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이분 증시시황 코멘트 없으면
시장 흐름 진짜 읽기 힘들듯합니다
한말씀한말씀이 진짜 엄청 도움되네요
잭슨홀까지는 여튼 무난하게 지나간것같고
다음문제는 금리인상 여부가 될것으로 보여집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대신증권에서 투자전략을 담당하는 이경민입니다.
오늘 코멘트 요약입니다.
1. 잭슨홀 미팅은 소문난 잔치에 그침. 파월 연준의장은 그동안 언급해왔던 물가, 통화정책, 경기에 대한 기조를 유지. 잭슨홀 미팅 이후 증시는 불확실성 해소로 상승. 10년물 채권금리는 보합, 2년물과 달러는 상승
2. 대내외 악재들에 대한 공포심리는 정점 통과. 중요한 기로에 놓여있었던 글로벌 금융시장도 하나 둘 변곡점을 통과. 특히, 미국 10년물 국채금리가 4.3% 수준에서 급등세가 진정. 위안화는 7.3위안, 원화는 1,345원선을 저항으로 약세 압력 완화
3. 주요국 핵심 경제지표들 체크. 미국 경기모멘텀 기대 둔화, 중국 경기불안심리 진정 여부가 중요. 이럴 경우 모멘텀 부재 국면에서 매크로 장세로의 전환 가능. 경제지표 확인과정에서 등락은 불가피하겠지만, 이번주 KOSPI가 2,540선을 넘어서 안정권으로 진입할 전망. 핵심 업종은 반도체
4. 채권금리 하향안정의 핵심 변수는 경기 기대 약화, 경제지표 부진 가시화. 실제로 미국채 10년물 채권금리가 하락반전한 계기 : 8월 23일 미국 8월 S&P 제조업, 서비스업 PMI 부진. 미국 경제지표 서프라이즈 인덱스 50%대로 여전히 고점권. 미국 경기에 대한 기대가 정점권에 위치해 있고, 당분간 경제지표가 예상보다 못 할 가능성이 높음을 시사. 경제지표와 통화정책 이슈, 미국채 흐름 간에는 당분간 Bad Is Good, Good Is Bad 국면 전개 가능성. 글로벌 증시에 우호적인 변화
5. 달러도 미국 경기 모멘텀에 대한 기대가 둔화되면서 강세 압력이 진정될 것. 여기에 8월 27 ~ 30일 예정된 지나 러몬드 미국 상무부 장관의 방중이 미중 갈등의 변곡점이 될지 관건. 부동산 위기 공포심리 진정과 함께 미중 갈등 완화시 위안화는 물론, 원화 약세 압력이 진정될 전망
6. 미국이 Bad Is Good, Good Is Bad 국면이라면 한국과 중국은 경기회복이 필요한 상황. 중국 8월 PMI는 중국 경기부진이 지속되고 있음을 보여줄 가능성이 높음. 중국은 경제지표 부진시에는 경기부양기대 강화가, 경제지표 호조시에는 경기 불안심리 진정이 증시에 우호적인 분위기를 형성할 가능성 높음. 위안화 하향안정, 달러대비 상대적 강세 여부에 주목
7. 9월 1일 한국 8월 수출 공개. 블룸버그 컨센서스 기준 전년대비 -12.2%로 예상, 20일까지 수출 증가율 -16.5%대비 개선세될 것으로 기대. 특히, 20일까지 일평균 수출금액을 보면 수출 부진에도 불구하고 반도체, 무선통신기기 등 IT 산업의 수출금액은 오히려 7월 대비 증가. 반도체 일평균 수출금액은 3.3억달러로, 올해 최고치인 3.4억달러에 근접한 수치. 반도체, 핸드폰 수출 회복이 가시화될 경우 KOSPI에 우호적인 분위기가 형성될 가능성이 높음
8. 한편, 엔비이다 실적 서프라이즈를 기점으로 실적대비 부진했던 업종들이 재조명 받을 수 있음. 특히, 주도주이면서 가격메리트와 실적 개선, 외국인 매집이 지속되었던 자동차, 기계 업종 주목. 반도체, 자동차, 기계 업종의 향배가 향후 KOSPI 흐름을 선행할 전망
소문난 잔치에는 먹을게 없다… 잭슨홀 미팅 결과를 보면 이 말이 떠오르네요
저도 지지난주 후반, 지난주 초반까지는 잭슨홀 미팅에 대해 많은 생각을 했는데,
시장에서 너무 많은 이야기가 나오고, 그에 따른 금융시장 등락이 전개되면서
주 후반에는 방송이나 유튜브에서 오히려 별거 없을거 같다. 너무 걱정하지 말자 라고 말씀드렸습니다.
다행이라면 다행인 상황이기는 한데, 7월 FOMC에서 처럼 애매모호한 열린 결말 정도가 아닌가 싶습니다.
소문난 잔치가 끝나자마자 월말, 월초 경제지표들이 다수 발표될 예정입니다.
어떤 관점으로 볼지, 무엇이 중요 포인트인지, 그에 따라 증시는 어떨지 살펴보았습니다.
오늘 주간 코멘트 자료 링크입니다.
https://url.kr/j1npu5
글로벌 투자자들의 이목이 집중되었던 잭슨홀 미팅은 소문난 잔치에 그쳤습니다.
파월 연준의장은 그동안 언급해왔던 물가, 통화정책, 경기에 대한 기조를 유지했죠
시장에서 우려했던 중립금리 변동에 대해서는 정확하게 식별할 수 없음을 언급하며, 현재 실질정책금리는 일반적인 중립금리 추정치를 상회하고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물가 목표치에 대해서는 2%이고, 앞으로도 그러할 것이라는 확언을 통해 물가 목표치 상향조정 가능성을 배제했습니다.
즉, 물가 안정을 위한 연준(Fed)의 매파적 스탠스를 재확인했으나, 향후 추가적인 통화 긴축 여부에 대해서는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동시에 보여주었다고 평가할 수 있습니다.
잭슨홀 미팅 이후 증시는 불확실성 해소로 상승했습니다 : S&P 500 +0.67%, 다우+0.73%, 나스닥+0.94%
채권시장에서는 그동안 증시를 괴롭혀왔던 미국 10년물 국채 금리(4.24%, +0bp)는 보합세를 기록했지만, 2년물 국채 금리(5.08%, +6bp)는 장중 5.09%를 상회하며 2006년 이후 최고치를 경신했죠
달러화는 고금리 장기화 우려 등으로 강세(+0.20%)를 보였고, 유로화(-0.13%) 및 엔화(-0.42%)는 약세 마감했습니다.
8월 한 달 동안 글로벌 증시, KOSPI를 억눌러왔던 대내외 악재들에 대한 공포심리는 정점을 통과하는 모습입니다.
공포심리 증폭 Vs. 완화 여부를 가늠할 수 있는 중요한 기로에 놓여있었던 글로벌 금융시장도 하나 둘 변곡점을 통과하는 모습입니다.
특히, 미국 10년물 국채금리가 4.3% 수준에서 급등세가 진정되었다는 점에 주목합니다. 그 결과 위안화는 7.3위안, 원화는 1,345원선을 저항으로 약세 압력 완화되었습니다.
물론, 2년물 국채금리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고, 달러 강세가 여전하다는 점은 부담입니다.
하지만, 8월 셋째주까지 글로벌 증시, 특히 KOSPI 변동성을 자극했던 미국채 10년물과 위안화, 원화 약세 압력 진정의 영향력이 당분간은 크다고 볼 수 있습니다.
향후 2년물 국채금리와 달러화 상승세까지 진정된다면 증시 반등탄력은 강화될 것입니다.
이번주 주요국 핵심 경제지표들이 발표될 예정입니다. 그 결과에 따라 KOSPI를 비롯한 글로벌 증시의 등락이 결정되겠죠
저는 미국 경기모멘텀 기대 둔화, 중국 경기불안심리 진정 여부가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이럴 경우 모멘텀 부재 국면에서 매크로 장세로의 전환 가능성을 가늠해 볼 수 있을 것입니다.
KOSPI는 2,480선 지지력 확보 이후 반등세를 이어가고 있지만, 2,540선 저항을 넘어서지 못하고 있습니다. 그동안 언급드려왔던 중요 지지선이 중요 저항선으로 전환된 것이기 때문입니다.
저는 경제지표 확인과정에서 등락은 불가피하겠지만, 이번주 KOSPI가 2,540선을 넘어서 안정권으로 진입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그 중심에는 반도체 업종이 자리할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합니다.
미국 채권금리 10년물 급등에는 미국 경기모멘텀 강화 기대와 수급불안이 자리한다고 지난주 자료를 통해 언급드렸죠
수급 변수는 다소 과도한 해석이 반영되어 있어 10년물 국채금리 추가 급등은 제한적이라고 보지만, 실질적인 하향 안정세를 위해서는 경기 기대 약화, 경제지표 부진이 가시화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실제로 미국채 10년물 채권금리가 하락반전한 계기가 8월 23일(현지시간) 발표된 미국 8월 S&P 제조업, 서비스업 PMI가 예상보다 부진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당일 미국채 10년물은 4.2%를 하회했습니다.
미국 경제지표 서프라이즈 인덱스가 70%대에서 50%대로 하락했지만, 여전히 고점권입니다.
미국 경기에 대한 기대가 정점권에 위치해 있고, 당분간 경제지표가 예상보다 못 할 가능성이 높음을 시사합니다.
경제지표와 통화정책 이슈, 미국채 흐름 간에는 당분간 Bad Is Good, Good Is Bad 국면이 전개될 가능성이 높다고 봅니다.
글로벌 증시에는 우호적인 변화라고 생각합니다.
이번주 미국은 월말, 월초를 맞아 주요 경제지표 발표들이 다수 예정되어 있습니다.
29일 11시(이하 한국시간)에 공개되는 8월 컨퍼런스보드 소비자 기대지수는 8월 117대비 소폭 하락한 116.2로 컨센서스가 형성 중입니다. 지난주 S&P 미국 서비스업 PMI 부진을 감안할 때 예상보다 낮은 결과가 확인될 수 있습니다.
31일에는 7월 미국 소비, 소득, PCE 물가가 공개됩니다.
7월 소비, 소득 예상치는 전월대비 0.7%, 0.3%로, 미국 경기 모멘텀 여전히 견고함을 시사할 것입니다. 관건은 예상치 부합 여부입니다.
7월 PCE, Core PCE물가는 전년대비 3.3%, 4.2%로 6월 3%, 4.1%에서 반등이 예상됩니다.
특히, Core PCE 반등이 확인될 경우 추가 금리인상 우려가 확대될 수 있습니다.
1일에는 8월 고용지표 발표되는데요. 신규 비농업고용자수는 16.8만명으로 7월 18.7만명대비 감소하고, 실업률과 경제활동 참가율은 각각 3.5%, 62.6%로 정체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시간당 평균임금 상승률은 전년대비 4.3%로 둔화 가능이 높습니다.
고용 모멘텀과 임금상승률 둔화는 추가 금리인상 우려 완화와 함께 중단기 채권금리 상승압력 약화 변수라고 생각합니다.
달러도 미국 경기 모멘텀에 대한 기대가 둔화되면서 강세 압력이 진정될 것입니다.
한편, 일본 금리 상승으로 인한 BOJ 스탠스 전환 가능성도 또다른 달러 강세 압력을 진정시킬 수 있는 변수이기도 합니다. 달러 인덱스 구성의 14% 정도를 차지하는 엔화가 BOJ의 통화정책 스탠스 전환(매파적으로) 우려로 강세 압력 확대시 달러 약세 압력을 일정부분 높일 수 있습니다.
여기에 8월 27 ~ 30일 예정된 지나 러몬드 미국 상무부 장관의 방중이 미중 갈등의 변곡점이 될지 관건입니다.
상무부 장관은 방중을 앞두고 27개 중국 기업/단체를 미검증 명단에서 제외, 한국 반도체 장비의 중국 수출 규제 유예 시한 연장, 중국 침체를 원하지 않는다는 발언 등 우호적인 분위기를 형성한 바 있습니다.
미중 갈등이 고조되던 상황에서 갈등의 강도가 정점을 통과했거나 더 강해지지 않을 것이다라는 기대심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부동산 위기 공포심리 진정과 함께 미중 갈등 완화가 가시화될 경우 위안화는 물론, 원화 약세 압력이 진정될 전망입니다.
한편, 이번주에는 한국과 중국의 경제지표도 주목해서 봐야 합니다.
미국이 Bad Is Good, Good Is Bad 국면이라면 한국과 중국은 경기회복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31일에 공개되는 중국 통계국 8월 제조업, 서비스업 PMI는 각각 49.1, 51로 예상, 7월 49.3, 51.3대비 둔화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8월 차이신 제조업 PMI는 49.2로 7월과 동일하고, 서비스업 PMI는 7월 54.1에서 53.3으로 둔화될 것으로 컨센서스가 형성 중입니다.
중국 경기부진이 지속되고 있음을 보여줄 가능성이 높습니다.
다만, 경제지표 서프라이즈 인덱스가 여전히 -50% 수준으로 여전히 저점권임을 감안할 때 예상보다 부진한 경제지표 결과보다는 예상보다 양호한 결과가 공개될 가능성이 높다고 봅니다.
특히, 7월말 이후 정부의 경기부양의지를 확인한 만큼 경제지표 부진시에는 경기부양기대 강화가, 경제지표 호조시에는 경기 불안심리 진정이 증시에는 우호적인 분위기를 형성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위안화 하향안정, 달러대비 상대적 강세 여부에 주목합니다.
9월 1일에는 한국 8월 수출이 공개되죠
블룸버그 컨센서스 기준 전년대비 -12.2%로 예상되는데, 이는 20일까지 수출 증가율 -16.5%대비 개선세될 것으로 기대하는 수치입니다.
특히, 20일까지 일평균 수출금액을 보면 수출 부진에도 불구하고 반도체, 무선통신기기 등 IT 산업의 수출금액은 오히려 7월 대비 증가했습니다.
20일까지 반도체 일평균 수출금액은 3.3억달러로, 올해 최고치인 3.4억달러에 근접한 수치입니다.
반도체, 핸드폰 수출 회복이 가시화될 경우 KOSPI에 우호적인 분위기가 형성될 가능성이 높죠
게다가 미국 엔비디아가 실적 서프라이즈를 기록하며 한국 반도체 수요에 대한 불안심리를 진정시켜주고 있습니다.
엔비디아는 지난 24일 FY24 Q2 실적을 공개했는데요. 엄청난 서프라이즈였습니다.
EPS 2.7달러, 매출액 135억달러로, 시장 컨센서스인 2.07달러, 111.3억달러를 각각 30%, 21% 상회했습니다. 다음 분기 매출액 전망도 시장 예상치(126억 1,000만달러)를 크게 상회하는 160억달러로 제시했고요
국내 반도체 업황 회복 기대에도 불구하고 주가를 억눌러왔던 반도체 수요 불안심리가 진정되면서 점차 반도체 주가 반등에 힘이 실릴 전망입니다.
이와 함께 그동안 호실적에도 불구하고 향후 실적/업황 경계감에 주가가 부진했던 업종들의 반등 가능성도 염두에 둘 필요가 있습니다.
엔비이다 실적 서프라이즈를 기점으로 실적대비 부진했던 업종들이 재조명 받을 수 있기 때문인데요
특히, 주도주이면서 가격메리트와 실적 개선, 외국인 매집이 지속되었던 자동차, 기계 업종의 흐름에 주목합니다.
KOSPI 2,500선에서의 등락 과정을 반도체, 자동차, 기계 업종을 매수하는 기회로 활용할 필요가 있습니다. 반도체, 자동차, 기계 업종의 향배가 향후 KOSPI 흐름을 선행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9월 1일 8월 수출을 기점으로 반도체 수출금액 연중 최고치 경신이 확인될 경후 반도체 업종의 반등 탄력이 강해질 수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KOSPI 2,540선 돌파가 가시화될 전망입니다.
반도체 수출, 주가 흐름에 주목해야 할 시점입니다.
행복한 하루, 즐거운 한 주 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미국증시 중요 뉴스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잭슨홀 이후에도 유지되는 주가 복원력" (33) | 2023.08.28 |
---|---|
Fed 의장 매파적 발언에도 상승… 다우 +247.48(+0.73%) (34) | 2023.08.28 |
미중 정치적 갈등 고조 (78) | 2023.08.26 |
파월 잭슨홀 주요 발언 내용 (36) | 2023.08.25 |
제롬 파월 美 연준 의장 잭슨홀 심포지엄 연설 (44) | 2023.08.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