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merican Stock Story[2024]

2024년 7월 cpi 예상치 , 곧 8월 cpi 발표예정

반응형





연준이 계속 유동성공급하고 돈풀기하는중이고

미국 재무부가 통장을 오픈했는데...

이제 꺼낼 수 있는 카드는 다 나온듯합니다

금리인하를 하지않고 동결이면 호재고

금리인하 시작하면 결과적으로 미국에 투자된 돈들은 다
빠져 나간다고 보면 됩니다.

미국증시는 그때도 튼튼할수도 있지만

제가보기엔 일본처럼 빨리 나가려는 움직임이 가속화될 수 있다고 봅니다.

중국과 일본이 나가고 미국 스스로가 자신의국가에 돈 넣다보니 경제는 좋은데 국가부채는 상상초월이죠

어차피 갚을생각없는 돈이겠지만 늘어나면 늘어날수록
부동산, 물가 다 올라가는거라 경기침체가 오긴와야 합니다 그래야 다시 살만해지겠죠

이민자들때문에 고용지표가 좋은것처럼 보이긴하는데
재취업률은 낮습니다

결과적으로 나가면 양질의 일자리는 다시 얻기힘들다는소리.

근데 뭐... 이게 호재라니까 속아줘야할듯요

어차피 위아래 숏롱 매매하면서 수수료 + 청산으로 돈버는 월가니께.. 이러면서 차근차근 이탈하겠죠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펌 ㅣ 속보)#미국
7월 CPI 예상치가 나왔습니다
(분석이 들어있습니다 한번씩만 봐주세요)
-CPI 예상:2.9%, 이전:3.0%
-근원 CPI 예상:3.2% 이전:3.3%

1. 예상치대로 나왔을 때:여전히 데이터를 보고 판단해야 될 정도로 크게 낮아지진 않았지만 1)금리인하 2)양적긴축 중단 둘 중 하나가 언급될 듯 싶습니다
2. 예상치보다 하회했을 때: 1)금리 인하 2)양적 긴축 중단 둘 다 언급될 듯 싶습니다
3.예상치보다 상회했을 때:1)9월 까진 데이터를 지켜보자2)양적 긴축 속도 더 많이 조절 정도 언급될듯 싶습니다

*하지만 이 모든 것은 재무부가 채권 바이백(즉 글로벌 M2를 증가)을 하면서 벌어지는 일들입니다
*중동-이란-이스라엘-하마스 긴장감 고조라는 위험 존재
*일본 8/23일 소비자 물가 (이전:2.8%) 보다 증가 시 추가 금리 인상 가능성 있습니다

-결론:
1)여전히 근원 CPI는 예상대로 나와도 3.2%로 2% 중반까지라는 연준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선 데이터를 추가적으로 지켜봐야 할 상태
2)이 와중에 재무부는 선거를 위해 채권 바이백을 하는 등 좀 더 거품, 시장의 왜곡을 추가적으로 만드는 상태
3)일본이 '금리 추가 인상 자제'라고 안심을 시키긴 했지만 8/23일 일본 소비자 물가가 2.8%에서 잡히지 않는다면 또 추가 금리인상이란 뒤통수를 칠지 모르는 상태
4)중동과 이스라엘이 전면전으로 갈 시 추가적 '블랙스완'이 나타날지도 모르는 상태

->최소한 미국, 일본 CPI까지는 지켜봐야 하지 않을까란 결론입니다
#매크로 #macro #bitcoin


출처 https://x.com/hanni_korea/status/1821848576231866782?t=7ofcdCbTd7v4zcuPIaYt9g&s=09

320x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