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국증시 중요 뉴스정리

파월 잭슨홀 주요 발언 내용

반응형

🟢 미국 경제가 너무 탄탄하다.
- 노동은 강력하고, 소비도 여전히 탄탄함
- 주택시장은 다시 상승하고 있어
- 튼튼한 미국 경제가 인플레를 잡는데 어려울 수 있다고 발언 🦾

🟢 금리는 제한적인 수준으로 다가가며
통화정책의 효과를 당장 알기는 어렵다.
금리를 올림에도 불구하고 고용 완화/실업률 상승으로 이어지지 않았고
연준도 처음겪는 경제 상황들이다.
("연준에게도 어렵다")

=> 고금리 유지하며 상황을 지켜보자

출처 더블대디


8/25 파월 잭슨홀 주요 발언 내용

- 정책은 제한적이지만 연준의 중립금리수준은 정확히 파악할수없다
- 상품 인플레이션에 대한 지속적인 증거가 필요
- 임대료의 둔화는 주택 인플레이션 둔화를 의미한다고 생각
- 비주택서비스 인플레이션의 하락이 필요
- 확실히 하락하고 있다는 증거가 필요
- 근원 인플레이션이 매우 높다
- 이에 대해서 해결하기 위해서는 확실히 인플레이션이 하락하고 있다는 증거가 필요
- 주택 및 부동산, 임대료도 연준의 정책이 적용되려면 시간이 필요
- 만약 임대료 및 주택이 판데믹 이전으로 떨어진다면 그것이 증거가 될수있기에 신중히 볼것
- 에너지나 식품과는 다른 변동성이 적은 근원 PCE는 옆으로 움직였다
- 원하는 만큼 크게 하락하지 않았다
- 수요와 공급 밸런스는 어느정도 맞아가고있다
- 어느정도 인플레이션 하락에 기여할거라 본다
- 노동 시장 완화와 평균이하의 성장이 필요하다
- GDP가 예상치 이상으로 높았다
- 소비는 강력했고 , 18개월 하락하던 주택시장도 다시 상승시작했다
- 이러한 것들이 인플레이션 낮추려는 노력을 어렵게 할수있다고 본다
- 여성의 노동 시장의 나이는 상승
- 임금도 어느정도 완화가 되고 있다고 분석
- 리벨런싱이 임금 압박을 완화
- 명목 임금 또한 추후에는 인플레이션 2%대와 나란히 해야한다
- 제한적인 수준에 다가가고 있다
- 통화정책의 완벽한 방향성 효과는 알기 어렵다
- 작년 심포지엄 대비 300BP의 금리를 상승했다
- 담보 또한 크게 상승시켰다
- 채용공고가 완화되었고, 실업류리 크게 올라간건 아니다
- 이러한 변화하는 다이나믹스 기존과 다르다
- 금리를 유지하며 상황을 지켜볼것

320x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