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내주식 종목분석

국내증시 이슈요약

반응형

덕산하이메탈(077360)의 주가가 강세다. ‘나노융합산업연구조합이 총괄하는 국가R&D 과제에 주관 기업으로 선정, 맥신 관련 연구 수행을 하는 사실이 알려진 데 따른 영향으로 보인다.  

21일 13시 33분 덕산하이메탈은 전일 보다 8.36% 오른 8300원에 거래 중이다.

투자업계에 따르면 맥신을 대량 생산하는 길이 열렸다는 소식에 관련 주가 주목받고 있다.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NTIS)에 따르면 덕산하이메탈
은 국가R&D 과제이자 산업통산자원부 사업으로 진행되는 ‘나노융합혁신제품기술 개발(조사분석사업명 :나노융합혁신제품기술개발사업(R&D))’ 의 연구개발기관으로 선정돼  관련 개발을 수행하고 있다.

총괄주관연구개발기관은 나노융합산업연구조합이다. 나노융합산업연구조합의 전체 과제명은 ‘전기자동차 주행 안전성
확보를 위한 발열 방열 차폐 핵심부품 개발’이다.
과제를 위해 덕산하이메탈은 서브과제인 ‘자율차 적용을 위한 밀리미터파대 광대역(5G)용 전자기파 차폐(80dB)흡수(20dB) 전장부품 복합시트 기술개발’ 주관연구개발 기관에 선정됐다.

특히 이번 나노융합산업연구조합 총괄에 또 다른 주관연구개발 기관으로 현대자동차도 참여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대자동차는 동아전장(주)과 공동기관 자격으로 연구·기술·개발에 참여한다.  

한편 덕산하이메탈은 주반도체 패키징 부품 소재로 칩과 기판을 연결해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솔더볼을 주력 제품으로 생산하고 있다.


제목 : 한화오션, 대규모 자금 조달 나선다…2.5조 규모 유상증자 추진                                                                          *연합인포*
한화오션, 대규모 자금 조달 나선다…2.5조 규모 유상증자 추진       *그림1*       (서울=연합인포맥스) 최정우 박준형 김학성 기자 = 한화오션(구 대우조선해양)이 대규모 유상증자에 나선다.     21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한화오션은 국내외 대형 증권사 5곳을 주관사로 선정하고, 2조5천억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추진하고 있다.     한화오션 신주를 발행해 일반 공모 방식으로 자금 조달에 나설 것으로 전해졌다.     이번에 추진하는 유상증자 규모는 이날 기준 한화오션 시가총액 8조3천억원의 30%에 해당하는 액수로, 올해 자금 조달 중 가장 대규모로이뤄진다.     이날 오전 한화오션 주가인 3만8천500원을 기준으로 하면 약 6천500만주의 신주가 쏟아지는 셈이다.     회사 측은 이번달 안으로 발행 신주 가격 등 구체적인 사안을 결정해 증자에 나설 것으로 전해진다.     한화오션은 이번 유상증자로 마련한 자금을 신종자본증권에 대한 조기 상환 재원으로 활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 5월 한화그룹의 방산 계열사는 한화오션의 지분 48.16%를 인수하는 대가로 약 2조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마쳤다.     이에 지난해 말 1조6천43억원에 달하던 한화오션의 순차입금 규모는 지난 6월 말 기준 4천145억원으로 대폭 줄었다.     같은 기간 부채비율은 1천542.4%에서 484.9%로 줄었으며, 순차입금의존도는 13.1%에서 3.0%로 감소했다.     한화그룹으로부터 전폭적인 지원을 받은 이후 자금 사정은 급속도로 개선됐지만, 한화오션의 실질적인 재무지표는 표면적인 수치보다 열악한 실정이다.     올해 2분기 말 기준 총 2조3천328억원 규모의 신종자본증권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자본으로 분류되는 신종자본증권 전량을 부채로 재분류할 시, 자본이 마이너스(-)로 돌아서면서 한화오션의 부채비율은 -218만1천898%로급격히 악화한다.     신종자본증권에 대한 이자비용도 연간 약 250억원을 지출하고 있어 부담이 크다.     신종자본증권에 대한 스텝업(금리 인상 조정)도 오는 2028년 5월까지 1%로 유예하는 것에 산업은행 및 수출입은행과 합의했지만 2034년까지 1.5%, 2040년까지 2%, 이후 2.93%로 조정되며 금리에 대한 부담이 계속 증가할 예정이다.     이를 고려했을 때, 한화오션은 이번 유상증자로 마련한 자금을 수출입은행의 공적자금 회수에 대응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화오션의 반기 보고서에 따르면, 신종자본증권에 대한 조기상환은 지난 2021년 말 이후 사채 전부 및 일부에 대해서 1년마다 가능하다.      올해 6월에는 6개월마다 분할 상환이 가능하다는 옵션을 새롭게 마련하기도 했다.     유상증자를 통해 신종자본증권을 상환한다면 자본구조를 건전화하고 이자 비용도 대폭 아낄 수 있는 방안인 셈이다.     최근 한화오션의 수주잔고가 넉넉히 쌓여있다는 점도 대규모 유동성 확충의 이유로 풀이된다.     한화오션을 포함한 국내 주요 조선업체는 지난 2020년 4분기부터 최근까지 이어진 대규모 발주 덕택에 수주잔고를 넉넉히 채운 상태다.    한화오션의 지난 상반기 말 기준 수주잔고는 27조원으로, 지난 2020년 말 8조6천억원에 비해 3배 넘게 늘어났다.     한화오션의 올해 수주 목표 대비 달성률은 국내 조선 3사 중 가장 낮은 수준이긴 하나, 충분한 일감을 확보해 그에 상응하는 비용 지출이 예상된다.     아울러 환경 규제에 따른 선박 교체 수요도 업황 개선을 기대하게 하는 요인이다.     기수주한 물량에 대한 대응뿐 아니라 향후 전함 등 특수선사업부에 대한 투자를 늘릴 가능성도 있다.     한화오션 특수선사업부는 장기적으로 한화그룹 내 방산 계열사와의 시너지 창출을 위한 움직임에 나설 것으로 점쳐진다.     올해 상반기 한화오션의 해양 및 특수선 사업부 매출은 전체 매출의 약 25%를 차지했다.     업계 관계자는 "경쟁사 대비 자본의 절대 규모가 크지 않아 재무비율이 분기 손실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면서 "하반기 수주 확대에따라 실적 개선세에 들어가고 자본을 확충해 재무구조 안정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그림2*       jwchoi2@yna.co.kr     jhpark6@yna.co.kr     hskim@yna.co.kr


시간외 단일가 특이종목

8/21(월) 장 마감 후 시간외 거래에서는 마녀공장, 한국화장품제조, 한국화장품, 본느 등 일부 화장품 테마가 상승했고, 지니뮤직이 종속회사 밀리의서재 9월 코스닥 상장 목표 속 증권신고서 제출 소식에 상승. 반면, 한화오션이 2.5조원 규모 유상증자 추진 소식 속 하락. 거래량 상위 종목으로는 디알텍, 씨엔플러스, 티플랙스, 스킨앤스킨, 모베이스전자 등.
종목명   등락률(%)   특이사항
마녀공장(439090)  +10.00%
中 유커 복귀 기대감 재부각, LG전자 내년 화장품 사업 진출 소식 속 시간외 화장품 테마 상승
한국화장품제조 (003350) +7.38%  
中 유커 복귀 기대감 재부각, LG전자 내년 화장품 사업 진출 소식 속 시간외 화장품 테마 상승
제이준코스메틱 (025620) +5.53%  
中 유커 복귀 기대감 재부각, LG전자 내년 화장품 사업 진출 소식 속 시간외 화장품 테마 상승
한국화장품 (123690) +5.16%
中 유커 복귀 기대감 재부각, LG전자 내년 화장품 사업 진출 소식 속 시간외 화장품 테마 상승
본느 (226340) +4.67%
中 유커 복귀 기대감 재부각, LG전자 내년 화장품 사업 진출 소식 속 시간외 화장품 테마 상승
잇츠한불(226320) +4.57%  
中 유커 복귀 기대감 재부각, LG전자 내년 화장품 사업 진출 소식 속 시간외 화장품 테마 상승
디알텍(214680) +4.37%  
500억원 이상 이익 기대 제품 최소 4개 확보 소식 등에 정규장 24.55% 급등
토니모리(214420) +3.87%  
中 유커 복귀 기대감 재부각, LG전자 내년 화장품 사업 진출 소식 속 시간외 화장품 테마 상승
미래산업(025560) +3.75%  
무상증자 권리락 효과 지속에 정규장 25.22% 급등. 장 마감 후 100억원 규모 아이오케이컴퍼니 전환사채권 처분 결정 공시
뷰티스킨(406820)+3.31%  
中 유커 복귀 기대감 재부각, LG전자 내년 화장품 사업 진출 소식 속 시간외 화장품 테마 상승
씨티씨바이오(060590) +3.26%
경영권 분쟁 모멘텀 지속에 정규장 3.00% 상승. 장중 임원ㆍ주요주주특정증권등소유상황보고서 전자공시(파마리서치 장내매수)
마니커에프앤지(195500)+3.18%  
장 마감 후 日경제산업상 "내일 후쿠시마 처리수 방류 시기 판단" 기사
리더스코스메틱 (016100)+2.62%  
中 유커 복귀 기대감 재부각, LG전자 내년 화장품 사업 진출 소식 속 시간외 화장품 테마 상승
코리아나 (027050) +2.50%  
中 유커 복귀 기대감 재부각, LG전자 내년 화장품 사업 진출 소식 속 시간외 화장품 테마 상승
연우 (115960)+2.50%
中 유커 복귀 기대감 재부각, LG전자 내년 화장품 사업 진출 소식 속 시간외 화장품 테마 상승
오가닉티코스메틱 (900300)+2.37%  
中 유커 복귀 기대감 재부각, LG전자 내년 화장품 사업 진출 소식 속 시간외 화장품/국내 상장 중국 기업 테마 상승
에코프로 (086520)+2.30%  
시간외 에코프로 그룹주 상승. 美, '중국 신장 강제노동' 수입 검사 전기차 부품으로 확대 속 반사이익 기대감 등에 2차전지/리튬 테마 상승 속 정규장 9.20% 급등
헝셩그룹 (900270)+2.14%  
中 유커 복귀 기대감 재부각, LG전자 내년 화장품 사업 진출 소식 속 시간외 일부 국내 상장 중국 기업 테마 상승
제로투세븐 (159580)+2.06%  
中 유커 복귀 기대감 재부각, LG전자 내년 화장품 사업 진출 소식 속 시간외 화장품 테마 상승
에코프로에이치엔 (383310)+1.84%  
시간외 에코프로 그룹주 상승
펌텍코리아 (251970)+1.73%  
中 유커 복귀 기대감 재부각, LG전자 내년 화장품 사업 진출 소식 속 시간외 화장품 테마 상승. 장 마감 후 K-뷰티 인기에 화장품 용기도 대박...'펌텍코리아' 최대 실적 기사
제우스 (079370)+1.49%  
장 마감 후 J.E.T.Co., LTD.(일본) 지분 일부(800,000주)를 314.09억원에 처분하기로 결정 공시(이전 상장 승인에 따른 보유 지분 구주매출)
에코프로비엠 (247540)+1.37%  
시간외 에코프로 그룹주 상승
지니뮤직 (043610)+1.26%  
장 마감 후 종속회사 주식회사 밀리의서재, 1,545,000주(309억원) 규모 일반공모 유상증자 결정 공시. 밀리의 서재, 증권신고서 제출…9월 코스닥 상장 목표 기사
율촌화학 (008730)-1.67%  
시간외 맥신(MXene) 관련주 하락
덕산하이메탈 (077360)-1.74%  
시간외 맥신(MXene) 관련주 하락
칩스앤미디어 (094360)-1.81%  
장 마감 후 301,553주(102.91억원) 규모 자사주 처분 결정 공시
트루엔 (417790)-1.85%  
시간외 일부 보안주(물리) 테마 하락
나노 (187790)-1.94%  
시간외 맥신(MXene) 테마 하락
포커스에이치엔에스 (331380)-1.96%  
시간외 일부 CCTV & DVR 및 보안주(물리) 테마 하락
케이피에프 (024880)-2.03%  
시간외 맥신(MXene) 관련주 하락
다보링크 (340360)-2.05%  
장 마감 후 [투자주의]15일간 상승종목의 당일 소수계좌 매수관여 과다종목 공시
한국앤컴퍼니 (000240)-2.34%  
시간외 맥신(MXene) 테마 하락
코맥스 (036690)-2.78%  
시간외 일부 CCTV & DVR 테마 하락
APS (054620)-2.79%  
시간외 맥신(MXene) 관련주 하락
티플랙스 (081150)-2.97%  
시간외 맥신(MXene) 테마 하락
베셀 (177350)-3.94%  
장 마감 후 최대주주 변경을 수반하는 주식 양수도 계약 해제(해지) 공시
한화오션 (042660)-5.96%  
장 마감 후 대규모 자금 조달 나선다…2.5조 규모 유상증자 추진 기사


에너지는 IT와 함께 지금도 그렇지만 미래산업의 핵심이다.

이런 에너지 분야의 언론지형은 메이저 언론이나 주요 경제지들은 상대적으로 무관심하거나 정치 지향적인 기사나 써대고 있고 전문경제지들이 상대적으로 전문성도 있고 국가의 미래를 생각하는 글을 쓰지만 변방의 북소리에 불과한 것이 현실이다.

이상복 기자의 이 글은 짧지만 현상을 아주 정확히 표현하고 있는데 과연 이런 이야기가 얼마나 정책담당자의 귀에 들어갈 지, 들어간다 한들 생각과 행동을 바꾼다는 것은 기대난망인 것이 에너지 전환에 역주행 하는 이 나라의 비극이다…

=====

http://www.e2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57039&fbclid=IwAR2MWzxLLOF6PLdyyUHFdP6C7Feh7sP9Ivo1J40o1wVZBAUtbOSkM1LaEuE_aem_AQ6zjGyRJHTdZMpISejCgZQrmn6GfRezRBFmEUhXf7QmrtfoG9Pr-bvz0z1nHiZlwG0

[기자수첩] 땅에 떨어진 에너지정책의 권위 - ::: 글로벌 녹색성장 미디어 - 이투뉴스

[이투뉴스] 장수가 찌그러진 투구를 쓰고 있으면 영(令)이 안 선다. 2038년까지의 장기 전력정책계획을 짜는 11차 전력수급기본기본계획 수립위원회의 처지가 꼭 그렇다. 정부가 이 계획에 대놓고

www.e2news.com


320x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