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상영님시장리뷰 ㅣ 미 증시, 높은 물가 우려로 상승 반납 후 개별 종목 장세 속 혼조 마감
미 증시는 개별 종목 이슈 영향으로 상승 출발 후 높은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에 매물 소화하며 상승 반납. 이후 이번 주 발표될 소비자 물가지수 등 주요 지표에 대한 경계감 속에 뚜렷한 방향성 없이 관망세 진행. 게임스톱(+74.40%) 등 밈 주식들이 급등하며 시장 참여자들의 관심이 개별 종목으로 쏠리는 등 종목 장세 속 혼조 마감(다우 -0.21%, 나스닥 +0.29%, S&P500 -0.02%, 러셀2000 +0.11%,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0.31%)
*변화 요인: 높은 물가, 종목장세
뉴욕연은의 소비자 기대조사에서 1년 기대 인플레이션이 지난달 발표된 3.0%에서 3.3%로 상향 조정. 특히 헬스케어가 8.1%에서 8.7%로, 임대료가 8.7%에서 9.1%로 상승하며 이를 주도. 소비자 심리지수 내 기대 인플레이션이 상승한데 이어 뉴욕 연은의 소비자 기대조사에서도 기대 인플레이션이 상승해 높은 물가에 대한 우려가 부각. 이런 가운데 고용과 관련된 임금 상승, 구직 기대 등이 하락했고 실업률 증가 가능성은 높아지는 등 고용시장의 둔화가 진행되고 가계 재정도 위축. 결국 미국 경제는 높은 물가, 고용둔화, 가계재정 위축이라는 특징이 진행되고 있다고 볼 수 있어 결과 후 달려 약세와 금리 하락 폭이 축소. 주식시장 상승 반납.
한편, 게임스톱(+74.40%)이 폭등한 점도 영향. Keith Gill이 3년만에 X에 글을 올리며 복귀 가능성이 부각되자 폭등한 것. 지난해부터 반도체, 비트코인, 금과 원유, 곡물 등 여러 분야에 걸쳐 나타난 쏠림 현상이 이번엔 밈 주식에서 나타난 것으로 볼 수 있음. 이런 가운데 Open AI가 최신 "플래그십 모델" GPT-4o를 발표했는데 GPT-4보다 빠를 뿐만 아니라 음성, 텍스트 및 이미징 전반의 기능도 향상되었다고 언급. 새로운 검색엔진을 발표할 것이라는 일각의 보도와 달리 관련 내용이 아니라는 점에서 알파벳이 3% 가까이 하락하다 상승 전환하는 등 MS와 알파벳의 주가 변화에 영향
옐런 재무장관의 발언도 개별 종목에 영향. 옐런 장관은 바이든 대통령이 인플레를 낮추는 것을 최우선 정책으로 삼고 있다고 언급. 또 16일 발표될 대 중국 자동차 관세 부과 이슈에 대해 관세를 4배로 올리면 중국은 중대한 대응을 할 것이라고 주장. 다만 트럼프가 부과했던 관세보다는 보다 전략적인 방식으로 재 구성할 것이라고 언급하며 관세 부과 품목의 축소 가능성을 시사. 더불어 관세 부과 전 중국에 알릴 것이라고 주장해 중국과의 협상은 지속할 것으로 추정. 이에 힘입어 중국 개별 종목군의 강세가 뚜렷
*특징 종목: 게임스톱 등 밈 주식 급등
ARM(+7.71%)은 자체 AI칩을 출시할 것이라고 발표한 데 힘입어 급등. 관련해서 엔비디아(+0.58%)는 한 때 1.5% 하락하는 등 변화를 보였으나, HSBC가 내년 실적이 시장 전망을 크게 상회할 것이라며 목표주가를 1,050달러에서 1,350달러로 상향 조정하자 상승 전환하는 등 변화. 인텔(+2.21%)은 사모펀드 Apollo Global Management가 110억 달러를 투자할 것이라는 소식에 상승. 여기에 파운드리 시장 진출을 확대하기 위해 마벨테크(+0.80%)의 파운드리 부문 책임자를 임명한 점도 긍정적. 이에 TSMC(-1.91%)는 하락.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0.31% 상승에 그침
애플(+1.76%)은 Open AI와 아이폰 AI 기능 탑재를 위한 협상을 진행 중이라는 소식에 강세. Open AI가 ChatGPT 라이브스트림을 통해 새로운 검색엔진을 발표할 것이라는 전망에 알파벳(+0.36%)은 한 때 3% 가까이 하락하고 MS(-0.25%)는 1% 가까이 상승하는 차별화를 보이기도 했음. 그러나 발표 내용은 검색엔진에 관한 것이 아니라는 소식에 알파벳은 상승 전환하고 MS는 하락 전환하는 등 변화를 보임.
테슬라(+2.03%)는 모델Y에 대한 신규 구매에서 낮은 금리를 이용하는 파이낸싱 정책 발표로 판매 증가 기대를 높이며 상승. 샤오펑(+4.66%)은 지난달 말레이시아에 이어 호주 유통업체와 차량 판매 관련 계약 체결했다는 소식에 강세. 니오(+6.71%), 리오토(+1.16%) 등도 강세. 옐런 재무장관이 중국 전기차에 대한 관세를 100%로 상향 조정할 경우 중국이 중대한 보복에 나설 것이라고 언급한 점도 영향. 핀둬둬(+3.12%), 알리바바(+5.70%), 징동닷컴(+4.91%) 등 소매 유통업종은 물론, 바이두(+2.88%) 등 중국 기업들은 경기 부양 기대와 옐런 발언에 반응하며 강세.
게임스톱(+74.40%)은 지난 2020~2021년 밈 주식 열풍을 이끌었던 Keith Gill이 3년만에 X에 글을 올리며 복귀 가능성이 부각되자 폭등. 관련 흐름에 AMC 엔터(+78.35%), 아이로봇(+19.43%), 블랙베리(+6.90%) 등 당시 밈 주식으로 언급되던 종목군도 동반 급등. 더불어 선파워(+19.57%), 선노바(+3.720%), 선런(+2.31%) 등도 당시 영향을 받았었기에 오늘도 동반 급등. 이에 커뮤니티 사이트인 레딧(+8.71%)도 상승.
*한국 증시 관련 수치
MSCI 한국 증시 ETF는 0.23% 상승한 가운데 MSCI 신흥 지수 ETF는 0.75% 상승해 52주 신고가를 경신.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0.31%, 러셀2000지수는 0.11%, 다우운송지수는 0.20% 상승. 야간선물은 0.12% 상승. 전일 1,368.20원으로 마감한 달러/원 환율에 영향을 주는 NDF 달러/원 환율 1개월물은 1,365원을 기록
*FICC: 밀, 브라질 홍수와 러시아 서리 영향으로 급등 지속
국제유가는 중국 경기에 대한 기대 심리가 커지며 수요 증가 가능성에 힘입어 상승. 캐나다 서부 지역에 발생한 산불로 셰일오일 공급 중단 가능성이 부각된 점도 상승 요인. 나아가 OPEC+가 하반기까지 감산을 유지할 것이란 기대도 긍정적. 미국 천연가스는 생산량 감소와 LNG 수출 시설에 대한 공급 증가에 힘입어 5% 넘게 급등. 더불어 AI 산업에 고 전력이 필요한 만큼 수요 증가 기대도 우호적
달러화는 물가와 실물 경제지표 발표 앞두고 여타 환율에 대해 약세를 보였으나, 뉴욕연은이 발표하는 기대 인플레이션이 상향 조정되자 약세폭이 축소. 유로화는 유로존 1분기 GDP 성장률에 대한 기대 등으로 경기 회복 기대 심리를 자극하며 달러 대비 강세. 역외 위안화는 달러 대비 소폭 약세를 보였지만, 브라질 헤알, 캐나다 달러 등은 강세를 보이는 등 혼조 양상.
국채 금리는 소비자 물가지수 발표를 앞두고 일부 되돌림이 유입되며 하락. 그러나 뉴욕 연은의 소비자 기대지수에서 1년 기대 인플레이션이 3.0%에서 3.3%로 상향 조정되는 등 물가 상승 압력이 확대되자 하락폭이 축소. 물론, 옐런 장관 발언 등 여러 요인에 재차 하락하기도 했지만, 대체로 변화가 크지 않은 상태에서 약보합권 등락
금은 소비자 물가지수 발표 등을 앞두고 매물 출회되며 하락. 구리를 비롯한 비철금속은 대부분 중국 경기에 대한 기대 심리를 반영하며 상승. 더불어 LME 시장에서 재고 감소도 영향. 특히 구리는 2년래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는데 공급 부족과 수요 강세 영향에 따른 것으로 추정. 밀은 5월 초 브라질에서의 대규모 홍수가 공급 감소를 자극하며 지속적인 상승. 특히 러시아 주요 작황지에 서리가 내리며 국가 비상사태 선포까지 단행하는 등 공급 감소 가능성이 높아진 점도 영향. 옥수수와 대두는 일부 차익 실현 매물로 하락
'미국주식 종목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밈 주식의 아버지 키스 길(Keith Gill : 포효하는 키티)이 돌아왔다는 소식에 밈 주식들이 대거 급등 했습니다. (38) | 2024.05.14 |
---|---|
바이든 행정부가 불법 이민자를 엄히 다스린다는 내용인데요… (34) | 2024.05.14 |
금융위기가 이제 다시 나타나네요 (43) | 2024.05.13 |
애플이 빠르게 변하고 있다 (48) | 2024.05.13 |
When will the crisis be resolved? (35) | 2024.05.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