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다우 나스닥 시황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이 전월비 예상치 상회

반응형

【Bloomberg News, cpi문제없이 무난하게 나오고
미장이 계속 잘 올라가네요 다우 나스닥 신고가 매매로 진입하는 모습이 대단합니다

1. 미국 CPI, 대체로 시장 예상 부합

11월 미국의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이 전월비 0.1%로 시장 예상치와 이전치 0.0%를 상회했다. 전년비로는 3.1%로 이전치 3.2%에서 둔화됨. 식료품과 에너지 비용을 제외한 근원 CPI 상승률은 전월비 0.3%으로 이전치 0.2%에서 약간 높아졌고, 전년비로는 4.0%를 유지. 보다 구체적으로 보면 헤드라인 CPI의 약 3분의 1을 차지하는 주거비가 0.4% 올라 휘발유 가격 하락을 상쇄. 이코노미스트들은 꾸준한 주거비 진정세가 근원 인플레이션을 2%로 끌어내리는 데 필수적이라고 말함. 블룸버그 계산 결과 주거비와 에너지를 제외한 서비스 물가의 상승률은 전월비 0.4%로 이전치에 비해 높아짐.
Santander US Capital Markets의 수석 미국 이코노미스트인 Stephen Stanley는 “1년 전보다는 나아졌지만 기저 인플레이션 추세의 경우 여전히 2%와 거리가 멀어 현 시점에서 연준의 완화가 눈앞에 있다고 말하기 어렵다”며, “조기 금리 인하를 둘러싼 시장의 낙관론이 현재로선 시기상조인 듯하다”고 진단. 블룸버그 이코노믹스는 11월 근원 인플레이션이 전월비 약간 올라 연율 3%에 가깝지만, 지난 6개월에 걸쳐 디스인플레이션이 상당히 진전되었고, 중국의 디플레이션 역시 핵심 품목의 물가에 또다른 디스인플레이션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지적.

2. 내년 연준 금리 인하 베팅 약간 후퇴

미국 11월 CPI 지표가 시장 예상에 대체로 부합하게 나온 가운데 트레이더들은 내년 공격적인 연준 금리 인하 베팅을 다소 되돌림. 스왑시장은 이제 내년 연준이 총 108bp 내릴 것으로 가격에 반영 중이며, 첫 인하 시기는 여전히 5월로 보고 있다. 미국채 2년물 금리는 CPI 발표 직후 8bp 가까이 하락했으나 이후 반등을 시도. First Citizens Bank Wealth Management의 Phillip Neuhart는“헤드라인 연간 인플레이션이 오늘 지표에서 또다시 개선되었지만 근원 인플레이션은 아직 연준의 2% 목표보다 두 배 높다”며, “FOMC는 추가적인 기저 인플레이션 개선을 확인한 후에야 금리를 내리려 할 것”이라고 전망. Fitch Ratings의 Olu Sonola는 이번 CPI 지표가 “내일 FOMC 금리 결정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진 않겠지만 연준에게 내년 3월 금리 인하는 시기상조임을 재확인할 수 있는 탄약을 제공한 셈”이라고 지적.
TD증권은 파월 연준의장이 FOMC의 비둘기파적 가이던스에 반해 기자회견에서 신중한 매파적 발언을 내놓을 것으로 예상. 경제와 노동시장이 크게 악화되지 않는 한 연준은 인플레이션이 2% 목표를 향한 분명하고 지속가능한 경로에 있다고 확신할 때까지 정책을 완화하려 하지 않을 것이라며, 이번 CPI 보고서가 그러한 확신을 주지 못했다고 진단. 반면 블룸버그 이코노믹스는 연준의 가파른 긴축으로 미국 경제가 이미 침체에 들어섰고, 고용 창출이 경기 불황에 덜 민감한 분야에 집중되어 있어 실제로 기저의 일자리 증가세는 훨씬 약하다며, 내년 3월부터 연준이 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

3. 옐런 美재무장관 ‘인플레이션, 2% 목표로 점진적으로 되돌아갈 것’

재닛 옐런 미국 재무장관은 인플레이션을 연방준비은행의 2% 목표로 되돌리는 데 있어서 “마지막 구간”이 특히 어려울 것으로 믿지 않는다고 밝힘. 그는 인플레이션이 “확실히 의미 있게 내려오고 있다”며, 인플레이션이 연준의 책무 및 목표에 부합하는 수준으로 점진적으로 하락하지 못할 이유가 없다고 현지시간 화요일 한 행사에서 주장. 앞서 미국 11월 근원 소비자물가지수는 전월비 0.3% 상승한 것으로 나타남. 옐런은 코로나19 이후 나타난 인플레이션 급등을 잡기 위해 실업률이 크게 올라야 한다는 이코노미스트들의 주장에 자신은 일관되게 반박해왔다고 덧붙임. 과거와 달리 이번엔 장기 기대 인플레이션이 급등하지 않았기 때문에 물가 진정을 위해 단지 경제를 정상화시키고 노동시장을 일종의 완전 고용 상태로 되돌려놓기만 하면 되었다고 설명. 다만 연준이 소방수 역할을 끝내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답변을 피함. 또한 미국의 재정 문제가 응급상황은 아니지만 장기 금리가 높은 수준에 머물 경우 국가 재정이 악화될 수 있음을 인정.

4. 중국, 대규모 부양책 대신 산업정책에 초점...‘기술자립 더 중요’

중국 최고 지도부가 산업정책을 내년 경제 우선순위로 제시함에 따라 대규모 부양책을 기대했던 투자자들이 실망할 것으로 보임. 11일-12일 베이징에서 열린 중앙경제공작회의에 시진핑 국가주석 등이 참석한 가운데 중국 당정은 “현대 산업 시스템 건설을 주도하기 위한 기술 혁신”의 활용을 강조하고, 디지털 경제와 인공지능(AI) 분야도 “활발하게” 발전시켜야 한다고 촉구. 많은 이코노미스트들이 부동산 위기와 경기 부진을 벗어나기 위해 보다 강력한 부양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해왔지만, 집권 공산당은 소비 지출을 촉진하기보다 고부가가치 제품을 생산하도록 기업을 지원하는 데 중점을 두었음.
Standard Chartered의 Ding Shuang은 “대규모 부양 신호가 없었다”며, 이번 회의에서 기술 자립이 더 중요하다는 사실을 보여줬다고 진단. 올해 경제성장률이 코로나19 봉쇄 해제에 따른 소비 반등 덕분에 약 5%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내년 성장률 목표도 비슷한 수준으로 정해질 것으로 보임. BNP파리바의 Jacqueline Rong은 산업정책 중시를 주목하고 “하이테크 산업 지원에 대한 강조는 높은 수준의 안보 및 공급측 개혁과 관련이 있다”고 지적. 이번 회의 성명서는 중국의 내수가 불충분하고 일부 산업이 생산과잉을 겪고 있으며 기대가 약하고 숨겨진 리스크가 많다고 지적. 또한 “외부 환경의 복잡성과 심각성,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고 우려.

5. 구글, 에픽게임즈에 패소...2000억불 앱스토어 산업 위협

구글이 에픽게임즈와의 소송에서 패배함에 따라 애플과 함께 장악한 한해 2000억 달러에 육박하는 글로벌 앱스토어 시장이 대격변의 위험에 처함. 샌프란시스코 배심원단은 현지시간 월요일 에픽게임즈가 구글을 상대로 제기한 반독점 소송에서 구글이 구글 플레이 앱 스토어와 구글 플레이 결제 서비스를 불법적 독점으로 운영했다며 만장일치로 에픽게임즈의 손을 들어줌. 구글의 모회사인 알파벳의 주가는 12일 장중 한때 1.4% 하락했다. 이번 판결로 소프트웨어 개발자에게 최대 30%의 결제 수수료를 부과하는 구글과 애플의 앱스토어 비즈니스 모델에 타격이 예상됨. 이미 이들의 앱스토어 정책은 전 세계적으로 규제당국과 정치인들로부터 공격을 받고 있음.
Tim Sweeney 에픽게임즈 최고경영자는 판결 후 블룸버그와의 인터뷰에서 “도미노가 쓰러지기 시작했다”며, “수수료 30%의 끝이 보인다”고 말했음. 2021년 판사의 판결로 에픽게임즈가 패소했던 애플과의 소송과 달리 이번엔 실제 소비자인 배심원단이 결정을 내렸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음. KeyBanc Capital Markets는 구글과 스마트폰 제조업체, 게임 개발자 간의 수익 공유 딜이 밝혀진 점이 구글에 패배를 안겨줬다고 진단.

예상 부합한 11월 CPI

도리어 유가 떨어지고 금리도 떨어지고

설레발인데 인플레 중에 경기둔화 (최악은 침체) 오래가는 스태그플레이션 걱정해야 하나

주식의 천당과 지옥

최근 일년여간 개인적으로는 주식 투자로 정말 어려운 시절을 보냈다. 미국 주식 레버리지 ETF 중에 TQQQ라는 것이 있는데 그 종목에 많은 투자를 했다가 무려 -83%를 구경했다. 최고가가 92불인가 였는데 최저가가 16불 언저리여서 최고가 대비 17%만 남는 대참사를 경험했다.

그 와중에 LABU 같은 이상한 종목이 있었는데 최근 이 종목은 20:1로 병합을 해야만 거래액이 유지가 될 정도로 동전주가 되었다.

이런 시절을 지날 때는 그저 물타기가 최고인데 작년말에는 집안에 몇년간 현금 들어갈 일이 있어서 그나마 물 타기를 못했다. 아직도 TQQQ는 마이너스지만 그간 저가 대비 세배는 올라서 한숨 돌리고 있다.

그 막막한 일년여 간의 세월을 지나 아마도 오늘 쯤이면 전체 계좌가 플러스로 변할 수 있을지 기대해 본다. 이자와 배당빼면 마이너스 지만 그래도 전체평균 -50% 였던게 똔똔이라니 ...

보통 수억씩 수익이 나도 불평 불만이 많은데 이렇게 마이너스 80%를 경험해 보면 본전만 해도 감지덕지 하게된다.

주식투자 기법중에
라오어의 무한매수법이나
라오어의 벨류리벨런싱 방법을 추천한다.

무한매수법은 모두들 다 잘아는 방법 이지만 혹시라도 모르신다면 공부해 보시기를 추천한다.

본전 회복에 상당한 도움이 되었다. 투자에 게으른 사람이 관심을 갖고 접근해 볼만하다.

주식은 채권에 비해 변동성이 심하다. 이 변동성을 x3한것이 레버리지 etf 인데 미국 나스닥 상위 100개를 선정해서 지분별로 희석을 한것이 QQQ라는 종목이고 세배 짜리가 TQQQ라는 종목이다.

2021년 미국 정부 채권 이자율이 0.25 에서 5.5%까지 수직 상승하고 긴축을 해서 통상 고점대비 주식 가격은 -30%가 되었다. 세배 레버리지는 과연 하락율 에서도 명불허전이라 -83%를 구경했다.

몇몇 종목은 액면 합병중에 동전 몇개 주고 사라지기도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전을 향해가고 있다. 아니 거의 본전이 되었다. 엔비디아나 애플, AMD 이런 주식이 큰 도움이 되었다. 하여간.

우리나라 출산율 저하로 장기적으로 부동산 투자가 썩 좋아보이지 않는다. 특히 아파트 등 ...

60대와 70대 중산층의 주요 재테크 수단이 아파트 였다면 앞으로 세상은 미국 주식아닐까 생각한다. 미국의 채권 발행액은 33조 달러에 달한다. 내 희미한 기억에 미국의 달러 채권 발행액이 2조 달러 쯤 이었는데 이게 빚만 33조 달러가 되었으니 앞으로 미국 국채발행 규모는 300조나 500조 달러가 된다는 말씀이다. 즉 현금은 장기적 으로는 휴지로 변한다는 이야기.

인플레이션을 헷지하는 방법이 부동산과 주식인데 부동산은 인구감소로 인해 장기적으로 하향세를 타지 않을까?

하향세라도 주요 거주지는 인플레이션 정도는 따라갈 것이다. 지방이 소멸되서 문제지.

사회보장제도가 발전되지 않은 나라에서 국민연금만 믿고 살 수 없는 상황이다. 국민연금은 용돈 정도 ...

이럴때 헷지수단이 수익형 부동산인 상가나 주식인데 상가투자로 수익 얻기가 쉽지 않다. 주식은 나름 똑똑한척 하는 나도 -50%를 구경했다.

그럼 어쩌란 말인가?

장기적으로 국민 모두가 미국 주식 투자를 일부해야 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한국 주식도 애국하는 마음으로 사야 하지만 대주주의 사기성 재산처리와 미비한 금융관련 법 집행으로 국내 주식을 잘 운용하기는 어렵다.

결국 미국주식 ...
라오어의 무한매수법이나
벨류리벨런싱을 참고하시기를 강추한다. 10-20년 후 충분한 노후 대책이 될것이다. 각자도생의 대한민국을 살아가기 위해서는 국민이 똑똑해야 한다.

제목이 주식의 천당과 지옥인데 지옥은 경험해 보았고, 지옥에서 나와 평지에 다다르니 이곳이 천당같다. 작년 한해는 인생에 정말 귀한 경험이고 학습 이었다.

아무리 생각해도 이쪽으로 내년에는 분위기가 더 험악해 질 것 같은데, 특히 최근에 송도쪽에 신축 브랜드 대단지 아파트 경매건들도 수두룩함. 각자의 사정은 있겠지만 그만큼 영끌을 했든 무리를 했든 들어온 사람이 많다는거 아닐까 싶음.

울동네 지금 권리 지저분하지 않은 건들이 1회 유찰되서 국평기준 4억후반부터 5억대 건들이 꽤 있는데 최근 실거래가 대비 수억싼거라 누군가에겐 기회일듯. 우리 옆동도 나왔더라.🤦‍♀️

나도 한 작년부터는 인천 연수구,광명,용산,마포,영등포,구로,금천의 경매 매물들은 꾸준히 모니터링 중이긴한데.

작년말에 광명역 주복 84들 7억 대로 유찰되서 나온거 하고 철산 이편한센트레빌 50평 6억대까지 유찰된거 낙찰못받은게 지금 생각해도 속쓰림. 그게 기회였다. 또 오겠지 뭐. 그래서 일정이상의 현금을 항상 들고 있어야 한다고 생각함.

1927년 한반도 최초의 비료공장이 흥남에 세워졌다. 1913년 카를 보슈가 독일에서 최초로 암모니아를 하루 13톤 생산한 이후 불과 14년만이다. 이게 어떻게 가능했을까? 불가사이한 일이다. 당시는 독일까지 다녀오는데만도 대충 1년은 걸리지 않았을까 싶은데, 당시의 최첨단 산업기술이 그렇게 빨리 확산되었다는게 잘 믿기지 않는다.

프리츠 하버는 암모니아를 합성하는 방법을 개발해서 “공기로 빵을 만든 과학자”라는 칭송을 받았다. 노벨화학상을 받았지만 그는 독가스를 만드는 일에 참여해서 빛이 바랬다. 보슈는 우리가 아는 독일기업 보쉬 창업자의 조카이다.

또 놀라웠던 건 1950년대 아무것도 없던 시절에도 충주에 비료공장을 세웠다. 1970년대까지 여기저기 비료공장이 세워졌다. 그러던 것이 2010년에 암모니아를 합성해서 요소를 생산하던 남해화학 생산시설이 마지막으로 문을 닫았다. 더 이상 우리나라에서는 암모니아를 합성하지 않는다. 그래도 한해 가축분뇨로만 대략 200만톤의 암모니아 또는 질산태 질소를 배출한다. 우리나라에서 필요한 요소나 요소수 수요의 2배가 훨씬 넘는다. 요즘은 또 10만톤도 되지 않는 요소수 때문에 난리이다. 불과 2년 전에 한바탕 난리를 친 이후 다시 벌어진 일이다. 중국에서 90%를 의존하다가 발생한 문제인데, 암튼 이것도 불가사이 하다.

가만히 보면 세계 각 나라는 뭘 사고 팔면서 서로 대화를 하는 듯하다. 미국은 주로 무기와 첨단기술을 대화의 수단으로 쓰고 중국은 자원과 원자재를 그 수단으로 쓴다. 예전엔 콩을 미국과 대화할 때 사용했다. 대화를 하다보면 언성이 높아지는데, 그러다보면 희토류 금속이나 흑연, 인산까지 확대될 수도 있을 것같다. 그렇지만 우리는 말싸움을 끝낼 수단이 없다. 반도체 공장의 주인은 우리가 아니라는 걸 미국이 확인시켜줬다. 여기까지 오면 그럼 식량을 대화의 수단으로 쓰지 않을까라는 우려를 하기 마련이다. 주로 국내 물가안정을 이유로 식량 수출제한 조치가 내려진다. 잘 모르겠지만 매년 수 십개 나라에서 그런 조치가 내려진다.

지금 돌아가는 상황을 보면 우리나라에서도 결국 암모니아를 다시 생산하게 될 모양이다. 그렇게되면 어쩔 수 없이 관세를 높여서 국내산과 가격 경쟁이 가능하게 만들어야 할 것이다. FTA를 다 맺어나서 그게 가능할건지는 모르겠지만. 그럼 2천만톤 가까이 수입하는 곡물은 어떨까? 우리는 대화할 준비가 되어 있을까?

320x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