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U.S stocks [2025] ISSUE arrangemet

우리가 무서워 해야 하는 건 인플레이션이 아닌 경기 둔화 입니다.

반응형

박제영님 시장리뷰 ㅣ 2025. 1. 31 5분 미국 마감

#딥시크 #FOMC #서비스업 #관세 #GDP #실적

NASDAQ 19,681(+0.25%)
미국채 10년 금리 4.508%(-0.49%)
달러인덱스 108.018p(-0.02%) NDF 1,444원(+2원)

연휴 기간 동안 미국 증시는 큰 변동성에 휘말렸습니다. 중국에서 뜬금 없이 인공지능을 발표 했는데 저비용에 고성능이라는 믿을 수 없는 결과가 나와서 입니다.

이로 인해 엔비디아가 하루만에 시총 800조원이 증발하는 일이 발생했습니다. 미국 AI 기업들에 대한 과도한 상승이 원인이 되기도 했습니다. 이미 지난 금요일(24일) 텍사스인스트루먼트의 실적 부진으로 인해 반도체 기업들이 조정을 받기 시작했고 월요일(27일) 딥시크가 엔비디아의 H800, 즉 수출 규제를 받지 않는 저가모델을 사용해 1/10 수준의 비용으로 거대언어모델(LLM)을 개발하자 미국 AI 기업들의 프리미엄이 희석되며 주가가 급락한 겁니다.

애플과 메타, 알파벳 등은 큰 타격이 없었습니다. 어찌보면 AI를 개발하는 기업들에게는 이러한 경쟁이 GPU 같은 반도체 칩의 가격 하락을 유발해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딥시크에 대한 의구심은 여전히 진행 중입니다. 어딘가에서 불법으로 구매한 H100을 이용 했을 거라는 합리적인 의심을 하고 있습니다. 무엇으로 만들었던지 간에 AI 개발은 세계적으로 계속 될 겁니다.

29일 FOMC 에서는 금리를 동결 했습니다. 우리가 쉬는 동안 미국 국채 10년 금리는 13bp 하락했습니다. FOMC 성명문에서 '인플레이션이 연준의 2% 목표를 향해 진전을 보였다' 는 문구가 삭제 됐습니다.

여전히 물가가 다소 높다고 인식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파월 의장은 기자회견에서 "현재 정책금리는 중립금리보다 의미 있게 높다고 할 수 있다" 고 말했습니다. 금리 인하는 계속 진행 될 겁니다. 너무나 큰 뉴스들이 많아서 1월 서비스업 PMI에는 관심이 없는데 1월 서비스업 PMI가 52.8을 기록하며 전월 대비 4포인트 예상치 56.5를 크게 밑돌았습니다.


트럼프는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하는데 소비심리가 무너진다면 인플레이션이 오는게 아니라 디플레이션이 올 수 있습니다. 미시간대 소비자심리지수 확정치도 71.1로 예비치 73.2에 비해 낮아졌습니다. 트럼프 행정부는 2월 1일 부터 멕시코와 캐나다에 25% 관세를 부과 하겠다고 밝혔습니다.관세 부과와 이민자 추방은 일시적인 물가 상승 압력을 줄 수 있겠으나 소비에 악영향을 미치며 수요 감소를 불러 일으킬 겁니다. 우리가 무서워 해야 하는 건 인플레이션이 아닌 경기 둔화 입니다.

미국도 어닝시즌입니다. 애플과 MS가 실적을 발표 했습니다. 예상치를 소폭 웃도는 실적을 발표하고도 시간외에서 크게 하락하고 있습니다. 이유는 높아진 눈 높이 때문이 아닐까요? 미국은 영원할 것이라는 기대 그리고 미국 예외주의가 주가를 많이 높여 놨습니다. 하지만 높아진 눈높이를 계속 맞춰 나가기는 매우 어려운 일입니다. 지난 4분기 미국 GDP 성장률이 2.3% QoQ 성장했습니다. 한국에 비해 매우 높은 성장이지만 3분기 3.1% 그리고 기대치 2.6% 에 못 미치며 서서히 둔화되어가는 흐름입니다.

긴 연휴 미국 증시를 정리해 봤습니다. 오늘만 일하면 또 주말입니다. 화이팅 하시기 바랍니다.

320x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