펌 ㅣ <전세사기>
전세집을 구하러 돌아다니던 30대 초반의 노물정씨는 꽤 싸 보이는 빌라를 찾았다. 중개업자 나앙마씨는 그에게 등기부 등본을 보여주며 이렇게 말한다.
"보시면 아시겠지만 아주 깨끗해요..."
등본의 '을구'을 보니 정말 선순위 대출이 1원도 없는 것처럼 보인다. 그런데 '갑구'를 보니 소유권이 건물주에서 부동산신탁회사로 넘어간 것으로 되어있다.
세입자는 물어본다. "건물 소유자가 부동산신탁회사인데, 제가 건물주하고 직접 전세계약을 해도 문제가 없어요?"
중개업자는 대답한다. "전세계약서에 특약을 기록하면 돼요. 전세계약 후 3개월안에 신탁계약을 해지하는 걸로요. 그럼 아무 문제가 없어요.."
세상물정 모르는 세입자 노물정씨는 부동산신탁이 뭔지, 건물주가 왜 신탁회사에 소유권을 넘겼는지 알 수가 없다. 건물주가 신탁회사와 담보신탁계약을 체결하면서 은행으로부터 거액의 대출을 받았다는 사실을 상상조차 못하는 거다.
이 내용은 등본의 '갑구'에 기록되어있는 신탁원부번호를 갖고 등기소에 가서 신청하면 다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전세계약 성사에 급급한 중개업자 나앙마씨는 세입자에게 이를 전혀 알려주지 않을 뿐 아니라 선순위 대출이 전혀 없는 것처럼 적극적으로 사기까지 친다.
세입자는 다른 곳보다 전세가 꽤 싸게 나온 것 같고, 건물주가 다시 소유권을 넘겨받을 것이라 하니, 중개업자만 꽉 믿고 계약을 한다.
건물주가 은행대출 원리금을 갚지 못하면 신탁사는 직접 건물을 매각하여 은행대출을 상환한다. 세입자에게 돌아갈 전세보증금은 거의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신탁사가 동의해주지 않으면 건물주와 세입자간 직접 전세계약이 원천적으로 무효인 경우도 많아, 세입자는 전혀 법적 보호를 받을 수 없다.
건물주도 나쁜 놈이지만 중개업자가 더 나쁜 놈인 경우가 많다. 중개수수료에 눈이 멀어 남의 인생 조지는 악마짓을 한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벤처업계 뉴스]
*1번.. 5월1일입니다. 다들 가정의 달은 따뜻하게 시작… 저도 하고 싶네요..
*2번.. 2번.. IPO 허수 물량.. 칼을 뺀다 뺀다 하더니 결국 뽑았습니다. 기관투자자의 허위 청약을 막기 위해 주금 납입능력을 증명하게끔 한다고 합니다. 뉴스기사 어디에도 본문 내용은 없어서,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23-04-27] 개정안을 살펴보았습니다. 5조3의 1항을 살펴보면 내용이 긴데.. 요약하면 1) 본계정인 경우에는 자기자본을, 조합/펀드로 하는 경우에는 그 자산총액을 주금납입력으로 정하고(전분기 또는 3개월전 기준) 이를 증권사가 확인해야 하고 2) 증권사가 내부적으로 주금확인방식을 정하고, 이를 공모에 참여하는 기관에 적용하는 방법 두가지입니다. 다른 2항~6항 내용을 살펴보면, 꽤나 무겁게 증권사에게 책임을 부여하는 듯한 뉘앙스입니다. 여러모로 힘든 IPO 팀이네유…
*3번.. 3번.. 복수의결권 본회의 통과됐네요. 그런데 적용하기가 만만친 않아보입니다. 아직 세부 시행령이 나오지 않아서 섣불리 판단할 수 없지만, 일단 주총 3/4라는 가중특별결의, 복수의결권 행사자의 30% 지분확보 등은 꽤나 높은 장벽이 될 수 있지 않을까 합니다. 머 이리고 국무회의에서 나올 시행령에서 한시적인 예외 만들면…. 다른 이야기겠지만
*6번.. 모태 세컨더리 펀드 출자사업이 6월에 나온다고 합니다. 펀드 결성 규모는 1500억인데… 출자액이 고작 300억.. 1200억을 모아오라는 이야기인데.. 이거 뭐 결성 기한을 매우 길게 주던가, 연장을 한번 더 받아주기라도 할건가요? 만만치 않은 결성 난이도가 될 것 같네요
*7번.. 금감원이 CB, BW에 적용하였던 상향 리픽싱 및 콜옵션 규제를 RCPS도 적용할 것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이건 금융위 규제이기 때문에 상장사에만 적용되니, 벤처기업 업계와는 아예 1도 상관없습니다. 여러 대표님들 오해하시지 말라구 한번 언급합니다…
*11번.. 스톤브릿지가 상장한 셀바이오휴먼텍을 ‘상환’이라는 방법으로 회수한다고 합니다. 보통 상장을 하면 주식을 장내에 매도해서 수익을 얻는데.. 상장한 기업가치가 프리IPO때보다 훨씬 낮다보니 잉여금이 있는 것을 활용해 상환이라는 선택을 했습니다. 그냥 바이오 기업이면 잉여금도 없어서 상환 받지도 못했을텐데, 그래도 흑자나는 기업이다 보니 계약서상 상환보장이율은 건지긴 하네요. 그래도 벤처투자가 갖는 기대수익을 고려하면, 수익이 수익이 아닌 아쉬운 상황 ㅠ
*13번.. 이베스트.. 누가 사나 진짜 작년부터 엄청 관심 많았습니다. 우리은행이 증권사 인수한다고 했을 때 가장 유력했는데, PF사태 터지고, 벤처시장 무너지면서 홀드하더니 다올인베를 먼저 인수하면서 자연히 수면 아래로 가라 앉았는데.. 이번엔 LS그룹입니다. 해당 보도에 따르면, 현재 이베스트를 보유하고 있는 PEF의 최대 출자자가 LS그룹이라고 합니다. 즉 간접 투자한 자산을 직접 자회사로 인수하는 기이한 상황인데.. 이는 ‘08년도에 결성한 펀드의 최종만기일이 올해 7월 (15년) 만료되기 때문입니다. 법적인 문제(뭐 처벌규정이 있을거 같지 않지만)를 해소하기 위한 강제 엑싯 전략 중 그냥 출자자가 사주는 전략일까요? ‘08년 이베스트는 2181억원에 팔렸고, 그 지분율은 현재 61.71%입니다. 현재는 순자본이 9195억원에 달하는 규모로 성장했는데… LS 입장에서 61.71% 중 80%만 떠와도 되니… 다만, LS의 이베스트 인수설은 지난해부터 7월부터 더벨이 보도해오긴 했습니다.
1) 올 1분기 글로벌 VC 투자 575억달러 그쳐…전년비 67%↓
글로벌 회계·컨설팅 기업 KPMG가 27일 발간한 '2023년 1분기 VC 투자 동향(Venture Pulse Q1'23)'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 VC 투자 규모는 2021년 4분기 약 2000억 달러를 기록, 전년 동기(1776억 달러) 대비 3분의 1에도 미치지 못했다. 지역별로 미주 지역에서 331억 달러, 유럽 지역에서 98억 달러 규모의 VC 투자가 이뤄졌다. 이는 2018년 이후 최저 수준이었다. 아시아 지역에서는 135억달러 조달에 성공했지만 2015년 2분기 이후 가장 낮은 것으로 집계됐다. 글로벌 기업 주도형 벤처캐피털(CVC) 투자는 지난해 4분기 421억달러에서 올해 1분기 228억달러로 절반 가량 감소했다. 올해 1분기 초기 단계 VC 펀딩도 전 분기(560억달러) 대비 약 90% 감소한 57억 6000만달러에 불과했다. 글로벌 VC 투자회수(Exit) 규모는 지난 4분기 464억달러에서 올 1분기 203억달러로 50% 이상 감소했으며, 지난 2015년 1분기 이후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2) IPO때 기관투자자 주금납입능력 확인 의무화
앞으로 기업공개(IPO) 주관사는 기관투자자들의 주금납입 능력을 확인한 뒤 공모주를 배정해야 한다. 금융위원회는 26일 제8차 정례 회의에서 이러한 내용의 금융투자업규정 개정안을 의결했다. 상장으로 주가 차익이 기대되는 인기 종목의 경우 기관투자자들이 수요예측 때 실제 주금을 납입할 능력을 초과한 물량을 신청하는 '허수성 청약'으로 공모주 시장의 왜곡을 유발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지난해 LG에너지솔루션 상장을 앞두고 진행된 수요예측에서는 순자본금 5억원, 순자산 1억원인 기관투자자가 9조5000억원 규모의 수요를 제출한 바 있다. 따라서 개정안은 주관사가 금융투자협회의 기준에 따라 주금납입 능력을 확인하지 않고 공모주를 배정하는 경우 불건전 영업행위로 과태료를 부과할 수 있도록 했다. 이달 말 금투협이 주금납입 능력 확인 기준 등을 담은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을 개정하면 7월 이후 증권신고서를 제출하는 IPO부터 개정안이 적용될 예정이다. 한편, 증권사의 탄소배출권 취급 부담을 완화해 거래를 활성화하는 조치도 이뤄졌다. 증권사는 순자본비율(NCR)에서 정한 위험값에 따라 자기 자본을 적립해야 하는데 탄소배출권은 별도 규정 없이 '기타자산'으로 분류돼 위험값 32%가 책정돼왔다. 이를 개선해 오는 30일부터 탄소배출권을 에너지·날씨 관련 금융상품과 함께 분류해 위험값 18%를 적용하도록 했다.
3) '벤처업계 숙원' 복수의결권, 본회의 통과
벤처기업 창업자가 보유한 주식에 주당 최대 10개의 의결권을 부여하는 복수의결권제도가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개정 법안의 핵심은 비상장 기업 창업자 주식 1주에 최대 10개 의결권을 부여하는 것으로, 대상 기업은 벤처기업법이 정한 요건을 충족하는 비상장 벤처기업이다. 이 법은 ‘20년 12월에 발의되었지만 편법으로 사용될 우려로 난항을 겪었다. 그러다 쿠팡이 ‘21년 뉴욕 증시에 상장한 뒤 김범석 창업자가 한국 대신 미국을 택한 이유 가운데 하나로 복수의결권을 꼽으면서 논의가 활발해졌다. 복수의결권 도입을 위해선 1) 참석인원 3/4이상의 가중특별결의 2) 복수의결권 행사가 최소 30% 지분확보 3) 발행기간 10년 제한 등이다. 몇가지 더 있지만 중요한 것 이거라고 생각해서..
4) 한국성장금융 "4년간 5000억원 더 투자, 스케일업 강화"
노해성 한국상장금융투자운용 실장은 콘퍼런스 기조강연에서 “2020년부터 지난 4년간 5000억원 자금을 조성해 핀테크 업계에 공급했다”면서 “핀테크혁신펀드를 통해 2027년까지 8년 동안 총 1조원을 투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국성장금융은 올해부터 핀테크혁신펀드 중점 투자대상과 과정을 조정한다. 혁신을 위해 초기 기업 투자 기조를 이어가는 동시에 스케일업 부문도 강화하겠다는 것이다. 블라인드펀드는 초기기업과 사업화 단계 기업을 구분해 자금을 집행할 계획이다. 프로젝트펀드나 공동투자는 금융권 핀테크랩과 함께 투자대상을 발굴하는 한편 스케일업 투자를 위해 민간펀드와 연계를 확대한다. 핀테크랩-핀테크혁신펀드-디지털전략펀드로 이어질 수 있는 기업성장 구조를 지원하는 전략이다.
5) 서울산업진흥원, 1兆 자펀드 만든다…올해 400억 출자
서울산업진흥원(SBA)이 오세훈 서울시장의 핵심 정책 가운데 하나인 '서울 비전(Vision) 2030펀드'를 본격적으로 추진한다. 서울 비전 2030펀드는 올해부터 2026년까지 4년간 3500억원을 출자해 5조원 규모의 자펀드를 조성하게 된다. 세부 분야는 ▲스케일업 펀드 ▲창업지원 펀드 ▲디지털대전환 펀드 ▲첫걸음동행 펀드 ▲서울바이오 펀드 ▲문화콘텐츠 펀드 등으로 나뉜다. 분야별 출자금액은 각각 ▲1100억원 ▲500억원 ▲600억원 ▲500억원 ▲400억원 ▲350억원이다. 달 추진하는 1차 출자사업에서는 ▲스케일업-오픈이노베이션과 ▲창업지원-재도약 분야를 추진한다. 각각 100억원, 40억원을 출자해 2750억원, 2000억원 자펀드를 조성할 계획이다. 7월 이후로 예정된 2차 출자사업에 배분된 금액은 우선 240억원 이지만 추가경정예산으로 300억원을 더 확보할 수 있도록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 그럴 경우 출자금은 540억원으로 늘어난다. 출자분야는 ▲디지털대전환 ▲첫걸음동행 ▲서울바이오 ▲문화콘텐츠로 각각 60억원(추경 전 기준)씩 출자할 예정이다.
6) 모태펀드 벤처 세컨더리 출자 공고 6월에 나온다
21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한국벤처투자는 '2023년 2차 정시 출자사업' 공지에서 예고한 벤처세컨더리 사모펀드의 세부 출자 내역을 결정하는 작업에 한창이다. 내달 내로 출자 플랜을 완비한 후 오는 6월 제안서를 제출받기 위한 정식 공고에 나설 계획이다. 헤지펀드 운용사가 우려하는 대목은 결성 목표액이 1500억원에 달하는 가운데 출자예산으로 책정된 금액이 300억원에 불과한 점이다. 모태펀드의 몫을 제외하면 시중 자금을 토대로 1200억원을 모집해야 하는 셈이다. 펀드레이징 자체가 쉽지 않은 시기에 만만치 않은 액수다. 운용업계 관계자는 "한국벤처투자가 업계의 실정을 감안해 출자 플랜을 확정하는 결단을 내릴지 주목된다"며 "헤지펀드 하우스마다 최대출자비율이나 출자 조건 등을 감당이 가능한 수준으로 조정해주기를 바라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모태펀드의 자금이 투입된 상품은 엄격하게 관리되는 만큼 운용업계를 끌어들일 유인책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7) 상장사 RCPS도 상향리픽싱, 콜옵션 규제 적용받는다… 벤처는 No 상관
금융당국이 상장사의 전환사채(CB)에 이어 (상환)전환우선주(RCPS·CPS)에 대한 콜옵션·리픽싱 규제를 5월부터 실시한다. 투자자가 행사할 수 있는 콜옵션 행사한도를 발행 당시 지분율 이내로 제한한다. 사모 발행의 경우 주가 하락에 따른 전환가액 조정 이후 주가가 다시 상승하면 전환가액을 의무적으로 상향해야 한다. IB업계에서는 CB만큼 강력한 감소 효과는 나타나지 않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애초에 상장법인의 RCPS·CPS 발행량이 미미한 만큼 뚜렷한 감소세를 확인하기는 힘들 것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작년 상반기 기준 국내 상장사의 RCPS·CPS 총 발행 건수는 총 33건에 불과하다. 발행 규모는 약 5000억원 내외로 추정된다. RCPS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상 부채로 분류되지만 회사가 상환권을 가지면 자본으로 인정받을 수 있다. 키움증권은 이 덕분에 RCPS를 자본으로 인정받고 종투사 진입에 성공했다. 이러한 규제는 비상장 벤처에는 해당사항이 없다. 금융당국이 상법과 중기부 소관법에 관여를 하지 않기 때문이다.
8) 스타트업 전자영주권 추진…창업 국경 허문다
중소벤처기업부는 지난 2월부터 부처 내에 국정과제 추진을 위한 자율기구인 사이버경제추진단을 설치하고 전자영주권 도입을 검토하기 시작했다. 전자영주권은 유럽 발틱해 연안에 위치한 에스토니아가 2014년 세계 최초로 도입한 제도다. 외국인이 에스토니아 현지 전자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을 제공하는 디지털 신분증이다. 중기부는 에스토니아가 전자영주권 제도 도입 안팎으로 스타트업 창업 열풍을 이뤘다는 점에 착안, 제도 도입을 검토하기 시작했다. 전자영주권을 통해 에스토니아에 창업한 외국 법인은 지난 4월 10일 기준 2만5591개에 이른다. 총 10만여건의 전자영주권 발급자 가운데 25%를 차지한다. 일자리 창출 효과뿐만 아니라 스타트업 친화적인 제도 운영으로 해외투자 유치와 전자서비스 수출 등도 덩달아 상승세를 타고 있다. 주핀란드대사관에 따르면 2020년 기준 전자영주권 제도를 통한 세수가 1750만유로를 기록했을 정도다. 중기부 관계자는 “우수 인력 국내 유입을 촉진하기 위한 대안으로 여기고 있지만 쉽지 않은 과제”라면서 “내부 검토에 들어간 것은 사실”이라고 밝혔다.
9) '공유오피스' 스파크플러스, 작년 매출 633억…첫 흑자
공유오피스 스파크플러스가 설립 6년만에 첫 연간 흑자 달성했다고 보도되었다. 지난해 스파크플러스 연 매출액은 약 633억원, 설립 후 매년 200% 꾸준히 성장, 지난 5년간 13배 성장 등 구체적인 지표와 7월에 출시한 sp워크스페이스 등과 같은 서비스적인 강점도 함께 나왔다. 그리고 제목에서 보았듯 흑자전환에 대한 언급을 달았다. 그런데 ‘22년 감사보고서를 살펴보면 영업수익 633억원 영업이익 1.79억원으로 영업익 기준 흑자는 전환하긴 했다. 하지만, 이자비용 15.7억원, 이자수익 4.3억원, 잡이익 3.25억원을 포함한 순이익 기준으로는 8.68억원 순손실을 기록했다. 영업적으로 흑자를 기록했지만, 세무적으로 적자이다보니 법인세비용도 발생하지 않았고 관련된 자산/부채 항목도 없었다.
10) 'VC 1세대' 캡스톤파트너스, 스팩상장으로 증시 입성한다
2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캡스톤파트너스는 엔에이치기업인수목적25호(NH스팩25호)와 합병한다. 캡스톤파트너스와 NH스팩25호의 합병비율은 1대 0.5968368이다. 발행주식 총수는 1272만3697주 합병가액 3351원을 곱하면 캡스톤파트너스의 상장밸류는 426억원 정도로 추산된다. 한국거래소가 스팩 소멸방식의 합병 상장을 허용하면서 스팩 상장은 급물살을 탔다. 그간 벤처캐피탈은 소멸 및 법인 변경 절차 소요 기간 중 출자 사업에 지원할 수 없는 문제로 사실상 스팩 상장이 불가능했다. 하지만 스팩 소멸 방식 합병이 허용되면서 비상장기업이 존속법인이 돼 기존 업력을 그대로 승계하고 스팩이 소멸하는 방식이 가능해져 벤처캐피탈들도 이를 활용한 상장이 가능해졌다. 캡스톤파트너스의 운용자산(AUM)은 2022년 기준 3709원 규모다. 2008년 설립된 캡스톤파트너스는 출범부터 3년 미만의 초기기업 발굴, 투자에 집중하는 '마이크로VC'를 표방했다.
11) 스톤브릿지, 셀바이오휴먼텍 '원금 보전' 한시름 놨다
스톤브릿지캐피탈이 '아픈 손가락'이었던 포트폴리오 기업 셀바이오휴먼텍에 대한 투자금을 회수한다. 스톤브릿지캐피탈은 셀바이오휴먼텍 프리IPO에 2000억원 밸류로 투자를 했는데, 이달 상장하는 과정에서 기업가치가 1400억원이나 증발했다. 스펙 상장을 했는데 상장 밸류는 590억원 정도다. 3년전 프리IPO 밸류 대비 '4분의 1' 가까이 급락했다. 이에 따라 회수 방안은 매각이 아닌 상환전환 우선주를 상환받는 형태로 자금을 회수한다. 1차로 지난해 140억원을 회수했고, 나머지 60억원은 이달 안으로 상환 받는다. 21년 초 스톤브릿지캐피탈은 셀바이오휴먼택과 협의를 통해 상환요청권을 확보했다. 당시 조건에 따르면 기업공개 시한 만료일까지 IPO에 이르지 못하면 상환요청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돼 있다. IPO 시한은 2022년 4월24일까지였다. 스톤브릿지캐피탈은 앞서 2019년 7월께 셀바이오휴먼텍에 200억원 규모의 투자를 단행했다. 프리IPO 성격으로 이때 책정된 기업가치는 2000억원 정도다.
12) '에디슨모터스 인수전' KG그룹 경쟁자로 구조혁신펀드 하우스 등판하나
KG모빌리티(옛 쌍용자동차)가 전기버스 제조업체 에디슨모터스 인수전의 스토킹호스로 사실상 선정되면서 최종입찰 경쟁구도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스토킹호스 방식은 조건부 투자계약을 맺은 KG모빌리티가 일종의 우선협상대상자인 스토킹호스에 선정된 상태에서 최종입찰을 실시, 다른 후보가 KG모빌리티보다 나은 조건을 제시하지 않으면 KG모빌리티가 최종 인수자가 된다. 최종입찰에 나설 수 있는 후보군으로는 기업구조혁신펀드를 보유한 하우스들이 거론되고 있다. 한국성장금융이 주관하다 올해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로 이관된 기업구조혁신펀드는 사전적·사후적 구조조정 대상기업에 약정 총액의 60% 이상을 투자해야 한다는 요건이 달려있다. 이 가운데서도 사후적 구조조정 대상기업에는 약정 총액의 30% 이상을 투자해야만 한다. 상대적으로 범위가 넓은 사전적 구조조정 대상과 달리 사후적 구조조정 대상은 회생, 자율협약 등에 들어간 기업들로 범위가 한정돼 있다. 이 때문에 기업구조혁신펀드를 운용하는 하우스들은 사후적 구조조정 투자 비율을 충족시키는 데 상당한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만 일각에서는 기업구조혁신펀드를 운용 중인 하우스들이 KG모빌리티 측에 협력을 제안할 가능성도 제기하고 있다. 자금력을 갖춘 KG그룹과 경쟁하기 보다는 재무적투자자(FI)로 함께하는 방안이 딜 성사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는 분석이다.
13) LS그룹, 이베스트증권 인수 가시화?
이베스트투자증권이 LS그룹에 편입될까. LS그룹과 금융당국이 교감을 하며 인수 논의를 진해 중인 것으로 파악된다. 금융기관 M&A를 위해선 금융위원회의 대주주적격성 심사를 필수적으로 거쳐야 한다. 이렇다 보니 사전 교감을 하는 경우가 많은 편이다. 금융당국의 의중을 파악해야 불피요한 소모전을 피할 수 있다. 이런 측면에서 볼 때 LS그룹의 이베스트투자증권 인수에 대주주적격성 심사는 크게 문제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현재 금융당국은 LS그룹이 이베스트투자증권을 인수한는 안을 두고 긍정적으로 판단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대기업 계열 아래로 편입될 경우 경영 안정성이 더 나아지는 측면이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실제 시장에선 만약 LS그룹으로 편입되면 이베스트투자증권의 신용등급이 상승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이베스트증권 최대주주인 G&A PEF가 보유 중인 지분은 작년 말 기준 61.71%다. G&A PEF의 최대 출자자는 LS그룹 계열인 LS네트웍스다. G&A PEF의 LS네트웍스 지분율은 98.81% 수준이다. G&A는 2008년 7월 이트레이드증권 인수를 위해 3350억원 규모의 'G&A PEF를 조성했다. 이 펀드에는 LS그룹의 주요 계열사인 LS네트웍스가 1010억원을, 복수의 투자자가 2220억원을 출자했다. G&A와 KB창투(현 KB인베스트먼트)도 120억원을 무한책임사원(GP) 의무출자금(commitment)으로 책임졌다. ‘13년에 매각이 안되고 펀드청산이 연기되면서 LP교체가 있었는데 일부 출자자가 행사한 풋옵션 가운데 일부인 419억원을 LS네트웍스가 떠안았다. 그 이후 여러 매각시도가 있었지만 성공하지 못했고, PEF의 의무처분 기한인 15년이 흘렀다. 개정된 자본시장법에 따르면 경영참여형 PEF의 경우엔 15년 이내에 처분의무를 가진다. G&A PEF가 만들어진 시점을 고려할 때 만기는 오는 6월이다. 그러다 보니 LS가 인수하는 방향으로 청산을 시도하는 것으로 보인다.
'경제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 간추린 아침뉴스입니다. (8) | 2023.05.02 |
---|---|
주요증시 이슈정리 (6) | 2023.05.02 |
땅 좁고, 인구 많고, 자원 없는 우리로서는.. 민족이 존재하는 한, 세계를 무대로 휘젖고 다니며 먹고 살 수 밖에 없다는 게 운명같습니다 (20) | 2023.05.01 |
기축통화로 부상중인 위안화 (23) | 2023.04.30 |
일본 잃어버린 10년... 따라간다, 우리는 이제 시작 (9) | 2023.04.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