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U.S stocks [2025] ISSUE arrangemet

미국 증시 하락이유?

반응형

미국 증시 하락이유? (2025년 3월 27일)

1. 시장 개요

2025년 3월 27일, 미국 증시는 반도체 업종과 대형 기술주 중심의 하락으로 약세를 보였다. 주요 지수별로는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가 -0.31%, S&P 500이 -1.12%, 나스닥이 -2.04%, 러셀 2000이 -1.03%,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가 -3.27% 하락했다. 특히 나스닥과 반도체 지수의 낙폭이 두드러졌으며, 이는 미국과 중국 간 무역 분쟁 심화, 관세 불확실성, 그리고 주요 기술 기업들의 부정적 이슈가 겹친 결과로 분석된다. 반면, 필수 소비재와 유틸리티 등 경기 방어주는 상대적으로 견조한 모습을 보였다.

2. 주요 하락 요인

2.1 관세 불안

미국-중국 무역 분쟁: 미국과 중국 간 관세 이슈가 시장의 주요 불안 요인으로 작용했다. 트럼프 행정부가 자동차 관세 부과를 시사하며 캐나다, 멕시코 등에 대한 추가 관세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연준의 우려: 미니애폴리스 연은 카시카리 총재는 관세로 인한 소비 심리 악화와 신뢰 타격 가능성을 경고했으며, 세인트루이스 연은 무살렘 총재는 관세로 인한 물가 상승과 2차 파급 효과에 대한 불확실성을 강조했다.

2.2 반도체 업종: 엔비디아(-5.74%)

데이터센터 투자 축소 우려: TD코웬 보고서에 따르면, 마이크로소프트(MS, -1.31%)가 미국과 유럽의 데이터센터 건설 프로젝트를 취소 또는 연기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알리바바 회장의 과도한 자본지출 우려 발언도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중국 규제: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가 첨단 칩의 에너지 효율 규칙을 도입하며 엔비디아의 H20 칩 사용을 금지 권고했다. 이는 중국 내 매출 감소와 화웨이 등 경쟁사로의 시장 점유율 이동 우려를 낳았다.

트럼프 블랙리스트: 안보를 이유로 발표된 약 80개 블랙리스트 기업에 엔비디아의 주요 고객(Inspur Group, Sugon 등)이 포함되며 매출 부진 가능성이 부각되었다.

연쇄 하락: 엔비디아 하락은 TSMC(-4.09%), ARM(-7.52%), 브로드컴(-4.78%) 등 반도체 기업과 슈퍼마이크로컴퓨터(-8.86%), 델(-2.63%) 등 AI 서버 관련 기업으로 확산되었다.

2.3 전기차 업종: 테슬라(-5.58%)

경쟁 심화: 중국 비야디(BYD)가 해외 판매 목표를 80만 대로 상향하며 경쟁이 가속화되었다.

관세 및 비용 증가: 트럼프 행정부의 자동차 관세 시사와 캐나다 보조금 삭감으로 투입 비용 증가 우려가 커졌다.

실적 부진 가능성: 경쟁 심화와 비용 증가로 테슬라의 향후 실적이 부진할 수 있다는 전망이 하락을 부추겼다.

연쇄 효과: 리비안(-2.10%), 루시드(-3.09%) 등 전기차 업체와 GM(-3.12%), 스텔란티스(-3.55%) 등 완성차 업체도 동반 하락했다. 다만, 포드(+0.10%)는 자체 생산 비중이 높아 상승 전환했다.

2.4 대형 기술주: ‘수익화 논란’ 재부각

MS(-1.31%), 알파벳(-3.27%), 메타(-2.45%), 아마존(-2.23%) 등은 과도한 자본지출과 수익화 우려로 하락했다. 알파벳은 젊은 층의 ChatGPT 선호 소식으로 낙폭이 더 컸다.

소프트웨어 및 AI 관련주(팔란티어 -4.37%, 오라클 -3.98%)도 동반 부진했다.

3. 특징 종목 및 업종별 동향

반도체 및 AI 관련주: 엔비디아와 AMD(-4.02%), 인텔(-3.22%) 외에도 마이크론(-2.18%), AMAT(-1.93%) 등이 하락하며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3.27%)를 끌어내렸다.

전기차 및 관련주: 테슬라 외에 퀀텀스케이프(-2.77%), 앨버말(-2.51%) 등 2차 전지 업체와 EVGO(-2.11%) 등 충전 업체가 부진했다. 반면, 자동차 부품 업체(마그나 +1.18%, 리어 +1.57%)는 관세 면제 기대감으로 상승했다.

경기 방어주: 코카콜라(+1.76%), P&G(+2.29%), AT&T(+1.24%), 넥스트라 에너지(+1.66%) 등 필수 소비재, 통신, 유틸리티 업종이 강세를 보였다.

중국 관련주: 알리바바(-0.38%), 핀둬둬(-2.22%)는 관세 이슈로 하락했으나, 진둥(+0.75%), 바이두(+2.22%) 등은 상승하며 엇갈린 모습을 보였다.

4. 글로벌 시장 및 자산 동향

한국 증시: MSCI 한국 ETF(-0.46%), KOSPI 야간 선물(-0.69%)이 하락하며 미 증시 약세를 반영했다. 달러/원 환율은 1,467.30원으로 소폭 상승했다.

FICC:

달러화: 관세 이슈와 연준의 물가 우선 발언으로 강세를 보였다.

국제유가: 베네수엘라 관세 경고와 원유 재고 감소 소식으로 상승했다.

국채 금리: 관세 불안과 내구재 주문 호조로 상승했으나, 연준 우려로 상승폭이 제한되었다.

금: 안전자산 선호에도 달러 강세로 약보합을 기록했다.

5. 결론 및 전망

오늘 미 증시는 관세 불확실성, 전기차 업종의 경쟁 심화로 하락세를 보였다. 엔비디아와 테슬라를 필두로 한 기술주 하락은 AI 및 전기차 산업 전반에 영향을 미쳤으며, ‘수익화 논란’이 재부각되며 투자 심리를 위축시켰다. 반면, 향후 관세 정책의 구체화와 연준의 추가 발언이 시장 방향성을 결정짓는 주요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320x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