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U.S stocks [2025] ISSUE arrangemet

FOMC의 성장률 하향 조정과 물가 상승 전망은

반응형


이번 주(3/24~3/28) 경제 이슈를 중심으로 분석하자면, 고용, 물가, 그리고 금융시장 변동성이 주요 키워드입니다.

FOMC의 성장률 하향 조정과 물가 상승 전망은 스태그플레이션 우려를 낳고 있지만, 고용시장의 견조함이 연준의 정책 유연성을 어느 정도 뒷받침하는 모습이다. 다만, 고용시장 변화 가능성과 물가 지표(PCE)가 이번 주 시장 방향성을 결정짓는 변수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

요일별 주요 이슈 분석

3/24(월): 관세 조정 이슈는 글로벌 교역 환경에 영향을 줄 수 있다. 타깃형 상호 관세로 전환 시 특정 국가와 품목에 따른 시장 반응(특히 수출주 중심)이 주목된다. 유럽과 미국의 PMI 데이터는 제조업과 서비스업 경기 흐름을 가늠할 척도인데, 최근 경기 둔화 우려를 고려하면 예상치를 하회할 경우 달러 강세와 위험자산 회피 심리가 강화될 수 있다.

3/25(화): 소비자신뢰지수는 고용시장의 세부 항목(일자리 풍부, 구직 어려움)을 통해 최근 고용 위축 신호를 확인할 기회다. 지표가 예상보다 부진하면 연준의 정책 전환(완화 가능성)에 대한 기대가 커지며 금리와 주식시장에 영향을 줄 수 있다. 한국 소비자신뢰지수도 내수 경기 흐름을 점검하는 데 유의미하다.

3/26(수): 영국 CPI는 BOE의 금리 정책 방향에 단서가 된다. 미국 내구재주문은 제조업 회복 정도를 보여주는데, 최근 소비 둔화 추세를 감안하면 큰 반등은 기대하기 어려울 수 있다. 카시카리 총재 발언은 매파적 기조가 유지되는지 주목할 필요가 있다.

3/27(목): 미국 GDP 성장률은 시장 예상치와의 괴리가 금리 및 달러 움직임을 좌우할 핵심 지표다. 중국 상업기업 이익은 글로벌 수요와 공급망 회복 정도를 간접적으로 점검할 수 있어 관련 주식(특히 원자재, 산업재)에 영향 가능성 있다. ECB 보고서와 라가르드 발언은 유로존 통화정책 방향을 가늠케 한다.

3/28(금): PCE 가격지수는 이번 주 하이라이트다. 의류, 컴퓨터, 의료 등 PCE에서 비중이 큰 품목의 높은 가격 수준이 지속된다면 물가 안정 기대가 꺾일 수 있다. 시장 예상에 부합 시 금리와 달러 안정으로 주식시장에 긍정적일 수 있지만, 상회 시 금리 상승과 달러 강세로 이어져 위험자산에 부담이 될 가능성 높다. 소비자심리지수(확정치)는 추가적인 소비 심리 변화를 점검하는 데 유용하다.

시장 및 투자 심리

FOMC에서 파월 의장의 경기 자신감 표명으로 주식시장이 단기 상승했지만, 선물옵션 만기일 수급과 펀더멘탈 기반이 아닌 낙관적 반응만 좇는 모습은 시장 취약성을 보여준다. 개인투자자 심리지수에서 하락 전망이 4주째 60% 내외를 기록하는 점은 투자 심리가 여전히 위축되어 있음을 시사한다. 변동성은 지속될 가능성이 높고, 4월 15일 소득세 신고에 따른 매도 압력도 단기적으로 시장에 부담을 줄 수 있다.

종합 판단

이번 주는 고용(소비자신뢰지수, 신규실업수당)과 물가(PCE 가격지수)가 시장 방향성을 결정짓는 핵심 변수다. 고용시장이 급격히 위축되거나 PCE가 예상보다 높게 나오면 연준의 매파적 기조 강화로 금리 상승과 달러 강세가 나타날 수 있다. 반대로 예상치 부합 시 안정적 흐름으로 주식시장에 긍정적일 가능성 있다. 다만, 시장의 약한 펀더멘탈과 투자 심리 위축을 감안하면 변동성 대비가 필요하다. 관세 조정과 글로벌 지표(PMI, GDP)도 단기 시장 반응에 영향을 줄 수 있으니 주목해야 한다.


320x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