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T SpaceMobile (티커: ASTS)의 기관 보유율, 유통 물량(Float), 대주주 지분
---
📊 기관 투자자 현황
기관 보유율(Institutional Ownership):
MarketBeat 기준으로 **60.95%** .
MarketBeat 외에도 MarketBeat, Nasdaq 등은 비슷한 수준을 보고하고 있습니다.
기관 투자자 규모(total value):
최근 12개월간 183개 기관이 약 14억 달러 규모 매수,
61개 기관이 약 2.2억 달러 매도하여 순매수세가 우세한 편입니다 .
---
📉 유통 물량 (Float) & 발행 주식 수
총 발행 주식 수(Shares Outstanding): 약 328 백만 주입니다 .
유통 주식 수(Float):
ChartMill 기준 약 190백만 주 .
종종 184~190백만 주 사이로 나타나며, 전체의 약 58% 수준입니다.
---
🧑💼 대주주 및 내부 지분 구조
최대 내부자 지분(Insider Ownership):
MarketBeat: **41.8%** .
TipRanks: **46.7%** .
주요 주주 현황 (MarketScreener 기준):
Abel Avellan (CEO): 약 57.3%
Rakuten Capital: 약 15.5%
Vanguard Group: 약 7.22%
BlackRock Advisors: 약 5.25%
Alphabet (Google 모회사): 약 4.46%
기타: AT&T, D.E. Shaw, Janus Henderson, Geode 등
---
✅ 요약 테이블
항목 수치/비율
기관 보유율 60.95%
총 발행주식 수 약 328M 주
유통 물량 (Float) 약 184–190M 주 (≈58%)
내부자 지분률 약 42–47%
최대 내부자 Abel Avellan (≈57% 소유)
주요 기관 보유자 Rakuten(15%), Vanguard(7%), BlackRock(5%), Alphabet(4.5%)
---
✔️ 실제 의미는?
기관 투자자 지분이 60% 넘음: 시장의 높은 관심과 신뢰도를 반영
내부자 지분 또한 높은 수준: 창업자 및 주요 경영진의 책임감과 장기 전략 의지를 보여줌
유통량 대비 기관/내부자 지분 비중이 크므로, 실질적인 거래 가능 물량은 제한적 → 주가 변동성이 커질 수 있음
---
AST SpaceMobile (ASTS)의 호재와 악재를 정리해 드릴게요.
---
✅ 호재 (Positive Catalysts)
1. Vodafone·AT&T 등과의 전략적 제휴
최근 Vodafone과의 장기 계약 체결 뉴스로 주가가 급등했습니다 .
AT&T·Verizon·Google 등 45개 이상의 통신사와 파트너십을 맺으며 시장 접근성이 강화되고 있죠 .
2. 위성 발사 성공 및 네트워크 확대
**BlueBird 위성 초기 발사(5대)**가 완료되어 연결 테스트가 진행됐고,
향후 243대 규모의 콘스텔레이션 목표 .
미국·캐나다 등 중·저대역 스펙트럼 확보를 통한 커버리지 확대 기대 .
3. 시장 모멘텀 & 기술 기대
연초 대비 주가 369% 급등하며 신뢰와 기대감이 반영됨 .
옵션 거래 활발하고, 기술적 분석에선 추가 상승 가능성이 지속적으로 제기됩니다 .
4. Russell 1000 지수 편입
시가총액 및 인지도가 높아짐에 따라 기초지수 편입이 이루어졌고,
패시브 자금 유입 기대 .
---
❌ 악재 (Risks & Concerns)
1. 아직 본격적 매출 실현 전단계
일부 전문가들은 실제 매출·EBITDA 실현까지 수년 걸릴 것이라며 경고합니다 .
스펙트럼 필요, 위성 발사 완료, 통신사 계약 등 여러 성과요소가 필요합니다 .
2. 치열한 경쟁
SpaceX Starlink, Amazon Kuiper, Apple's GlobalStar와 같은 거대 경쟁자들과 경쟁해야 합니다 .
T-Mobile·SpaceX 간 제휴 등을 통해 무료 서비스 제공 가능성도 있어 ASTS 수익 구조 위협 .
3. 기술 및 네트워크 커버리지 구현 리스크
현재는 **매우 제한된 연결 시간(1·5대 위성 리셉션)**상태이며,
정상 상용화 이전 단계라 안정성·지속성 확보가 필요 .
4. 재무 부담 및 추가 자본 조달 리스크
수익 이전에 막대한 R&D·발사비용 필요.
현재 캐쉬는 수백 억 원대 수준이며, 향후 수십억 달러 자금 조달 필요 가능성 .
5. 밸류에이션 부담
시가총액 ~160억 달러 수준, 주당 $48 고평가 우려 있음 .
RSI 기준 과열 상태라 조정 리스크 존재 .
---
🔍 요약 테이블
구분 내용
호재 Vodafone 제휴, 위성 발사, 콘스텔레이션 계획, 지수 편입, 시장 모멘텀
악재 매출 발생 지연, 경쟁 심화, 네트워크 구체화 필요, 재무 리스크, 밸류에이션 부담
---
📌 전망 & 전략
단기 관전 포인트: 위성 발사 일정, 통신사 계약 확대, 실사용 테스트 데이터
중장기 성공 조건: 충분한 콘스텔레이션 구축 + 수익화 계획 실행 + 경쟁 우위 확보
투자 고려: 고위험·고수익 스타트업 주식 특성 감안, 실적·성과 실현 시점까지 변동성 큼
ㅣ
'U.S stocks [2025] ISSUE arrangemet'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에서의 금리 결정과 부채한도협상 (6) | 2025.06.25 |
---|---|
워렌 버핏은 여전히 일본 주식을 보유 현황 (7) | 2025.06.24 |
테슬라, 텍사스 오스틴 일부 지역에서 초기 로보택시 시범 운영을 (6) | 2025.06.24 |
일론 머스크와 테슬라가 숫자 ‘42’를 통해 로보택시가 (5) | 2025.06.24 |
테슬라 로보택시(Tesla Robotaxi)의 수익성 전망은 (5) | 2025.06.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