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스닥의 역대 주요 폭락 사례를 원인과 결과
ㄴ음...평균 하락대비 이제 16% 하락했네요 15%는 추가하락할 수 있는건가 아니면 빠질만큼 빠진 자리일까?
원인:
인터넷 기업 과대 평가: 1990년대 후반, 인터넷 스타트업들이 수익 없이 과도한 투자와 주가 상승을 경험하며 버블 형성.
투기적 투자: 투자자들이 재무 기반 없이 미래 성장만 믿고 몰려듦.
금리 인상: 연준의 1999-2000년 금리 인상으로 자금 조달 비용 증가.
수익성 부재 드러남: 2000년 초, 닷컴 기업들의 실적 부진이 드러남.
결과:
나스닥 지수 급락: 2000년 3월 최고점 5,048에서 2002년 10월 1,114까지 약 78% 하락.
기업 파산: Pets.com 등 다수 파산, 일자리 손실.
투자 신뢰 하락: 기술주 신뢰 붕괴, 벤처 투자 감소.
장기 영향: 수익성 중심으로 산업 재편.
2. 글로벌 금융위기 (2008-2009)
원인:
서브프라임 모기지 붕괴: 미국 부동산 대출 부실 확산.
금융기관 파산: 2008년 9월 리먼 브라더스 붕괴로 신뢰 붕괴.
경제 침체: 소비 위축과 기업 실적 악화.
투자 심리 악화: 공포 확산으로 매도 급증.
결과:
나스닥 지수 하락: 2007년 10월 2,859에서 2009년 3월 1,265까지 약 55% 하락.
기술 기업 타격: 중소 기업 자금난 심화.
정부 개입: 구제 금융과 양적 완화로 회복 유도.
장기 회복: 2010년부터 기술주 반등.
3. 코로나19 초기 충격 (2020년 2-3월)
원인:
팬데믹 공포: 봉쇄로 경제 활동 급감.
공급망 붕괴: 하드웨어 생산 차질.
투자자 불확실성: 백신 개발 불확실성으로 매도.
유가 폭락: 2020년 3월 유가 전쟁으로 혼란 가중.
결과:
나스닥 지수 하락: 2020년 2월 9,817에서 3월 6,860까지 약 30% 하락.
빠른 회복: 연준 유동성 공급과 디지털 수요 증가로 반등.
양극화: 디지털 경제 기업 성장 가속.
장기 효과: 2020년 말 12,888로 최고치 경신.
4. 2022년 인플레이션 및 금리 인상 폭락
원인:
인플레이션 급등: 공급망 문제와 에너지 가격 상승.
연준 금리 인상: 2022년 금리 0%에서 4.25-4.5%로 급등.
투자 심리 위축: 성장주 매력 감소.
지정학적 불안: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결과:
나스닥 지수 하락: 2021년 11월 16,057에서 2022년 12월 10,213까지 약 36% 하락.
기술주 폭락: 메타, 테슬라 등 50% 이상 하락.
해고 물결: 비용 절감으로 대규모 정리해고.
장기 전망: 2023년 AI 붐으로 회복세.
5. 현재 나스닥 상황 (2025년 4월 기준)
원인:
최신 데이터 기준: 2025년 4월 4일 나스닥 지수는 15,587.79로, 2024년 7월 10일 최고점 18,647(Statista 기준) 대비 약 16.4% 하락. (계산: (15,587.79 - 18,647) / 18,647 × 100 ≈ -16.4%)
추정 원인: 최근 X 포스트와 시장 동향을 종합하면, 금리 인상 지속,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 불확실성, 인플레이션 우려 등이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 예를 들어, 2025년 4월 3일 X 포스트에서 나스닥 선물이 -3% 이상 급락하며 빅테크 주식(테슬라, 애플 등)이 프리마켓에서 큰 하락을 보였다고 언급됨.
시장 반응: 2025년 4월 5일 X 포스트에 따르면, 금요일 나스닥이 -6%, 목요일 -5%대를 기록하며 "역사적인 하락폭"으로 평가됨.
결과:
현재 하락폭: 2024년 고점(18,647) 대비 2025년 4월 4일 15,587.79로 약 16.4% 하락. 단기적으로는 2025년 4월 초 며칠간 급락(일부 날 -5%~-6%)이 두드러짐.
영향: 빅테크 주식의 하락이 지수를 끌어내리며, 중소형 기술주는 더 큰 타격을 받았을 가능성.
전망: 금리 정책, 지정학적 요인, 기업 실적에 따라 변동성 지속 예상.
공통 패턴과 교훈
원인 공통점: 과도한 낙관론, 외부 충격(금리, 전쟁, 전염병), 거품 붕괴.
결과 공통점: 단기 손실과 공포, 장기적으로 구조 조정 후 회복.
나스닥 특성: 기술주 중심으로 변동성이 크지만, 혁신으로 회복력 강함.
현재 나스닥은 2024년 고점 대비 약 16.4% 하락한 상태로, 과거 폭락 사례(30%~78%)에 비하면 아직 상대적으로 덜 심각하지만, 단기 급락세는 주목할 만합니다.
'U.S stocks [2025] ISSUE arrangemet'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증시 폭락의 원인을 분석한 내용 (5) | 2025.04.06 |
---|---|
알렉산드르 유리예비치 피추시킨 러시아 연쇄 살인범 (6) | 2025.04.06 |
캘리포니아 주지사 개빈 뉴섬의 독자 무역 추진 배경 및 이유? (5) | 2025.04.06 |
미국 대통령 선거 결과가 주식 시장에 미치는 영향 (6) | 2025.04.06 |
트럼프 정책과 미국 증시 반등 가능성 (8) | 2025.04.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