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blog.kakaocdn.net/dn/FtdIr/btsIygsI9fr/eY8S2oLWzhFO4YxjDzqwL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d89sUS/btsIxFNj2RY/C0KUUHglZ1ZnrXBdglln1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uS2Fe/btsIx3ADWXM/w8YWjv0CSXY2jwtCezcKdk/img.jpg)
이제 실적장세가 나오는 달이 코앞이네요
변동성은 당연히 심하지만?
대기업은 오늘도 올해도 성장력을 잘 유지하네요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서상영님 시장리뷰 ㅣ 주간 이슈 점검: 미,중 실물지표, 실적, 연준, 중국
*총론
본격적인 실적 시즌이 진행되는 데 TSMC, ASML 등 반도체 업종의 실적과 그 외 넷플릭스 등도 있음. 최근 시장은 예상보다 견고한 결과는 당연시되고 있고 그 이상으로 개선되어야 현재 주가가 합당함을 이야기 하고 있음. 여기에 경제지표 부진을 감안 연준의 금리인하 기대가 확대돼 경기 침체 이슈도 반영이 예상. 시장 참여자들은 지수의 상승 여부보다 종목에 주목하는 종목 장세가 당분간 진행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어 개별 종목 변동성 확대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전망. 즉 달러 약세, 금리 하락, 주식 변동성 확대가 이번주 시장의 특징으로 자리 잡을 것으로 기대.
*실적 시즌
본격적인 실적 시즌이 시작된 가운데 시장 조사업체 팩트셋은 S&P500 기업들은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9.3% 증가했을 것으로 추정. 이는 2022년 1분기(9.4%) 이후 가장 많이 증가한 분기로 기록 될 것이라고 언급. 그러나 이번 분기 실적 시즌은 여느때보다 중요한 데 S&P500 기업들 중 M7 종목을 제외한 493개 기업은 2022년 이후 처음으로 성장하는 분기지만, M7 종목은 2개분기 연속 둔화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기 때문(BOA 등 분석). 그동안 주식시장이 M7 종목 등을 중심으로 지속적으로 사상 최고치를 경신해왔던 만큼 성장세가 꺽인 M7 종목군의 주가가 어떤 영향을 줄 지 주목하고 있기 때문
*중국
15일부터 18일까지 경제 관련 내용을 중심으로 회의인 중국의 ‘3중전회’가 개최. 1중전회부터 7중전회까지 있는 정치국 회의중에 3중 전회는 경제, 정치 등 가장 중요한 분야를 중점적으로 논의하고 공식화 하기 때문에 중요. 올해는 팬데믹 이후 위축된 경제에 대한 논의 특히 부동산 문제와 미-중, 미-유럽 갈등 등의 내용을 논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JP모건을 비롯해 많은 투자자들은 공급망 확보, 도-농격차 축소, 서방과의 긴장 확대 등이 부각될 것으로 예상. 이는 시장의 기대보다는 약할 수 있다고 보는 견해가 주를 이룸. 물론, 일부 중화권 분석은 이번에 부동산 정책 등을 내놓으며 경기 회복을 위한 정책들을 기대하는 등 엇갈린 양상.
*미-중 실물 지표
미국의 소매판매는 지난 4월 전월 대비 0.2% 감소한 가운데 5월에는 0.1% 증가. 6월 소매판매에 대해 시장 참여자들은 0.0%를 전망. 그러나 모건스탠리 등 일부 투자회사는 고용 위축, 자동차 판매 부진, 상품 시장 하락 등을 감안 전월 대비 0.3% 하락 했을 것으로 전망. 대체로 미국 소비 둔화가 진행되고 있다고 볼 수 있음. 산업생산은 0.7%에서 0.3% 증가로 둔화 예상. 중국 실물 지표는 대부분 전월 보다 위축될 것으로 예상. 이 경우 경기 위축에 대한 우려를 더욱 자극할 것으로 예상
*연준
수요일 연준은 7월 FOMC에서 참고할 베이지북을 발표하는 데 지난번 경제에 대해서는 약간 증가했다고 언급. 더불어 가격 결정력이 소비자에게 넘어갔다고 언급해 물가 하락, 기업 이익 부진 등을 시사. 이번에도 경기에 대해서는 긍정적으로 언급할 것으로 예상되나, 최근 데일리 총재의 발언 처럼 고용시장에 대해서는 우려를 표명할 가능성이 높음. 이 외 파월을 비롯해 많은 연준 위원들이 ‘블랙아웃’을 앞두고 연설이 진행되는 데 최근 6월 소비자 물가지수 등을 언급해 과거보다는 좀더 비둘기파적인 언급이 많아 질 것으로 기대.
07/15(월)
중국: 2Q GDP, 산업생산, 소매판매, 고정자산투자
유로존: 산업생산
미국: 뉴욕연은 지수
정치: 공화당 전당대회(~18), 중국 3중전회(~18)
보고서: 미 농무부 작물상태 보고서
발언: 파월 연준의장, 메리 데일리 샌프란시스코 연은 총재
실적: 골드만삭스(GS), 블랙락(BLK)
07/16(화)
독일: ZEW경기기대지수
미국: 소매판매, 주택시장지수
기업: 아마존 프라임데이(~17)
발언: 쿠글러 연준 이사, 루시드(LCID) CEO, ZOOX CEO(아마존 로보택시 컨셉)
실적: 유나이티드헬스(UNH), BOA(BAC), 모건스탠리(MS)
07/17(수)
일본: 단칸제조업지수
미국: 주택착공, 허가건수, 산업생산
채권: 미 20년물 국채 입찰
보고서: 베이지북
파생: WTI 6월물 만기
발언: 토마스 바킨 리치몬드 연은 총재, 크리스토퍼 월러 연준 이사(경제전망)
실적: ASML(ASML), J&J(JNJ), 프로로직스(PLD), US 방코프(USB), 킨더모간(KMI), 알코아(AA)
07/18(목)
미국: 경기선행지수
은행: ECB 통화정책회의
발언: 라가르드 ECB 총재, 메리 로건 댈러스 연은 총재, 메리 데일리 센프란시스코 연은 총재, 미쉘 보우면 연준이사
실적: TSMC(TSM), 넷플릭스(NFLX), 노바티스(NVS), 에봇(ABT), 인튜이티브 서지컬(ISRG), DR호튼(DHI), 키코프(KEY), 웨스턴 얼라이언스(WAL)
07/19(금)
독일: 생산자물가지수
발언: 존 윌리엄스 뉴욕연은 총재
실적: 아메리칸 익스프레스(AXP), 슐륨버거(SLB), 트레블러스(TRV), 할리버튼(HAL)
'American Stock Story[2024]'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장이 예상보다 강합니다. 단숨에 2,900선에 바짝 다가설 정도로… (27) | 2024.07.15 |
---|---|
트럼프는 NATO 회원국들의 GDP 대비 2% 방위비 지출 합의 미 이행 시 집단 방위 의무를 지키지 않겠다고 언급. (26) | 2024.07.15 |
TSLA 테슬라가 보여주고있는 지금의 모습은 빙산의 일각일뿐 (44) | 2024.07.13 |
나스닥, 금리인하 기대 속 1.5% 상승 후 매물 소화하며 상승 반납 (35) | 2024.07.13 |
KOSPI는 -1.57% 하락한 2,845.91pt. 전일 미국증시 차익실현, 기술적 조정 영향으로 약세, (24) | 2024.07.12 |