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준의 3월 통화정책회의 결과 및 시장 반응
ㄴ오늘 엄청난 호재발언을 파월이 해줌.
금리인하보다 더 좋은 내용이기도함
약달러는 아직이고 대신 유동성은 풀어줄게 요론 뉘앙스... 증시방어에 큰 도움될듯하네요
1. 개요
2025년 3월 20일 기준,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는 최근 통화정책회의에서 기준금리를 동결하며 경제 전망에 대한 주요 조정을 발표했습니다. 연준은 트럼프 정책으로 인한 성장 둔화 가능성을 인정하면서도, 시장은 회복세를 지속하고 있습니다. 본 보고서는 연준의 주요 결정, 경제 전망 조정, 양적긴축 축소 조치 및 시장 반응을 분석합니다.
2. 연준의 주요 결정 및 전망
금리 동결
연준은 3월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현 수준으로 유지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이는 경제 불확실성 속에서 신중한 접근을 택한 결과로 해석됩니다.
경제 전망 조정
성장 전망 하향: 연준은 올해 경제 성장률 전망을 크게 낮췄습니다. 이는 트럼프 정책(특히 관세전쟁)의 영향을 반영한 것으로 보입니다.
실업률 전망 상향: 실업률 전망이 상향 조정되며, 경기 둔화 우려가 공식화되었습니다.
인플레이션 전망 상향: 관세전쟁으로 인한 물가 상승 가능성을 감안해 핵심 인플레이션 지수를 상향 조정했습니다. 이는 비용 상승이 소비자 물가에 전가될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양적긴축(QT) 규모 축소
연준은 4월부터 국채에 한해 양적긴축 규모를 월 250억 달러에서 50억 달러로 80% 감축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는 시장 유동성을 완화하는 조치로, 사실상 간접적인 금리 인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양적긴축 축소는 연준이 경제 둔화에 적극 대응하려는 의지를 보여줍니다.
3. 연준의 경제 평가와 파월 의장의 발언
연준은 물가 상승과 성장 둔화가 동시에 나타나는 부정적인 시나리오를 제시했습니다.
그러나 제롬 파월 의장은 “물가 상승세는 관세로 인한 일시적 요인”이라며 경제에 대한 자신감을 표명했습니다.
과거 “인플레이션이 일시적”이라는 발언이 데자뷰로 회자되며 신뢰성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었으나, 시장은 파월의 낙관론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는 분위기입니다.
4. 시장 반응
연준의 전망이 부정적임에도 불구하고, 시장은 추가 하락을 막는 ‘연준 풋(Fed Put)’ 효과에 힘입어 회복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양적긴축 축소와 파월 의장의 자신감 있는 발언이 시장 안정에 기여한 것으로 평가됩니다.
투자자들은 연준의 대응이 경제 충격을 완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며 낙관적인 분위기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5. 결론 및 전망
연준의 3월 통화정책회의는 경기 둔화와 인플레이션 압력이라는 이중 도전에 직면한 가운데, 금리 동결과 양적긴축 축소라는 균형 잡힌 대응을 보여주었습니다. 파월 의장의 낙관적 발언은 시장에 일시적인 안도감을 주었으나, “일시적 인플레이션”에 대한 과거 전례는 불확실성을 남깁니다. 향후 관세전쟁의 전개와 경제 데이터에 따라 연준의 추가 대응이 시장 방향성을 결정짓는 핵심 요인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U.S stocks [2025] ISSUE arrangemet'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월 의장 기자회견 주요 내용 요약 (7) | 2025.03.20 |
---|---|
FOMC를 기자회견에서 여러가지 얘기들이 나왔죠. (7) | 2025.03.20 |
미국 삼권분립 붕괴 사건 분석 (5) | 2025.03.20 |
반등 시도 다음 보아야 할 것 (13) | 2025.03.19 |
3월 FOMC와 오늘 발표된 BOJ 결정에 대한 주요내용 (10) | 2025.03.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