 금리 인하 기대를 낮춰 연내 2차례 인하만 가능할 것으로 전망. 지난주 12월까지 약 75bp 인하를 프라이싱했던 스왑시장은 이제 55bp로 베팅을 조정. 통화정책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미 국채 2년물 금리는 한때 12bp 넘게 올라 4%를 상회하며 한 달여래 고점을 경신. 미-중 관세 휴전 발표 후 씨티그룹은 다음 연준 인하 예상 시기를 6월에서 7월로 늦췄고, 골드만은 7월에서 12월로 전망을 바꿨음. 콜럼비아 스레드니들은 “시장이 오버슈팅 단계로 현재 유동성은 위험 자산으로 흘러가고 있다”며, 단기채 매도를 선호한다고 밝혔음
(자료: Bloomberg News)
'U.S stocks [2025] ISSUE arrangemet'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많은 사람들이 주식투자를 실패하는 이유? (7) | 2025.05.13 |
---|---|
코인베이스 S&P 500 편입, 1525% 상승가능성 (8) | 2025.05.13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의약품 관련 행정명령 (6) | 2025.05.13 |
미국 재무부가 2025년 4월 예산 흑자가 전년 대비 23% 증가한 2,580억 달러를 기록했다고 발표. (6) | 2025.05.13 |
트럼프의 의약품 가격 인하 정책 개요 (6) | 2025.05.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