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16일 시황. 금융, 에너지, 테슬라 오르고. 빅테크 내리고
◎ 해외 증시
예상 하회한 소매판매 수치에 금리 내리며 증시 반등
테슬라 제외한 빅테크 하락, 에너지, 금융 등은 강세
1월 소매판매 예상 -0.2% 보다 낮은 -0.8% 기록
산업생산도 예상 0.2% 증가 하회한 -0.1%
연말 쇼핑 시즌 직후라 감소가 예상되었음
긍정적 측면은 물가 둔화 요인. 부정적 측면은 경기 우려
아트 호건, 원래 1월은 계절적 변수가 많은 달
연말 쇼핑, 날씨 등 변수 등 영향이라 추세 더 봐야
실제 신규실업수당, 주택시장지수 등은 예상 보다 강했음
경기 침체 조심으로 해석할 상황은 아니라고 보는 것
일단 금리 하락, 달러 약세에 증시는 상승
애틀란타 연은 GDP NOW는 3.4%에서 2.9%로 하락
주요 금융사들 금리 전망은 여전히 분분
UBS, 이번 데이터 영향없으나 이 후 수치 모니터링 할 것
옵션 시장에서는 금리 재인상 베팅도 등장
FedWatch 기준 첫 금리인하 예상 시점은 6월로 후퇴
다리오 메시, 금리 오르더라도 작년 고점 못 넘길 것
알파벳이 하락하며 전체 지수 끌어 내린
ChatGPT가 구글 검색에 도전하는 검색엔진 개발 보도
애플은 작년 버핏이 지분 줄였다는 보도에 약세
반면 버핏이 에너지주 비중 늘렸다는 보도에 관련주 강세
JP모건, 디즈니도 52주 신고가 경신
테슬라는 머스크가 지분 20.5% 확보했다는 보도에 강세
작년 5월 13%에서 크게 증가한 것
3억주 스톡옵션 행사시 더해지는 지분으로 보임
보유 주식수 자체는 5월과 동일한 4.1억주 수준
HSBC, Magnitive 7은 IT 버블 때와 달라
당시 주요 기술주 5배 상승, 지금 팬더믹 이 후 4배
현재 P/E 27배로 당시 40배와는 큰 차이
도이체 방크, 반도체 투자 확대로 공급 과잉 가능성
미중 마찰로 두 나라 포함 설비투자 확대 중
미국 10년간 투자 규모 3배, 유럽은 점유 10%에서 20% 목표
◎ 주요 지표
달러인덱스 104.28 (-0.42%)
국제유가 78.17달러 (+2.0%)
변동성지수 14.12 (-1.81%)
10년물 금리 4.242%
MSCI 한국지수 -0.11%
야간선물 +0.53%
◎ 전망과 전략
최근 코스닥 시장이 상대적으로 강함
절대적 가치 보다 상대적 주가 부담을 주목하는 것
즉, 많이 오른 것 보다 덜 오른 종목들 선호 현상
저PBR주들도 추가 상승 유력하나 단기로는 많이 오른
코스닥은 아직 가격 부담이 큰 위치는 아님
ADR 기준으로 보면 과매도에서 조금 벗어난 수준
종목 장세, 순환매 정도는 조금 더 이어질 가능성
향 후 시장 고비는 엔비디아 실적과 PCE 발표
AI주 추가 상승, 진짜 인플레 수치에 반응 클 것으로 보임
다만 큰 흐름으로는 상승, 매물 소화 재상승 가능성에 무게
올해 외국인은 역대 가장 강한 매수 페이스 보이는 중
12개월 선행 P/E 보면 신흥 시장이 미국 절반 수준
경기 침체 없다 보고 매수하는 것으로 보임
이 기조는 당분간 유지될 것으로 판단
시황 측면 보다 업종별 수급에 집중해야할 시기
꾸준하게 실적주 특히 턴하는 종목들 관심 집중
출처 시황맨
ㅡㅡㅡㅡㅡㅡㅡ
2/16(금) 센티
● 2차전지
머스크, 스페이스X 법인 소재지 델라웨어→텍사스로 옮겨
에코프로: 에코프로, 에코프로비엠, 에코프로에이치엔
코스모: 코스모화학, 코스모신소재
포스코: 포스코퓨처엠, 포스코인터내셔널, 포스코스틸리온, POSCO홀딩스
엔켐: 엔켐, 광무, 중앙첨단소재
전해액: 엔켐, 솔브레인홀딩스, 동화기업
신사업: 노루페인트, 하이비젼시스템, 노루홀딩스
전구체: 에코앤드림, 덕산테코피아, 미래나노텍, 씨아이에스
리튬: 하이드로리튬, 리튬포어스, 이엔플러스, 금양
전고체: 이수스페셜티케미컬, 레이크머티리얼즈, 한농화성, 이수화학
폐배터리: 스맥, 새빗켐, 성일하이텍
LFP: 소프트센, 켐트로스
CNT: 제이오, 나노신소재
기타: 세방전지, 엘앤에프, 금양
● 반도체
슈퍼마이크로컴퓨터, AI 기반 수요 증가 ‘매수’ - BofA
반도체: 한미반도체, 퀄리타스반도체, HPSP, 제주반도체, 이수페타시스, 미래반도체, 하나마이크론, 어보브반도체, SFA반도체, 주성엔지니어링, ISC, 오픈엣지테크놀로지
반도체2: 매커스, 큐알티, 에이직랜드, 칩스앤미디어, 테크윙
CXL: 네오셈, 오킨스전자, 엑시콘, 큐알티, 오픈엣지테크놀로지, 퀄리타스반도체
ARM: 가온칩스, 에이디테크놀로지, 넥스트칩
대형: SK하이닉스, 삼성전자
● 자동차
차: 현대자동차, 현대모비스, 기아
차2: 서연, 서연탑메탈, 모베이스전자, 성우하이텍, 화신, 모베이스, 에스엘, 서연이화
HEV: 코리아에프티, 폴라리스세원
타이어: 금호타이어
● 저PBR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 인센티브 방안 '솔솔'…이달 중 발표
금융: 롯데손해보험, KB금융, 삼성생명, 다우기술, 삼성카드, 한화투자증권, 키움증권, 신한지주, 한화손해보험, NH투자증권, 메리츠금융지주, 한국금융지주, 미래에셋증권, 유안타증권, 하나금융지주, 삼성증권, 교보증권, DGB금융지주, DB손해보험, 우리금융지주, 한화생명, 제주은행, 푸른저축은행
지주: 에코프로, SK스퀘어, 세아베스틸지주, 삼성물산, 동국홀딩스
화학: 롯데케미칼, 태광산업, LG화학
게임: 더블유게임즈
● 초전도체
초전도체: 씨씨에스, 고려제강, 파워로직스, 신성델타테크, 신성에스티
초전도체2: *덕성*, 서남, 모비스, 인지디스플레, 모비스
● AI 로봇
로봇: 에브리봇, 알에스오토메이션, 레인보우로보틱스, LIG넥스원, 로보스타, 두산로보틱스, 에스피지, 인탑스, 뉴로메카, 고영
삼성: 이랜시스, 레인보우로보틱스, 이삭엔지니어링
포스코: 대동기어, 포스코DX, 대동스틸, 대동
촉각: 이미지스
AI: 이스트소프트, 폴라리스오피스, 한글과컴퓨터, 슈프리마에이치큐, 플리토
갤럭시링: 드림텍, 슈프리마에이치큐, 인터플렉스
● 크립토
코인: 우리기술투자, 위지트, 한화투자증권
토큰증권: 갤럭시아에스엠, 아이티센, 다날, 한화투자증권, 서울옥션, 갤럭시아머니트리, FSN, 케이옥션
CBDC: 케이씨에스
게임: 위메이드, 위메이드맥스, 위메이드플레이, 컴투스홀딩스, 컴투스
● 신규주 등
신규주3: 에스피소프트, 신성에스티, DS단석, 워트
신규주2: 신성에스티, 우진엔텍, 현대힘스, 레이저옵텍, 이닉스, 스튜디오삼익
신규주: 에코프로머티, 두산로보틱스, LS머트리얼즈
경영권분쟁: 한미사이언스, 금호석유
매각: 롯데손해보험
이전상장: 에코프로비엠, HLB
주식분할: 이수스페셜티케미컬
● 헬스케어
헬스케어: 펩트론, 케어젠, 삼천당제약, 아이센스
플랫폼: 한올바이오파마, 알테오젠, 레고켐바이오
HLB: HLB
● 기타
[속보] '빅5' 전공의대표들 "20일 6시 전원 병원 떠나겠다"
방산: 한화에어로스페이스, LIG넥스원, SNT다이내믹스
재건: 삼부토건, 웰바이오텍, 디와이디
트위치철수: 아프리카TV
신용: SCI평가정보, 제주은행, 푸른저축은행
코스피200: 포스코DX
케이뱅크: 인지소프트
토스: 이월드
성림첨단산업: 현대비앤지스틸
네이버웹툰: 엔비티
DN솔루션즈: DN오토모티브
인적분할: SK디앤디
(구) 무증: 소룩스
분할상장: 코웰패션
코스피
5일선: 위
주도: 테마, 수급
손절, 대금, 등락, 신선, 연속, 상징, 의외, 순환
Morning Report(2024.02.16.금)
☀️모닝 브리핑
전일 미국 증시는 소매판매 감소 소식에 국채금리 하락 속 3대 지수 상승 마감하였습니다. 주요 체크 사항은 아래와 같습니다.
1. 러셀2000 +2.32% 상승하며 중소형주 강세 흐름
2. 신규실업수당 청구 예상치 하회
3. 아마존 -0.80%, 마이크로소프트 -0.76%, 엔비디아 -1.42%, 구글 -2.42%, 메타 +2.58%, 테슬라 +5.35%
금일 국내 증시 주간 마지막 거래일로써 주간 강세 섹터의 빠른 순환매를 예상하여 제공해 드리는 키워드 플로우 및 텔레그램(구독자) 오전 브리핑 자료를 통해 관심종목 편입을 해두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예상 주요 섹터
LG에너지솔루션, '테슬라 배터리' 이르면 8월 오창에서 생산한다
LG에너지솔루션이 차세대 4680(지름 46㎜·길이 80㎜) 원통형 배터리를 이르면 올해 8월부터 양산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4680 배터리는 미국 전기차 기업 테슬라에 공급될 것으로 업계는 예상하고 있다.
김동명 LG에너지솔루션 사장은 15일 서울 서초구 JW 메리어트 호텔에서 열린 한국배터리산업협회 이사회·총회 참석 전 기자들과 만나 이같이 말했다.
김 사장은 이날 차세대 배터리 생산 계획을 묻는 기자들의 질문에 "우선 한국에서 하반기에 (4680 원통형 배터리) 양산을 시작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중국 난징 공장 등에서 만드는 방안에 대한 질문에는 "여러 가지 방법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회사 측은 충북 청주시 오창 에너지플랜트에 4680 배터리 생산 라인을 깔고 양산을 준비해왔다.
아울러 김 사장은 중저가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양산 시점은 2025년 하반기 정도일 것으로 예상했다. 또 현대차그룹과 합작해 인도네시아에 짓는 HLI그린파워 배터리셀 공장은 4월 가동에 들어갈 예정이라고 그는 전했다. HLI그린파워는 현대차그룹과 LG에너지솔루션이 50%씩 지분을 갖고 약 11억 달러(약 1조5,000억 원)를 투입해 차린 합작 법인이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69/0000785653
관련주 : 케이엔에스, 나인테크, 디에이테크놀로지, 세아메마닉스, 나라엠앤디, 에이치와이티씨, 디이엔티, TCC스틸
'미국증시 중요 뉴스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비자물가지수(CPI)에 이어 생산자물가지수(PPI)도 예상보다 높게 상승 (22) | 2024.02.17 |
---|---|
미국 은행 수십 곳, 상업용 부동산 대출 급격히 늘려 (27) | 2024.02.16 |
소매판매 부진에도 미국 증시는 상승 마감했습니다. (19) | 2024.02.16 |
대형 기술주 중심으로 차익 실현 매물 출회 (20) | 2024.02.16 |
옛날 버블증시와는 다르다. (28) | 2024.0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