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merican Stock Story[2024]

외국인 1,055 억원 순매수 / 기관 -863 억원 순매도 / 개인 -739 억원 순매도.

반응형

[장 중 시황] 미국 PPI 생산자물가 안정되며 안도감 유입, 반등 동력은 M7 기술주 훈풍 [FICC리서치부 전략/시황: 이경민]

- KOSPI는 13시 55분 현재 +0.44% 상승한 2,633.15pt
미국 7월 생산자물가 완화에 안도, 외국인 매수세 유입되며 KOSPI 상승, 오후들어 휴장 앞두고 상승폭 둔화
외국인 1,055 억원 순매수 / 기관 -863 억원 순매도 / 개인 -739 억원 순매도.

- 전일 미국시장은 PPI 생산자물가지수 둔화에 안도하며 3대 지수 모두 강세,
물가지수가 높게 나왔다면 인플레이션 재점화 우려, 낮게 나온다면 경기침체 우려가 다시 고개를 들 수 있는 상황에서 7월 PPI는 전원대비 0.1% 상승, 적절한 구간에서 발표되며 시장 안도

내일 광복절 휴장으로 인해, 금요일 개장 전까지 미국 7월 CPI 소비자 물가지수와 소매판매 지표가 공개될 예정. 두 지표 모두 인플레이션과 경기침체 사이 현재 미국의 소비여력을 측정할 수 있는 지표. 현재 시장 컨센서스는 전월대비 CPI 보합, 소매판매 증가를 예상 중

모든 지표가 예상대로 나온다면 시장은 경기침체 우려를 떨쳐내고 환호하겠으나, 이전대비 시장 심리가 약해져있는 상황에서 지표가 예측을 벗어날 경우 변동성 또한 감당해야하는 상황. 매주 목요일 발표되는 신규실업 청구건수 고용에 대한 변수로 시장 영향 있을 것

반면, 반등장에서 M7과 기술주 종목 중심으로 상승세 먼저 나타나는 중, 전일 엔비디아, 테슬라 등 기술주 중심의 반등이 나타나며 오늘 국내증시도 반도체, 이차전지 업종 강세

- 아시아증시 혼조세,
일본니케이지수(-0.12%) 오전 중 상승폭 반납 후 혼조세, 기시다 총리 자민당 총재선거 불출마 선언.
대만가권지수(+1.09%) 기술주 상승 영향에 강세.
반면, 중국상해종합지수(-0.35%), 홍콩항셍지수(-0.36%)는 텐센트, 알리바바 등 실적발표 앞두고 경계심리 유입

- 원/달러 환율 달러 인덱스 약세에 하락. 전일 종가대비 -5.9원 하락한 1360.7원.
중동지역 분쟁 상황, 이란 측에서 가자지구의 휴전이 이란의 대응을 늦출 수 있다고 발언하며 지정학적 긴장감 소폭 완화되는 분위기

- 업종별로는
기계(+1.64%), 전기,전자(+1.55%), 섬유,의복(+1.44%) 강세,
보험(-5.59%), 금융업(-0.99%), 유통업(-0.57%) 약세

반도체 업종 강세, SK하이닉스(+1.76%), 한미반도체(+5.21%), 유진테크(+11.42%) 등 강세. 전일 미국증시 엔비디아 6%대 상승영향

이차전지 업종 강세, LG에너지솔루션(+2.58%), SK아이이테크놀로지(+2.20%), 포스코퓨처엠(+1.71%) 등 강세. 전일 미국증시 테슬라 5%대 상승 영향

신재생에너지 업종 강세, HD현대에너지솔루션(+21.63%) 2분기 호실적 영향, LS ELECTRIC(+4.99%) MSCI 지수 신규편입, 씨에스윈드(+4.72%) 2분기 실적 수익성 개선 영향 등 실적 모멘텀 바탕으로 해리스 후보 지지율 상승, 지수편입 등 호재 이어지며 업종 강세

반면, 보험업종 호실적 영향에도 차익실현 매물 출회에 약세, 삼성생명(-6.70%), 삼성화재(-6.53%), 한화생명(-6.19%) 등 하락.

- KOSDAQ 774.31pt, +1.24% 상승. 반도체, 이차전지 업종 상승 속, 비교적 소외되어있던 소재, 장비 업종들까지 온기 전해지며 강세.
업종별로는 기계·장비(+2.86%), 화학(+2.20%)강세, 반면, 오락·문화(-2.05%), 운송(-0.97%) 약세.

[대신증권 투자전략/시황 텔레그램 채널]


320x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