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U.S stocks [2025] ISSUE arrangemet

연준은 앞으로 추가적인 신호가 확실히 필요

반응형

연준은 앞으로 추가적인 신호가 확실히 나와야지 다음 정책적 스텐스를 취할 수 있을듯함.

트럼프 관세전쟁의 대응으로 QT중단하는 선제적 대응한건 매우좋긴한데... 이 이후로는 어떤식으로 움직이는지 좀더 지켜봐야할듯 합니다.

보고서: 연준의 'Net Effect' 개념 분석

1. 'Net Effect'의 정의

의미: 트럼프 정부 정책이 경제와 물가의 큰 흐름을 실질적으로 변화시키는지 여부를 평가하는 개념.

연준의 입장: 정책 효과가 있더라도 미국 경제 펀더멘털의 방향성을 명확히 확인 후 통화정책으로 대응.

해석: 기존 'Data Dependent' 프레임워크에 'Policy Dependent'가 추가. 'Net Effect'는 'Policy Dependent'를 설명하는 핵심 문구.

2. 'Net Effect'의 이해를 위한 비유

예시:

내가 누군가를 싫어하는 감정(트럼프 정책)을 마음속으로만 품고 있으면 관계(경제·물가)에 변화 없음 → 'Net Effect' 없음.

내가 그 사람을 때리면(정책 실행 후 실질적 영향 발생), 상대가 반응(경제·물가 변화) → 'Net Effect' 발생.

적용: 트럼프 정책이 경제와 물가에 미치는 실질적 결과가 'Net Effect'.

3. 현재 트럼프 정책의 경제적 영향

영향:

관세 불확실성 → 수입 의존 품목 가격 상승.

이민정책 강화 → 히스패닉 고용 위축.

한계:

헤드라인 물가 안정적.

고용: 흑인 고용 유입으로 히스패닉 유출 상쇄.

결론: 정책 영향 있으나 전체 흐름 변화 미미 → 'Net Effect' 아직 없음.

4. 연준의 대응 전략

상황: 'Net Effect' 미확인 → 연준은 관망.

'Data Dependent'와 'Policy Dependent'의 의미:

'Data Dependent': 데이터 확인 후 움직임(1~2개월 지연 가능).

'Policy Dependent': 정책이 물가·경제에 실질적 영향('Net Effect') 주는 지 확인 후 대응.

결론: 관세가 물가를 자극하거나 경제 둔화 여부 예단 않고, 'Net Effect' 확인 후 통화정책 결정.

5. 총평

연준은 트럼프 정책의 단편적 영향을 인정하나, 경제와 물가의 큰 흐름 변화('Net Effect')가 없어 통화정책 조정 미루는 중.

'Net Effect'는 연준의 신중한 접근을 설명하는 핵심 개념으로, 정책 효과의 실질적 결과 확인에 중점을 둠.


320x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